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옥여(玉汝)@김감 - 김감(金瑊)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1504년(연산군 10)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냄.
1476~153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옥영백(玉英伯) - 옥광형(玉光亨)
조선 선조(宣祖) 때의 생원. 본관은 반성(班城). 옥수강(玉守剛)의 아들로, 1579년(선조 12) 식년시(式年試)에 입격하였으며,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153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유학ㅣ인명>관인>문신
-
옥오(玉吾) - 유염(兪琰)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송 나라가 망하자 벼슬하지 않고 저술에 전념하여 《주역참동계발휘(周易參同契發揮)》등 많은 저서를 남김.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옥우(玉友)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옥위(玉緯) - 오성(五星)
중국에서 고대부터 알려져 있는 다섯 개 행성(行星)의 통칭. 목성(木星)ㆍ금성(金星)ㆍ화성(火星)ㆍ수성(水星)ㆍ토성(土星)을 일컫는 말로, 각각 동(東)ㆍ서(西)ㆍ남(南)ㆍ북(北)ㆍ중앙(中央)에 위치하여 그 방위를 관장하고 상징하는 것으로 인식됨.
자연물>천체
-
옥유(玉裕) - 김언침(金彦琛)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언양(彦陽). 임진왜란 의병장 김천일(金千鎰)의 아버지로, 1534년(중종 2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인명>문사>유학
-
옥의(玉螘)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옥의(玉蟻)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옥이(沃而) - 김석옥(金錫沃)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부령(扶寧)으로,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 김직손(金直孫)의 아들. 곧은 행실로 인망이 높아 김안국(金安國)이 그를 군자(君子)라 하여 조정에 천거함.
1477~153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문사>학자
-
옥이(玉耳) - 김당(金璫)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일파를 변호하는 태도를 취하였으며, 좌찬성(左贊成)으로 재임 중 죽음.
1465~153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옥재(玉齋) - 호방평(胡方平)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동몽정(董夢程)에게 역학(易學)을 전수받고 심귀요(沈貴瑤)를 스승으로 섬겨 《주역(周易)》에 정통하였으며, 저서에 《역학계몽통석(易學啓蒙通釋)》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옥적(玉笛) - 만파식적(萬波息笛)
신라 제31대 신문왕(神文王) 때 용으로부터 영험스런 대나무를 얻어 만들었다는 전설상의 피리. 이것을 불면 소원을 이루게 되므로 나라의 보물로 삼아 효소왕(孝昭王) 때 만만파파식적(萬萬波波息笛)이라고 가호(加號)하였는데 현존하지 않음.
682 한국>통일신라 , 물품>기타용품>악기
-
옥전(玉田) - 종옥(種玉)
아름다운 여인을 아내로 맞이하는 것을 이르는 말. 《수신기(搜神記)》에 중국 한(漢) 나라 사람인 양옹백(楊雍伯)이 밭에 돌을 심고 옥(玉)을 캐어, 아내를 얻었다는 데서 유래함.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옥전(玉田)@달온 - 달온(達蘊)
고려 후기의 승려(僧侶). 임관사(林觀寺)의 주지(住持)를 지냄. 속성(俗姓)은 조씨(曺氏)로 본관은 창녕(昌寧).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종교인>승려
-
옥정(玉亭) - 양준(楊浚)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학자
-
옥정(玉精)@양옥정 - 양옥정(梁玉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양난손(梁蘭孫)의 아들이며, 죽재(竹齋) 양철견(梁鐵堅)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옥정(玉精) - 방옥정(房玉精)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방유륜(房有倫)의 아들로, 1472년(성종 3)에 춘당대시(春塘臺試)에 급제하여 문학(文學)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옥정(玉貞) - 이옥정(李玉貞)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종친. 세종(世宗)의 4대손으로, 덕림군(德林君) 이자(李孜)의 아들. 정의대부(正義大夫)에 오르고, 1550년(명종 5)에 역모를 꾀한다는 고변으로 동생 이옥곤(李玉崑)과 함께 국문을 받음.
1513~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옥제(玉帝) - 옥황상제(玉皇上帝)
도가(道家)의 최고신. 중국 도교의 신들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지고 공경받음.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옥주(沃州)@진도 - 진도(珍島)
전라남도 서남단 해남반도(海南半島) 남서쪽에 있는 고을 이름. 사적으로 용장산성(龍藏山城)ㆍ남도석성(南挑石城)ㆍ운림산방(雲林山房)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의 대표적 민요인 ‘진도아리랑’의 발상지.
전라도>진도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