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쌍청선생(雙淸先生) - 이계준(李繼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인. 본관은 연안(延安). 이구령(李九齡)의 아들로, 거창(居昌)에 은거하여 시와 술을 즐기며 유유자적함. 임훈(林薰)의 《갈천집(葛川集)》에 그의 묘갈(墓碣)이 실려 있음.
1490~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문사>문인
-
쌍청처사(雙淸處士) - 송유(宋愉)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신덕왕후(神德王后)가 붕어(崩御)한 뒤 위패가 태조묘(太祖廟)에 부(附)해지지 않자 이를 한탄하는 글을 올리고 낙향하여 회덕(懷德)에 쌍청당(雙淸堂)을 짓고 은거함.
1388~144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쌍취헌(雙翠軒) - 권철(權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도원수(都元帥) 권율(權慄)의 아버지. 영의정(領議政)을 지냈으며 복상(福相)으로 칭송됨.
1503~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쌍호(雙湖)@호일계 - 호일계(胡一桂)
중국 원(元) 나라 문종(文宗) 때의 학자. 호방평(胡方平)의 아들로, 주희(朱熹)의 학문을 종주로 하여 도학(道學)을 강학하였으며, 역학(易學)에 정통하여 《역본의부록찬소(易本義附錄纂疏)》ㆍ《역학계몽익전(易學啓蒙翼傳)》 등을 저술함.
124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쌍호(雙湖) - 남상문(南尙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명(明) 나라의 경리(經理) 양호(楊鎬)가 뛰어난 학식에 감동되어 그의 문하가 되었고, 고고한 품행으로 금오랑(金吾郞)에 등용됨.
1520~160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쌍호호씨(雙湖胡氏) - 호일계(胡一桂)
중국 원(元) 나라 문종(文宗) 때의 학자. 호방평(胡方平)의 아들로, 주희(朱熹)의 학문을 종주로 하여 도학(道學)을 강학하였으며, 역학(易學)에 정통하여 《역본의부록찬소(易本義附錄纂疏)》ㆍ《역학계몽익전(易學啓蒙翼傳)》 등을 저술함.
124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쌍회(雙檜) - 도동명(陶東明)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문학(文學)과 효행(孝行)으로 남대 장령(南臺掌令)이 되었으나, 조선이 건국되자 두문동(杜門洞)으로 들어가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쌍회당(雙檜堂) - 도동명(陶東明)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문학(文學)과 효행(孝行)으로 남대 장령(南臺掌令)이 되었으나, 조선이 건국되자 두문동(杜門洞)으로 들어가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아(阿) - 최아(崔阿)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아^기(牙^期) - 종^백(鍾^伯)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악공인 백아(伯牙)와 그 친구 종자기(鍾子期)를 함께 부르는 말. 마음이 통하는 절친한 교우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아개(阿盖) - 김인선(金仁瑄)
통일신라의 인물. 내사령(內史令) 김예겸(金禮謙)의 아버지로, 김인경(金仁鏡)의 선조. 그에 관한 기록이 《허백당집(虛白堂集)》〈김양경시집서(金良鏡詩集序)〉에 남아 있음.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
-
아경(鵝經) - 황정경(黃庭經)
도가 경전(道家經典)의 하나. 중국 남북조시대 위(魏)ㆍ진(晉)의 도가들이 양생(養生)과 수련(修練)의 학습에 사용하던 책으로, 왕희지(王羲之)가 써주고 거위와 바꾸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아계(丫溪)@김일경 - 김일경(金一鏡)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소론(小論)의 거두로 신임사화(辛壬士禍)를 주도하여 노론(老論) 수백 명을 살해 또는 추방하고 우참찬에 올랐으나, 영조가 즉위하여 노론이 재집권하자 친국(親鞫)을 받은 뒤 참형당함.
1662~17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아계(丫溪) - 고경허(高景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서경덕(徐敬德)에게 수학하고, 공조 좌랑(工曹佐郞)으로 《중종실록(中宗實錄)》과 《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아계(鵝溪)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아계노인(鵝溪老人)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아계병생(鵝溪病生)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아계부원군(鵝溪府院君)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아계상공(鵝溪相公)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아계유고(鵝溪遺稾) - 아계유고(鵝溪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산해(李山海)의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기성록(箕城錄)〉ㆍ〈종현록(鍾峴錄)〉ㆍ〈쌍문록(雙門錄)〉 등으로 구성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