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릉후(陽陵侯) - 변화(卞和)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 사람. 형산(荊山)에서 박옥(璞玉)을 얻어 왕에게 바쳤으나 속였다는 이유로 두 발이 잘리고 나중에야 보옥(寶玉)임을 인정받았던 화씨벽(和氏璧)의 고사로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양인
-
양만춘(梁萬春) - 양만춘(楊萬春)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때의 안시성(安市城) 성주(城主). 지모(智謀)와 용기(勇氣)가 뛰어났으며, 연개소문(淵蓋蘇文)의 정변과 당(唐) 나라 태종(太宗)의 침공 때 불굴의 의지로 싸워 승리함.
한국>고구려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명(陽明) - 왕수인(王守仁)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ㆍ문신. 양명학(陽明學)의 창시자. 심성론(心性論)으로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철학 사상에 깊은 영향을 미침.
1472~152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명부(梁明府) - 양희(梁喜)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노정(盧禎)ㆍ이후백(李後白)과 함께 도의와 학문을 닦아 영남(嶺南)의 삼걸(三傑)이라 일컬어짐.
1515~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양무(梁武) - 무제(武帝)@남북조(양)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502~549. 경릉팔우(竟陵八友) 중 한 사람이며, 불교를 신봉해 500여 개의 사찰을 세움.
464~54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양무(陽武) - 강진(康津)
전라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청자의 주요 생산지였으며,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19년간 유배생활을 했던 곳으로 잘 알려짐.
전라도>강진 , 지명>행정지명
-
양무(陽茂) - 이양무(李陽茂)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조선 태조(太祖)의 고조부인 목조(穆祖) 이안사(李安社)의 아버지로, 상장군(上將軍) 이강제(李康濟)의 딸과 혼인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ㅣ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무신
-
양묵(襄墨)@송익손 - 송익손(宋益孫)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처남 홍달손(洪達孫)을 따라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세조(世祖) 때 나주 목사(羅州牧使)로 여산군(礪山君)에 봉해짐.
1419~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부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양묵(襄墨) - 관미생(管尾生)
조선 성종(成宗) 때 김일손(金馹孫)이 붓을 의인화하여 지은 〈관처사묘지명(管處士墓誌銘)〉에 나오는 처사 관술(管述)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양민(襄敏) - 고양겸(顧養謙)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우첨도어사(右僉都御史)를 거쳐 병부 시랑(兵部侍郞)에 이르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일본과 화친을 해야겠다는 내용의 자문(咨文)을 보내왔음.
1537~160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민(襄敏)@손소 - 손소(孫昭)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종사관(從事官)으로 출정, 난이 평정된 뒤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내섬시 정(內贍寺正)으로 특진됨.
1433~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민(襄敏)@이재 - 이재(李材)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남경병부 상서(南京兵部尚書)를 지냈으며, 육구연(陸九淵)의 학문을 깊이 연구함.
1518~1599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백(陽伯) - 이서(李舒)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홍주(洪州). 고려 우왕(禑王) 때 6년간의 여묘살이로 정문(旌門)을 받았으며,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332~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백(養伯)@박희립 - 박희립(朴希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돈녕부 부정(敦寧府副正) 박세영(朴世榮)의 아들로,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청주 목사(淸州牧使)ㆍ길주 목사(吉州牧使)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양백(養伯)@이안성 - 이안성(李安性)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지낸 이식(李植)의 아버지. 안기도 찰방(安奇道察訪)을 지내고, 후에 좌찬성(左贊成)에 증직됨.
1554~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양백(養伯) - 박수검(朴守儉)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의흥(義興). 박경심(朴景諶)의 아들이고, 조석윤(趙錫胤)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를 지냄.
1629~169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백옹(楊伯雍) - 양옹백(楊雍伯)
중국 전한(前漢)의 효자. 낙양(洛陽) 출신으로, 물이 귀한 무종산(無終山)에서 음료를 제공하는 선행을 쌓은 끝에 선인(仙人)에게 돌멩이를 받아 남전(藍田)에 뿌렸더니 모두 옥(玉)으로 자라났으며, 그 옥을 캐어 아름다운 아내를 얻었다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양백화(楊白花)@양화 - 양화(楊華)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명장(名將)인 양대안(楊大眼)의 아들. 선무영황후(宣武靈皇后)와 정을 통한 뒤 화를 염려하여 양(梁) 나라로 달아남. 황후가 그를 그리워하며 〈양백화가(楊白華歌)〉를 지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양백화가(楊白華歌) - 양백화(楊白花)
악부(樂府) 잡곡가사(雜曲歌辭)의 하나.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명장(名將)인 양대안(楊大眼)의 아들 양화(楊華)를 추모하기 위해 선무영황후(宣武靈皇后)가 지은 노래.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양보(楊普) - 김양보(金楊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 예의 판서(禮儀判書)를 지낸 김주(金澍)의 아들로, 문경 현감(聞慶縣監)ㆍ선위사(宣慰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