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연량(淵亮) - 하연(河演)
조선 태조(太祖)~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불교의 일곱 종파를 선(禪)ㆍ교(敎) 양종으로 통합하고, 혁파된 사원의 토지와 노비를 국가에 환수하게 하였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문종(文宗)의 묘정에 배향됨.
1376~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연려술(燃藜述)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조선 정조(正祖) 때의 학자인 이긍익(李肯翊)이 편찬한 야사집(野史集). 34권. 조선 태조(太祖)부터 숙종(肅宗) 때까지 각 왕대의 주요한 사건을 기록하고, 전례(典禮)ㆍ문예(文藝)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의 편목(篇目)을 추가하여 그 연혁을 기재함.
1911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연려실(燃藜室) - 이긍익(李肯翊)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광사(李匡師)의 아들. 가학(家學)을 따라 양명학(陽明學)을 익혔으며, 저서로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이 있음.
1736~180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연려실전고(燃藜室典故)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조선 정조(正祖) 때의 학자인 이긍익(李肯翊)이 편찬한 야사집(野史集). 34권. 조선 태조(太祖)부터 숙종(肅宗) 때까지 각 왕대의 주요한 사건을 기록하고, 전례(典禮)ㆍ문예(文藝)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의 편목(篇目)을 추가하여 그 연혁을 기재함.
1911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연령(延齡)@허연령 - 허연령(許延齡)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하양(河陽). 단종(端宗) 복위를 모의한 허조(許慥)의 아들로, 거사가 실패하자 형제인 허구령(許九齡)과 함께 아버지의 죄에 연좌되어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문사>유학
-
연령(延齡) - 노연령(魯延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노인산(魯仁山)의 아들로, 경성 교수(鏡城敎授)를 역임했고 임형수(林亨秀)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연례(燕禮)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연록(延祿) - 남연록(南延祿)
조선 후기의 유학. 유성룡(柳成龍)의 문하생으로, 풍악서당(豐岳書堂)을 병산(屛山)으로 이건(移建)할 때 일을 담당함. 유성룡의 《서애집(西厓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연루(燕樓) - 연자루(燕子樓)
경상도 김해(金海)의 부성(府城) 복판을 흐르던 호계(虎溪) 위에 있었던 누각. 조선 전기에 김일손(金馹孫)이 세웠으며, 근처에 청심루(淸心樓)와 함허정(涵虛亭)이 있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유적>건물>누정
-
연릉(延陵) - 계찰(季札)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오(吳) 나라의 공자(公子). 각 제후국을 사신으로 순방하면서 예학을 논하는 등 박학하고 통명한 식견을 선보이며 현인으로 명성을 떨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연릉계자(延陵季子) - 계찰(季札)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오(吳) 나라의 공자(公子). 각 제후국을 사신으로 순방하면서 예학을 논하는 등 박학하고 통명한 식견을 선보이며 현인으로 명성을 떨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연릉군(延陵君) - 이호민(李好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명(明) 나라의 군대를 불러오는 데 기여함. 적서(嫡庶)의 구별 없이 장자를 옹립하자는 입장론(立長論)을 주장함.
1553~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연릉부원군(延陵府院君) - 이호민(李好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명(明) 나라의 군대를 불러오는 데 기여함. 적서(嫡庶)의 구별 없이 장자를 옹립하자는 입장론(立長論)을 주장함.
1553~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연말(沿沫) - 표연말(表沿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 때 김종직의 행장(行狀)을 미화하였다는 등의 죄명으로 경원(慶源)으로 유배가던 도중 죽었으며,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당했다가 뒤에 신원됨.
1449~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연명(延命) - 보현(普賢)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불교의 진리와 수행의 덕을 맡은 보살로,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왼쪽의 문수(文殊)와 함께 협시보살(脇侍菩薩)로서 석가의 중생 제도(衆生濟度)를 도움.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연명(淵明)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연명(然明) - 종명(鬷明)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대부. 외모가 매우 못생겼으나 훌륭한 재능을 지니고 있어 진(晉) 나라의 대부 양설힐(羊舌肹)이 그의 목소리만 듣고도 종명임을 간파했다는 고사가 전해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연명집(淵明集) - 도연명집(陶淵明集)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의 시문집(詩文集). 귀거래사(歸去來辭)ㆍ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ㆍ음주이십수(飮酒二十首) 등 많은 명작이 실려 있음. 8권
중국 , 문헌>서명
-
연무(淵武) - 환조(桓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아버지. 도조(度祖) 이춘(李椿)의 아들로, 공민왕 때 공을 세워 삭방도 만호 겸 병마사(朔方道萬戶兼兵馬使)로 임명됨. 태조가 등극하자 환왕(桓王)으로, 태종(太宗) 때 다시 환조(桓祖)로 추존됨.
1315~1360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연방(蓮坊)@이준경 - 이준경(李浚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조 때 신진 사류(新進士類)와 기성 사류(旣成士類) 사이의 알력을 조정하려다가 신진 사류의 정적(政敵)이 되어 공격을 받음.
149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