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야은(冶隱) - 길재(吉再)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였고,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짐.
135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야은(埜隱) - 전녹생(田祿生)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벼슬이 문하평리(門下評理)에 이르렀으며, 동지공거(同知貢擧)로서 지공거(知貢擧) 이색(李穡)과 함께 진사를 선발하기도 함.
1318~137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야은(壄隱) - 전녹생(田祿生)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벼슬이 문하평리(門下評理)에 이르렀으며, 동지공거(同知貢擧)로서 지공거(知貢擧) 이색(李穡)과 함께 진사를 선발하기도 함.
1318~137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야은(野隱)@송시영 - 송시영(宋時榮)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상의원 주부(尙衣院主簿) 등을 지냄. 정묘호란 때 왕을 보필하였으며,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로 갔다가 성이 포위당해 이시직(李時稷) 등과 함께 자결함. 영동(永同) 초강서원(草江書院) 등에 배향됨.
1588~163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야은(野隱) - 이영우(李永祐)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별시위(別侍衛)를 지낸 이귀(李龜)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야은선생언행록(冶隱先生言行錄) - 야은집(冶隱集)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길재(吉再)의 시문집. 문인 박서생(朴瑞生)이 초간하였다고 하나 전하지 않고, 1573년(선조 6) 길재의 5대손 길회(吉誨)가 《야은선생행록(冶隱先生行錄)》을 간행한 이후 속집 등이 다양하게 복간됨.
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문헌>서명
-
야은선생언행습유(冶隱先生言行拾遺) - 야은집(冶隱集)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길재(吉再)의 시문집. 문인 박서생(朴瑞生)이 초간하였다고 하나 전하지 않고, 1573년(선조 6) 길재의 5대손 길회(吉誨)가 《야은선생행록(冶隱先生行錄)》을 간행한 이후 속집 등이 다양하게 복간됨.
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문헌>서명
-
야은선생일고(壄隱先生逸稿) - 야은일고(壄隱逸稿)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인 전녹생(田祿生)의 문집. 6권 2책. 목판본. 초간본(初刊本)은 1738년(영조 14) 후손 전일상(田日祥)이 경상도 칠곡(漆谷) 송림사(松林寺)에서 간행함.
17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문헌>서명
-
야은자(冶隱子) - 길재(吉再)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였고,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짐.
135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야자(冶子) - 구야자(歐冶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검(劍)을 만든 장인(匠人). 월왕(越王)을 위해 거궐(巨闕)ㆍ담로(湛盧)ㆍ승사(勝邪)ㆍ어장(魚腸)ㆍ순구(純鉤)의 5검을 만들고, 초왕(楚王)을 위해 용연(龍淵)ㆍ태아(太阿)ㆍ공포(工布)의 3검을 만듦.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
-
야자홀(也恣忽) - 금성(金城)
강원도 철원(鐵原)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파산(慶把山)ㆍ적산(赤山) 등의 산과, 보리진(菩提津)ㆍ다경진(多慶津) 등의 나루가 있음.
강원도>금성 , 지명>행정지명
-
야장(冶長) - 공야장(公冶長)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이며 사위. 그에 대한 일화가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 편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야졸(夜卒) - 삼별초(三別抄)
고려 무신정권(武臣政權) 때의 특수 군대. 최씨 정권(崔氏政權)의 사병(私兵)으로, 좌별초(左別抄)ㆍ우별초(右別抄)ㆍ신의군(神義軍)의 3개 별초군(別抄軍)을 말하며, 경찰ㆍ전투 임무를 수행함. 무신정권의 전위(前衛)로서 몽고와의 항전을 전개함.
한국>고려후기 , 법제>제도
-
야주(耶州) - 합천(陜川)
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합천군(陜川郡)ㆍ초계군(草溪郡)ㆍ삼가현(三嘉縣)의 3개 군현이 합해져 이루어졌으며, 해인사(海印寺)ㆍ영암사지(靈巖寺址) 등의 주요 사적이 있음.
경상도>합천 , 지명>행정지명
-
야차홀(也次忽) - 금성(金城)
강원도 철원(鐵原)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파산(慶把山)ㆍ적산(赤山) 등의 산과, 보리진(菩提津)ㆍ다경진(多慶津) 등의 나루가 있음.
강원도>금성 , 지명>행정지명
-
야천(冶川) - 박소(朴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조광조 등 신진사류(新進士類)와 더불어 왕도정치(王道政治) 구현을 위하여 힘씀.
1493~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약(瀹) - 홍약(洪瀹)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를 역임하였으며, 태자부 참군(太子府參軍)으로 남경(南京)에 있을 때 고려에서 온 유연(柳衍)을 도와 경적(經籍) 1만여 권을 사게 하였으며, 또 원(元) 나라에 주청하여 많은 서적을 고려에 주게 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약(瀹)@유약 - 유약(柳瀹)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자신(子新) 유종덕(柳種德)의 장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약(躍) - 김약(金躍)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형조 정랑(刑曹正郞) 김계보(金季甫)의 아버지로, 능성 현령(綾城縣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약^도(略^韜) - 도^약(韜^略)
중국 주(周) 나라의 신하인 여상(呂尙)이 지었다는 《육도(六韜)》와, 진(秦) 나라 말의 병법가(兵法家) 황석공(黃石公)이 지었다는 《삼략(三略)》을 함께 부르는 말. 병법(兵法) 또는 병서(兵書)를 가리킴.
중국>진ㅣ중국>주 , 중국 , 문헌>기타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