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옹정(瓮井) - 김태복(金泰福)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부안(扶安). 창락도 찰방(昌樂道察訪) 김광(金光)의 아들로, 1585년(선조 1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영광성(靈光城)을 지킴.
155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문사>유학
-
옹집(雍緝) - 박옹집(朴雍緝)
조선 전기의 유학. 하항(河沆)의 《각재집(覺齋集)》에 만시(挽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곤양 , 인명>문사>유학
-
옹천(甕泉) - 김석홍(金錫弘)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화를 입은 기묘당인(己卯黨人) 중의 한 명.
1493~156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옹천(甕遷) - 옹진(甕津)
황해도 남서부 옹진반도(甕津半島)에 있는 고을 이름. 황해(黃海)의 해안선을 서남쪽에 끼고 있어 예로부터 많은 전란을 겪어 오랫동안 수군진영(水軍鎭營) 등 국방의 요충지가 많았음.
황해도>옹진 , 지명>행정지명
-
옹희(雍熙) - 문왕(文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聖君) 가운데 한 사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와(媧) - 여와(女媧)
중국 고대 전설상의 여신(女神). 인수사신(人首蛇身)의 형상을 지녔으며, 오색(五色)의 돌을 다듬어 하늘을 깁고 자라의 발을 잘라 사방을 받쳤다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와도헌(臥陶軒) - 이인로(李仁老)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원(慶源).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오세재(吳世才)ㆍ임춘(林椿) 등과 교유하고,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등을 지냄. 시문(詩文)뿐만 아니라 초서(草書)ㆍ예서(隸書)에도 능함.
1152~1220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와룡(臥龍) - 제갈량(諸葛亮)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 뛰어난 전략가(戰略家)로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의 예(禮)에 감격하여 그를 도와 오(吳) 나라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촉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움.
221~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와운자(臥雲子) - 김택룡(金澤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조목(趙穆)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이황(李滉)의 문하생들과 교유함.
1547~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와유당(臥遊堂) - 박진경(朴晉慶)
조선 선조(宣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정구(鄭逑)와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영숭전 참봉(永崇殿參奉)을 지내고, 병자호란 때 최현(崔晛)과 더불어 의병을 일으킴. 남강서원(南岡書院)에 배향됨.
1581~16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
-
와주(瓦注)@관동와주 - 관동와주(關東瓦注)@안축
고려 후기의 문신인 안축(安軸)이 충혜왕(忠惠王) 때 강릉도 존무사(江陵道存撫使)로 나아가 지은 시문집(詩文集). 1364년(공민왕 13)에 사위 정양생(鄭良生)이 청주(淸州)에서 간행했으며, 충군애민(忠君愛民)의 내용을 담고 있음.
136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문헌>서명
-
와주(瓦注) - 안경공(安景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태조(太祖) 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냄. 정도전(鄭道傳)ㆍ남은(南誾)의 죄를 감해줄 것을 요청했다가 탄핵을 받음.
1347~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와주집(瓦注集) - 관동와주(關東瓦注)@안축
고려 후기의 문신인 안축(安軸)이 충혜왕(忠惠王) 때 강릉도 존무사(江陵道存撫使)로 나아가 지은 시문집(詩文集). 1364년(공민왕 13)에 사위 정양생(鄭良生)이 청주(淸州)에서 간행했으며, 충군애민(忠君愛民)의 내용을 담고 있음.
136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문헌>서명
-
와활태(窩濶台) - 태종(太宗)@원
몽고 제국의 제2대 칸이며,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 재위 1229~1241. 태조(太祖)로 추존된 칭기즈칸의 셋째 아들로, 몽고 제국의 영토를 서유럽까지 확장시켰으며 몽고 제국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함.
1185~1241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와황(媧皇) - 여와(女媧)
중국 고대 전설상의 여신(女神). 인수사신(人首蛇身)의 형상을 지녔으며, 오색(五色)의 돌을 다듬어 하늘을 깁고 자라의 발을 잘라 사방을 받쳤다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완(完) - 복완(伏完)
중국 후한(後漢) 때의 외척. 헌제(獻帝)의 비(妃) 복황후(伏皇后)의 아버지로, 조조(曹操)를 죽이려고 모의를 꾀하다 발각되어 죽음. 시중(侍中)을 지냄.
?~20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완(完)@이완 - 이완(李完)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하(李河)의 아들이며, 숙부인 이황(李滉)의 문인. 영천 교관(永川敎官)으로 재직시 임진란에 창의(倡義)하고, 조목(趙穆)과 함께 이산서당(伊山書堂)에서 〈성학십도(聖學十圖)〉를 강론함.
1512~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완(岏) - 봉성군(鳳城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여섯 번째 서자. 희빈홍씨(熙嬪洪氏)의 소생. 인종(仁宗) 때 경기 관찰사 김명윤(金明胤)의 무고로, 계림군(桂林君) 이유(李瑠)와 함께 반역을 꾀한다 하여 유배되었다가 명종(明宗) 때 사사됨.
?~154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완(浣) - 정완(鄭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예조(禮曹)ㆍ이조(吏曹)의 정랑(正郞)을 지내다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현풍(玄風)에 부처됨.
1473~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완(玩) - 성완(成玩)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성희문(成希文)의 아버지로,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