“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신용석(辛用錫) - 신경진(辛慶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신응시(辛應時)의 아들.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문무(文武)의 재능을 겸비하여 명성이 높았고 예조 참판(禮曹參判)ㆍ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54~161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우(神禹) - 우(禹)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의 왕. 순(舜)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 수토(水土)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신우(辛禑) - 우왕(禑王)
고려 제32대 국왕. 재위 1374~1388. 수시중(守侍中) 이인임(李仁任)의 후원으로 즉위했다가 이인임이 실각한 후 정치적 기반을 잃고 이성계(李成桂)에게 쫓겨나 유배되었다가 죽음.
1365~138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신우봉(申牛峯) - 신진(申津)
조선 전기의 유학. 정유길(鄭惟吉)과 교유했으며, 《임당유고(林塘遺稿)》와 《백록유고(白麓遺稿)》에 만사(挽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신원(信元) - 김신원(金信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정철(鄭澈)의 《송강집(松江集)》에 〈추차홍태고운 봉증일학김학사(追次洪太古韻奉贈一壑金學士)〉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신원(愼原) - 이말숙(李末叔)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세종(世宗)의 증손이며 길안도정(吉安都正) 이의(李義)의 아들. 1521년(중종 16)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형(兄) 이정숙(李正叔)과 함께 유배됨.
1507~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신원(新元) - 원일(元日)
설날.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名節). 조상에게 차례(茶禮)를 지내고 웃어른들에게 세배(歲拜)를 드리며, 다양한 음식과 놀이를 통하여 결속을 다지고 한 해의 안녕을 기원함.
사건>풍속
-
신월성(新月城) - 반월성(半月城)
신라 파사이사금(婆娑尼師今) 때 경상도 경주(慶州)에 쌓은 성. 원래 호공(瓠公)의 거주지였던 것을 탈해(脫解)가 꾀를 써 빼앗고, 파사이사금이 성을 쌓아 신라의 궁성으로 사용함.
101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시설>성,진,책
-
신음(申陰) - 안음(安陰)
경상도 함양(咸陽)과 거창(居昌)의 일부 지역을 관장했던 조선 전기의 행정구역명.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지명>행정지명
-
신읍(信邑) - 신천(信川)
황해도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관서 지방과 기호 지방의 경계를 이루어 자연․인문에 많은 차이가 있으며, 서강(西江)을 비롯한 여러 강이 망류함. 곳곳에 큰 규모의 저수지가 있으며, 석회암이 분해된 비옥한 농토임.
황해도>신천 , 지명>행정지명
-
신읍(新邑) - 낙읍(洛邑)
중국 하남성(河南省) 낙양(洛陽)의 서쪽 지역에 있던 고대 서주(西周)의 수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신응규(申應槼) - 신응구(申應榘)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동지중추부사 신벌(申橃)의 아들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함. 인조반정 후 승정원 좌부승지(承政院左副承旨) 등을 지냄.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남포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의군공(新義郡公) - 한금호(韓擒虎)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수(隋) 나라 문제(文帝) 때의 장군. 영주 자사(永州刺史)ㆍ화주 자사(和州刺史) 등을 지냄. 진(陳) 나라를 정벌하여 후주(後主)를 사로잡은 공으로 상주국(上柱國)에 봉해지고, 양주 총관(凉州摠管)이 되었으나 곧 죽음. 죽어서는 염라대왕(閻羅大王)이 되었다고 전해짐.
538~592 중국>수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신이(信耳) - 이수계(李壽誡)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견성군(甄城君) 이돈(李惇)의 둘째 아들로, 견성군이 역모 혐의로 귀양 갔을 때 중종(中宗)의 권유로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의 양자가 됨.
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신이(辛夷) - 목련(木蓮)
목련과(木蓮科)의 낙엽교목(落葉喬木). 꽃눈이 붓을 닮아서 목필(木筆)이라고도 하고, 꽃봉오리가 피려고 할 때 끝이 북녘을 향한다고 해서 북향화라고 함. 꽃이 아름다워 《양화소록(養花小錄)》의 〈화목구등품제(花木九等品第)〉에서는 7등에 속해 있음.
자연물>식물
-
신일(愼日) - 원일(元日)
설날.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名節). 조상에게 차례(茶禮)를 지내고 웃어른들에게 세배(歲拜)를 드리며, 다양한 음식과 놀이를 통하여 결속을 다지고 한 해의 안녕을 기원함.
사건>풍속
-
신임무옥(辛壬誣獄) - 신임사화(辛壬士禍)
조선 경종(景宗) 원년인 신축년(1721)과 이듬해인 임인년(1722)에 일어난 사화. 이이명(李頤命)ㆍ김창집(金昌集)ㆍ이건명(李健命)ㆍ조태채(趙泰采) 등 노론(老論) 4대신이 왕제(王弟) 연잉군(延礽君)을 세제(世弟)로 책봉하도록 주청한 일에 대하여, 조태구(趙泰耉) 등 소론(少論)이 공격하면서 일어남.
1721~1722 한국>조선후기 , 사건>사화
-
신임옥사(辛壬獄事) - 신임사화(辛壬士禍)
조선 경종(景宗) 원년인 신축년(1721)과 이듬해인 임인년(1722)에 일어난 사화. 이이명(李頤命)ㆍ김창집(金昌集)ㆍ이건명(李健命)ㆍ조태채(趙泰采) 등 노론(老論) 4대신이 왕제(王弟) 연잉군(延礽君)을 세제(世弟)로 책봉하도록 주청한 일에 대하여, 조태구(趙泰耉) 등 소론(少論)이 공격하면서 일어남.
1721~1722 한국>조선후기 , 사건>사화
-
신자(申子) - 신불해(申不害)
중국 춘추전국시대 한(韓) 나라 소후(昭侯) 때의 학자ㆍ재상. 황제(黃帝)와 노자(老子)에 기본하여 형명(刑名)을 주로 연구하였는데, 법가(法家)의 조종(祖宗)이 됨.
?~B.C.33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경대부
-
신자(辛子) - 신영희(辛永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영산(靈山).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했으나 직산(稷山)에 은둔하여 학문에 정진함.
1442~151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직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