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공(楊公) - 양방형(楊邦亨)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1595년(선조 28) 흠차책봉일본정사(欽差冊封日本正使) 이종성(李宗城)을 따라 부사(副使)로 조선에 나왔으며, 도중에 이종성이 도망치자 정사가 되어 일본에 가서 풍신수길(豐臣秀吉)과 협상하였으나 실패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공(楊公)@양옹백 - 양옹백(楊雍伯)
중국 전한(前漢)의 효자. 낙양(洛陽) 출신으로, 물이 귀한 무종산(無終山)에서 음료를 제공하는 선행을 쌓은 끝에 선인(仙人)에게 돌멩이를 받아 남전(藍田)에 뿌렸더니 모두 옥(玉)으로 자라났으며, 그 옥을 캐어 아름다운 아내를 얻었다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양공(襄公) - 여정(余靖)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범중엄(范仲淹)이 귀양갈 때 상서(上書)하여 다투다가 파직당함. 구양수(歐陽修)ㆍ왕소(王素)ㆍ채양(蔡襄)과 함께 사간(四諫)으로 일컬어짐.
1000~106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공(襄公)@심경지 - 심경지(沈慶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무신. 이민족의 반란을 진압하고 많은 전공을 세워 건무장군(建武將軍)에 임명되고, 역모를 고변하여 시중(侍中)에 올랐다가 폐제(廢帝)에 의해 사사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공거사비(楊公去思碑) - 양호거사비(楊鎬去思碑)
조선 후기 임진왜란 때 출전한 중국 명(明) 나라 장군 양호(楊鎬)의 무훈을 기리기 위하여 서울에 건립한 비. 양호 장군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4기의 비 중 하나.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유적>기타유적
-
양공타루비(楊公墮淚碑) - 양호거사비(楊鎬去思碑)
조선 후기 임진왜란 때 출전한 중국 명(明) 나라 장군 양호(楊鎬)의 무훈을 기리기 위하여 서울에 건립한 비. 양호 장군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4기의 비 중 하나.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유적>기타유적
-
양관곡(陽關曲) - 위성곡(渭城曲)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인 왕유(王維)가 지은 악곡. 왕유가 원이사(元二使)를 송별(送別)할 때 지은 시가 송별의 노래로 널리 애창되었고, 세 번 되풀이하여 부르기 때문에 양관삼첩곡(陽關三疊曲)이라고도 부름.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양관삼첩(陽關三疊) - 위성곡(渭城曲)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인 왕유(王維)가 지은 악곡. 왕유가 원이사(元二使)를 송별(送別)할 때 지은 시가 송별의 노래로 널리 애창되었고, 세 번 되풀이하여 부르기 때문에 양관삼첩곡(陽關三疊曲)이라고도 부름.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양관삼첩곡(陽關三疊曲) - 위성곡(渭城曲)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인 왕유(王維)가 지은 악곡. 왕유가 원이사(元二使)를 송별(送別)할 때 지은 시가 송별의 노래로 널리 애창되었고, 세 번 되풀이하여 부르기 때문에 양관삼첩곡(陽關三疊曲)이라고도 부름.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양광(楊廣) - 양제(煬帝)
중국 수(隋)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604~618. 문제(文帝)의 둘째 아들로 형과 아버지를 살해하고 즉위함. 만리장성을 수축하고, 고구려를 침공했다가 대패함.
569~618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양광도(楊光道)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양광충청도(楊光忠淸道)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양광충청주도(楊廣忠淸州道)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양굉(良肱) - 여양굉(余良肱)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여상(余爽)ㆍ여변(余卞)의 아버지로, 형남 사리참군(荊南司理參軍)ㆍ광록경(光祿卿)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구(羊裘) - 엄광(嚴光)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 벗으로 지내던 광무제가 왕이 된 뒤 간의대부(諫議大夫)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부춘산(富春山)에 들어가 양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은둔하였다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양구(養久) - 이시발(李時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임진왜란 때 접반관(接伴官) 등으로 활약하고. 광해군(光海君) 때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비론에 반대함. 인조반정 후 이괄(李适)의 난을 수습하는 데 공을 세우고 형조 판서 등을 지냄.
1569~16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양구수(羊裘叟) - 엄광(嚴光)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 벗으로 지내던 광무제가 왕이 된 뒤 간의대부(諫議大夫)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부춘산(富春山)에 들어가 양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은둔하였다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양구어부(羊裘漁父) - 엄광(嚴光)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 벗으로 지내던 광무제가 왕이 된 뒤 간의대부(諫議大夫)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부춘산(富春山)에 들어가 양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은둔하였다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양구현(楊溝縣) - 양구(楊口)
강원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내륙 산간에 위치하며, 산세가 험준함.
강원도>양구 , 지명>행정지명
-
양국(梁國) - 적인걸(狄仁傑)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측천무후(則天武后)가 이씨(李氏)를 제거하고 무씨(武氏)의 종묘(宗廟)를 세우자 중종(中宗)을 받들어 당실(唐室)을 회복함.
607~700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