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보(良甫) - 유최기(兪㝡基)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정미환국 때 소론의 거두 이광좌(李光佐)의 횡포를 반박하고, 신임사화로 죽은 노론의 거두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의 신원(伸寃)과 소론의 음모사실을 논박함.
1689~17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양봉(梁鳳) - 양석재(梁碩材)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6대조.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내고 금자광록대부(今紫光祿大夫)에 서품됨.
13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양부(梁傅) - 가의(賈誼)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 문제(文帝)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됨.
B.C.200~B.C.16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부(楊溥)@예제 - 예제(睿帝)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오(吳)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921~937. 태조(太祖) 효무제(孝武帝)의 부장인 서온(徐溫)에 의해 황제 자리에 오름.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양부(良父) - 예백(芮伯)
중국 주(周) 나라 때의 제후. 주 여왕(厲王)의 실정을 비난하였는데, 그 내용이 《시경(詩經)》의 〈상유(桑柔)〉에 실려 있음.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양부장(楊副將) - 양원(楊元)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부총병(副總兵)으로 이여송(李如松)을 따라 참전하였으며,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남원성(南原城) 전투에서 이복남(李福男)ㆍ오응정(吳應井) 등의 군사와 연합하여 왜적과 맞서 싸움.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비(楊妃) - 양귀비(楊貴妃)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비(妃). 본래 현종의 아들인 이모(李瑁)의 비로 궁에 들어왔으나 현종의 사랑을 받아 현종의 비가 됨. 오빠인 양국충(楊國忠)과 함께 정사를 전횡하다가 안사(安史)의 난(亂) 때 국난 초래를 문책받아 죽음.
719~75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양사암(梁思庵) - 양흔(梁忻)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양희(梁喜)의 형. 오건(吳健)ㆍ노진(盧禛)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양산(陽山) - 양지(陽智)
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했던 고을 이름. 현재 경기도 용인시(龍仁市) 일대를 가리키며, 조선 태종(太宗) 때 치소를 광주(廣州) 추계향(秋溪鄕)에 두고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함.
경기도>양지ㅣ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양산대장(陽山大丈) - 김경운(金慶雲)@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진사(進士) 김수(金粹)의 아들로, 주세붕(周世鵬)ㆍ정사룡(鄭士龍)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문사>유학
-
양상(良相) - 선덕왕(宣德王)
신라 제37대 국왕. 재위 780~785.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의 10세손으로 해찬(海飡) 김효방(金孝芳)의 아들. 혜공왕(惠恭王) 때 김지정(金志貞)의 난을 진압하고 즉위하였으며, 어룡성(御龍省)을 개편하고 패강진(浿江鎭)을 개척함.
?~78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양생(楊生) - 양주(楊朱)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 초기의 도가 철학자. 이기적인 쾌락설을 주장하여 맹자가 이단성(異端性)을 지적함.
B.C.440~B.C.36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양생(良生) - 정양생(鄭良生)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안축(安軸)의 사위로, 청주(淸州)에서 《관동와주(關東瓦注)》을 간행함.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39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양생(陽生) - 도공(悼公)@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488~B.C.485. 경공(景公)의 아들로 노(魯) 나라로 망명해 있다가 안유자(晏孺子)의 뒤를 이어 즉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양생(陽生)@이양생 - 이양생(李陽生)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오(李晤)의 아버지이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사종(李嗣宗)의 할아버지. 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전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계성군(鷄城君)에 봉해짐.
1423~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양서(良瑞) - 당양서(唐良瑞)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송(宋) 나라의 학자 김이상(金履祥)이 지은 염락풍아(濂洛風雅)를 편차(編次)함.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양서(讓西) - 이광윤(李光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곤(李鯤)의 손자이며 이득윤(李得胤)의 형. 1594년(선조 2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ㆍ성주 목사(星州牧使) 등을 지냄.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예천(醴泉)의 인산서원(仁山書院)에 배향됨.
1564~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양선(梁選) - 문선(文選)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소통(蕭統)이 양 나라 이전 문인들의 명작 800여 편을 모아 엮은 책. 30권. 중국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시문총집(詩文總集).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양설대부(羊舌大夫) - 양설힐(羊舌肹)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도공(悼公)~소공(昭公) 때의 대부. 외국(外國)에 사신 가서나, 외국의 빈객을 접대할 때 응대(應對)를 잘하기로 명성이 높았음. 공자가 유직(遺直)이라고 칭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양설힐(羊舌肸) - 양설힐(羊舌肹)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도공(悼公)~소공(昭公) 때의 대부. 외국(外國)에 사신 가서나, 외국의 빈객을 접대할 때 응대(應對)를 잘하기로 명성이 높았음. 공자가 유직(遺直)이라고 칭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