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연정(連丁) - 이연정(李連丁)
조선 전기의 종친.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
1470~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왕실>종친
-
연제군(硯堤君) - 이작(李碏)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의 증손이며, 봉성군(蓬城君) 이항(李恒)의 아들이고 언보(彦輔) 이경충(李景忠)의 아버지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연제사(練祭祀) - 연제(練祭)
상례(喪禮)의 일종으로, 소상(小祥)을 앞당겨 치루는 것을 말함. 아버지가 생존해 있는데 어머니가 먼저 죽었을 경우, 1년 만에 지내는 소상을 11개월 만에 지냄.
법제>의례>가례
-
연조(延祖) - 김연조(金延祖)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김대현(金大賢)의 아들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 등을 지냄.
158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연족(延族) - 허경종(許敬宗)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 간신 이의부(李義府)와 함께 황후 왕씨를 폐위시키고 측천무후(則天武后)가 황후에 책봉되는 데 기여함. 예부 상서(禮部尙書)ㆍ시중(侍中) 등을 지냄.
592~67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연종(衍宗) - 이연종(李衍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가리((加利). 이승휴(李承休)의 아들로, 감찰대부(監察大夫) 등을 역임하였으며, 부친의 문집인 《동안거사집(動安居士集)》을 초간(初刊)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연주(延州) - 연안(延安)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 도호부를 설치하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귀속됨.
황해도>연안 , 지명>행정지명
-
연주(延州)@영변 - 영변(寧邊)
평안도 남동부에 있는 군(郡). 구룡강(九龍江) 하류에 있어 군사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 비옥한 평야가 있어 농산물이 많이 생산됨.
평안도>영변 , 지명>행정지명
-
연주(燕主) - 연산군(燕山君)
조선의 제10대 왕. 재위 1494~1506. 재위 중 무오ㆍ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파를 비롯한 문신들을 대거 처형하고 언관(言官) 제도를 크게 축소했으며, 당시 사대부들의 윤리관에 어긋나는 행동을 거듭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됨.
1476~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연주(連州) - 개천(价川)
평안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시대에 조양진(朝陽鎭)으로 불렸으며, 1413년(태종 13)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침.
평안도>개천 , 지명>행정지명
-
연주(連珠) - 능성(綾城)
전라남도 화순(和順) 능주면(綾州面) 일대 지역의 옛 이름. 1632년(인조 10)에 능주(綾州)로 개칭함.
940~16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시대 , 전라도>화순 , 지명>행정지명
-
연주(漣州) - 연천(漣川)
경기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구석기ㆍ신석기 시대의 유물ㆍ유적이 대량 발굴됨.
경기도>연천 , 지명>행정지명
-
연주(漣州)@개천 - 개천(价川)
평안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시대에 조양진(朝陽鎭)으로 불렸으며, 1413년(태종 13)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침.
평안도>개천 , 지명>행정지명
-
연주군부인(連珠郡夫人) - 인헌왕후(仁獻王后)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어머니이자 추존왕 원종(元宗)의 비. 본관은 능성(綾城). 능안부원군(綾安府院君) 구사맹(具思孟)의 딸로, 1632년(인조 10) 정원군(定遠君)이 원종으로 추존됨에 따라 인헌왕후로 추존됨.
1578~16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연주산(延州山) - 묘향산(妙香山)
평안도 향산(香山)ㆍ영변(寧邊)ㆍ희천(熙川) 등에 걸쳐 있는 산 이름. 5대 명산의 하나로 상고시대에 환웅(桓雄)이 내려와 신시(神市)를 세웠다는 설이 있음.
평안도>희천ㅣ평안도>영변 , 지명>자연지명
-
연지(延之)@김수증 - 김수증(金壽增)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상헌(金尙憲)의 손자.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동생 김수항(金壽恒)이 죽자 벼슬을 그만두고 화음동(華蔭洞)으로 들어가 은둔함.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음.
1624~1701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연지(延之) - 우무(尤袤)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문신. 태상소경(太常少卿) 등의 벼슬을 역임했고, 범성대(范成大)ㆍ육유(陸游)ㆍ양만리(楊萬里) 등과 남송사가(南宋四家)라 칭송됨.
1127~120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연지(延之)@안연지 - 안연지(顔延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서시랑(中書侍郞) 등을 지내고, 유교(儒敎)와 불교(佛敎)에 통달하여 삼세인과(三世因果)의 설을 주장함. 문장에 뛰어나 사영운(謝靈運)과 함께 ‘안사(顔謝)’로 불림.
384~45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연지(演之)@하연 - 하연(河演)
조선 태조(太祖)~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불교의 일곱 종파를 선(禪)ㆍ교(敎) 양종으로 통합하고, 혁파된 사원의 토지와 노비를 국가에 환수하게 하였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문종(文宗)의 묘정에 배향됨.
1376~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연지(演之) - 최연(崔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최세건(崔世楗)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소윤(小尹)에 가담하여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동원군(東原君)에 봉해짐. 《무정보감(武定寶鑑)》을 편찬하고, 시문(詩文)에 능함.
1503~154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