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완백(完伯) - 민진후(閔鎭厚)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아들이며, 숙종 비(妃)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오빠이자 좌의정을 지낸 민진원(閔鎭遠)의 형.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ㆍ예조 판서(禮曹判書)ㆍ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냄.
1659~172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완벽(完璧) - 화씨벽(和氏璧)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변화(卞和)가 형산(荊山)에서 발견한 옥돌을 가공하여 얻은 보옥(寶玉)으로, 인재(人才)를 가리키는 말. 문왕(文王)만이 그 진가를 인정했으며, 진(秦) 나라 소양왕(昭襄王)이 15개의 성(城)과 맞바꾸려다가 인상여(藺相如)로 인해 실패했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완산(完山) - 이긍익(李肯翊)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광사(李匡師)의 아들. 가학(家學)을 따라 양명학(陽明學)을 익혔으며, 저서로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이 있음.
1736~180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완산군(完山君)@최재 - 최재(崔宰)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선부 전서(選部典書)를 지낸 최득평(崔得枰)의 아들로 성품이 강직함. 전리 판서(典理判書)ㆍ개성 윤(開城尹)을 지낸 뒤, 벼슬을 사퇴하고 낙향함.
1303~137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완산군(完山君)@이천우 - 이천우(李天祐)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서형(庶兄)인 이원계(李元桂)의 아들로, 이성계의 휘하에서 왜구를 토벌하는 데 공을 세우고, 조선 개국 후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완산군(完山君)@이원계 - 이원계(李元桂)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무신. 조선 태조(太祖)의 이복형(異腹兄). 홍건적(紅巾賊)을 격퇴하여 공신에 책록되고, 황산(荒山) 싸움에서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왜구를 격퇴하였으며,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에 참여하여 회군공신(回軍功臣)에 책록됨.
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완산군(完山君) - 배정(裵挺)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찬성사(贊成事)를 지내고 수첨의정승(守僉議政丞)으로 치사(致仕)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완산군(完山君)@이축 - 이축(李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안악 군수(安岳郡守) 시절 한준(韓準)ㆍ박충간(朴忠侃)ㆍ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고변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이 되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538~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산군(完山君)@최아 - 최아(崔阿)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완산백(完山伯) - 유습(柳濕)
고려 후기~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고려 말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을 지낸 유탁(柳濯)의 아들로, 전주유씨(全州柳氏)의 시조. 조선 건국 후 이조 전서(吏曹典書)ㆍ중군 도총제(中軍都摠制) 등을 지냄.
1367~143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산부령(完山副令) - 이복윤(李福胤)
조선 전기의 종친.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손자이자 이엄(李儼)의 아들로, 완산부령(完山副令)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환조 - 환조(桓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아버지. 도조(度祖) 이춘(李椿)의 아들로, 공민왕 때 공을 세워 삭방도 만호 겸 병마사(朔方道萬戶兼兵馬使)로 임명됨. 태조가 등극하자 환왕(桓王)으로, 태종(太宗) 때 다시 환조(桓祖)로 추존됨.
1315~1360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태조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최군옥 - 최군옥(崔群玉)
고려시대의 문신.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충공파(文忠公派)의 시조. 삼중대광(三重大匡)으로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이욱 - 이욱(李郁)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사공신(靖社功臣) 이후원(李厚源)의 아버지로 봉산 군수(鳳山郡守) 등을 지냄.
1558~161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 - 이천우(李天祐)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서형(庶兄)인 이원계(李元桂)의 아들로, 이성계의 휘하에서 왜구를 토벌하는 데 공을 세우고, 조선 개국 후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이축 - 이축(李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안악 군수(安岳郡守) 시절 한준(韓準)ㆍ박충간(朴忠侃)ㆍ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고변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이 되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538~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산유씨(完山柳氏) - 전주유씨(全州柳氏)
문화유씨(文化柳氏)에서 분적(分籍)된 계통으로, 유차달(柳車達)을 시조로 삼고 고려 말에 완산백(完山伯)에 추봉된 유습(柳濕)을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집단>성씨
-
완산이씨(完山李氏) - 전주이씨(全州李氏)
신라 때 사공(司空)을 지낸 이한(李翰)을 시조로 하는 성씨. 조선시대의 국성(國姓).
한국>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집단>성씨
-
완산최씨(完山崔氏) - 전주최씨(全州崔氏)
고려시대의 인물인 최순작(崔純爵)ㆍ최군옥(崔群玉)ㆍ최균(崔均)ㆍ최아(崔阿)를 각각의 시조로 삼아, 동본이면서도 계보를 달리하는 네 계통을 아울러 일컫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집단>성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