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옥계(玉溪)@신달정 - 신달정(辛達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효자. 본관은 영월(寧越). 고려 후기 전법 판서(典法判書)를 지낸 신당계(辛唐系)의 6세손. 효행(孝行)으로 예천(醴泉) 옥동사(玉洞祠)에 향사(享祀)됨.
1483~15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기타인명>효자
-
옥계거사(玉溪居士) - 정승복(鄭承復)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정내(鄭鼐)의 아들로, 중종 때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에 뽑혔으며,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전공(戰功)을 세워 함흥 판관(咸興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옥계노씨(玉溪盧氏)@노효손 - 노효손(盧孝孫)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진사에 급제하여 태학박사(太學博士) 등을 역임하고, 말년에 관직을 사양하고 학문에 매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옥계노씨(玉溪盧氏) - 노진(盧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의 아들로, 찰방(察訪)을 지낸 노관(盧祼)의 형. 기대승(奇大升)ㆍ노수신(盧守愼)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1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옥계도정(玉溪都正) - 이현동(李賢童)
조선 전기의 종친. 익안대군(益安大君)의 증손이며, 백파도정(白波都正) 이상(李常)의 장남. 생육신(生六臣)과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꾀하였으나 실패하자 이를 비관하여 농맹아(聾盲啞)로 일생을 마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옥계문집(玉溪文集) - 옥계집(玉溪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노진(盧禛)의 시문집. 목판본. 초간본은 문인 정염(丁焰)이 저자의 유고(遺稿) 가운데 약간을 초록(抄錄)하여 임진왜란 이전에 목판본으로 간행하였으나 남아 있지 않고, 손자 노척(盧脊)이 1632년(인조 10)에 중간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옥계부정(玉溪副正) - 이현동(李賢童)
조선 전기의 종친. 익안대군(益安大君)의 증손이며, 백파도정(白波都正) 이상(李常)의 장남. 생육신(生六臣)과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꾀하였으나 실패하자 이를 비관하여 농맹아(聾盲啞)로 일생을 마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옥계생(玉溪生) - 이상은(李商隱)
중국 당(唐) 나라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ㆍ시인. 영호초(令狐楚)에게 변려문(騈儷文)을 배웠으며, 풍부한 전고(典故)와 화려한 자구(字句)를 구사하여 당대 수사주의문학(修辭主義文學)의 극치를 보여줌. 태상박사(太常博士) 등을 지냄.
812~858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옥계선생(玉溪先生) - 노효손(盧孝孫)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진사에 급제하여 태학박사(太學博士) 등을 역임하고, 말년에 관직을 사양하고 학문에 매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옥계선생문집(玉溪先生文集) - 옥계집(玉溪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노진(盧禛)의 시문집. 목판본. 초간본은 문인 정염(丁焰)이 저자의 유고(遺稿) 가운데 약간을 초록(抄錄)하여 임진왜란 이전에 목판본으로 간행하였으나 남아 있지 않고, 손자 노척(盧脊)이 1632년(인조 10)에 중간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옥계정(玉溪正) - 이현동(李賢童)
조선 전기의 종친. 익안대군(益安大君)의 증손이며, 백파도정(白波都正) 이상(李常)의 장남. 생육신(生六臣)과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꾀하였으나 실패하자 이를 비관하여 농맹아(聾盲啞)로 일생을 마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옥곡(玉谷)@김기 - 김기(金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대사간을 지낸 김숭조(金崇祖)의 아들. 홍문관 전한(典翰)을 지낸 뒤 조졸(早卒)함.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전집(河西全集)》에 만시(挽詩) 두 편이 실려 있음.
1500~153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옥곡(玉谷) - 서흥(瑞興)
황해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교통상의 요지이며, 고려 원종(元宗) 때 임금의 태(胎)를 이곳에 묻음.
황해도>서흥 , 지명>행정지명
-
옥곡부령(玉谷副令) - 이계창(李啓昌)
조선 전기의 종친. 영의정 유순정(柳順汀)의 아들인 황간 현감(黃澗縣監) 유자(柳滋)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옥곤(玉崑) - 이옥곤(李玉崑)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세종(世宗)의 고손(高孫)으로, 덕림군(德林君) 이자(李孜)의 아들이며 진천군(晉川君) 이옥정(李玉貞)의 동생. 1550년(명종 5)에 역모를 꾀한다는 고변으로 형과 함께 국문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옥관(玉關) - 옥문관(玉門關)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인 B.C.2세기 말 감숙성(甘肅省) 돈황현(敦煌縣) 만리장성(萬里長城) 서쪽 끝에 설치한 관문. 북도(北道)의 출발점으로, 남도(南道)의 출발점인 양관(陽關)과 함께 서역(西域)으로 통하는 중요한 관문.
중국>전한 ,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옥녀(玉女) - 직녀(織女)
한국ㆍ중국ㆍ일본에 전래되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의 여자 주인공. 견우(牽牛)와 만나느라 베 짜는 일을 게을리 한 벌로 은하수(銀河水)를 사이에 두고 헤어지게 되었는데, 칠월 칠석(七夕)에야 오작교(烏鵲橋)를 통해 한 번 만난다 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옥노(玉奴)@양귀비 - 양귀비(楊貴妃)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비(妃). 본래 현종의 아들인 이모(李瑁)의 비로 궁에 들어왔으나 현종의 사랑을 받아 현종의 비가 됨. 오빠인 양국충(楊國忠)과 함께 정사를 전횡하다가 안사(安史)의 난(亂) 때 국난 초래를 문책받아 죽음.
719~75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옥노(玉奴) - 반비(潘妃)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 동혼후(東昏侯)의 비(妃). 용모는 아름다웠으나 사치스럽고 무절제하여 나라를 망하게 함. 전족(纏足)으로 황금의 연꽃 위를 걸었다는 일화가 전해지며, 이로써 전족을 금련(金蓮)이라 부르게 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옥당(玉堂) - 홍문관(弘文館)
조선 세조(世祖) 때 설치한 궁중의 경서(經書)ㆍ사적(史籍)의 관리, 문한(文翰)의 처리 및 왕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사헌부(司憲府)ㆍ사간원(司諫院)과 함께 삼사(三司)라고 불림.
14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관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