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아이(阿怡) - 주이(周怡)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주세귀(周世龜)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도사(都事) 등을 지냄. 타고난 성품과 거동이 훌륭하여 신선 같다는 평을 들음.
1515~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아자개(阿玆蓋) - 아자개(阿慈介)
통일신라 말기의 장군. 경상도 상주(尙州) 출신으로 진흥왕(眞興王)의 아들인 구륜공(仇輪公)의 후손이라 전함. 후백제를 세운 견훤(甄萱)의 아버지로, 918년(태조 1)에 고려로 망명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무신
-
아자특실리(阿剌忒實利) - 충숙왕(忠肅王)
고려 제27대 왕. 재위 1313~1330, 1332~1339. 충선왕(忠宣王)의 둘째 아들. 원(元) 나라의 세공(歲貢)을 삭감하고 공녀(貢女)ㆍ환자(宦者)의 선발을 중지시키는 등의 업적을 이루었으나, 뒤에 사냥과 연회 등에 빠져 정사를 제대로 돌보지 않음.
1294~133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아정(雅亭) - 이덕무(李德懋)
조선 정조(正祖) 때의 실학자. 서얼 출신으로, 박제가(朴齊家)ㆍ유득공(柳得恭)ㆍ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떨침. 명(明)과 청(淸)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
1741~17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아주(牙州) - 아산(牙山)
충청도 서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초기에는 인주(仁州)ㆍ아주(牙州)라 불렀으며, 이순신(李舜臣)의 영정(影幀)을 모신 현충사(顯忠祠)가 있음.
충청도>아산 , 지명>행정지명
-
아주(鵝州) - 한산(韓山)
충청도 남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이곡(李穀) 등을 배향한 문헌서원(文獻書院)이 있으며, 지금은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에 속함.
충청도>한산 , 지명>행정지명
-
아진(牙盡) - 조참(趙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조동호(趙銅虎)의 아들이며,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조순(趙舜)의 동생.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집의(執義) 등을 지냄.
14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아진압(阿珍押) - 안협(安峽)
강원도 북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동으로는 평강(平康), 서로는 황해도 토산(兎山), 남으로는 경기도 삭녕(朔寧), 북으로는 이천(伊川)과 경계를 이룸. 후에 이천에 흡수됨.
강원도>안협 , 지명>행정지명
-
아차(峨嵯) - 신잠(申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화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오랜 기간 유배되었음.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로 일컬어졌는데, 묵죽(墨竹)에 특히 뛰어났다고 함.
1491~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아차산(阿且山) - 아차산(峨嵯山)
경기도 양주(楊州)에 있는 산 이름. 삼국시대의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조선 명종(明宗) 때 점술가 홍계관(洪啓寬)을 잘못 죽인 데서 ‘아차’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고사가 전함. 지금의 서울 광진구(廣津區)와 경기도 구리시(九里市)에 속함.
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아차산(阿嵯山) - 아차산(峨嵯山)
경기도 양주(楊州)에 있는 산 이름. 삼국시대의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조선 명종(明宗) 때 점술가 홍계관(洪啓寬)을 잘못 죽인 데서 ‘아차’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고사가 전함. 지금의 서울 광진구(廣津區)와 경기도 구리시(九里市)에 속함.
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아차산인(峨嵯山人) - 신잠(申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화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오랜 기간 유배되었음.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로 일컬어졌는데, 묵죽(墨竹)에 특히 뛰어났다고 함.
1491~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아천군(鵝川君) - 이증(李增)@이지숙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정여립(鄭汝立)의 옥사 때 공을 세위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후에는 국가의 기강을 바로잡는 데 헌신함.
1525~160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아천부원군(鵝川府院君) - 이증(李增)@이지숙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정여립(鄭汝立)의 옥사 때 공을 세위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후에는 국가의 기강을 바로잡는 데 헌신함.
1525~160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아함(阿咸) - 완함(阮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은자. 노장(老莊)의 허무주의(虛無主義)를 주장했고, 숙부인 완적(阮籍)과 함께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일원이 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아헌(啞軒) - 김응조(金應祖)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산음 현감(山陰縣監)을 지낸 김대현(金大賢)의 아들이며, 김성일(金誠一)의 손녀 사위. 유성룡(柳成龍)ㆍ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587~166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아형(阿衡) - 이윤(伊尹)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함. 태갑(太甲)이 탕왕의 법을 어기자 추방하고 직접 정치를 하다가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되돌려 주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아호(丫湖) - 신경진(辛慶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신응시(辛應時)의 아들.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문무(文武)의 재능을 겸비하여 명성이 높았고 예조 참판(禮曹參判)ㆍ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54~161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아호(鵝湖) - 육구연(陸九淵)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지형문군(知荊門軍) 등을 지냄. 주희(朱熹)의 성즉리설(性卽理說)에 반대하여 심즉리설(心卽理說)을 주장하고, 저서로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을 남김.
1139~119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아홍(阿鴻) - 곽마천(霍摩天)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 대장군(大將軍)을 지낸 곽광(霍光)의 아들.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