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영경(靈卿) - 안몽원(安夢黿)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영계(榮啓) - 영계기(榮啓期)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은자. 가난하여 갈옷을 입고 새끼로 띠를 했지만, 사람과 남자로 태어나 장수한 것에 만족하여 거문고를 켜고 노래를 하고 다녔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영계(瀯溪) - 신희남(愼喜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붕당을 싫어하여 자청해서 금산 군수(金山郡守)로 나갔다가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내려갔으며, 시와 글씨에 뛰어나 한호(韓濩)에게 서예를 가르침.
1517~159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
-
영고(寧考) - 효종(孝宗)@조선
조선 제17대 왕. 재위 1649~1659. 병자호란(丙子胡亂) 직후 소현세자(昭顯世子)와 함께 청(淸) 나라의 볼모로 8년간 머묾. 즉위 후 송시열(宋時烈)을 중용하여 북벌계획을 수립하고, 대동법(大同法) 시행과 상평통보(常平通寶)를 주조하는 등 경제시책에 업적을 남김.
1619~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영고(永固)@김영고 - 김영고(金永固)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인경(金仁鏡)의 아버지로, 1173년(명종 3) 김보당(金甫當)의 난에 연루되어 영주(寧州) 옥에서 사형을 받게 되었으나 이준의(李俊儀)의 도움으로 풀려남. 벼슬이 합문지후(閤門祗候)에 이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영고(永固) - 세조(世祖)@남북조(전진)
중국 남북조시대 전진(前秦)의 제3대 황제. 재위 357~385. 태학(太學)을 정비하고 학문을 장려하며 전연(前燕)과 전량(前凉)을 멸하고 강북(江北) 지방을 통일하였으나, 동진(東晉) 공략 때 비수(淝水) 전투에서 대패하고, 후진(後秦)의 요장(姚萇)에게 살해됨.
338~3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고(颖考) - 하증(何曾)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하소(何劭)의 아버지로, 무제(武帝) 때 태위(太尉)를 지냄. 의식(衣食)에 사치를 부려 하루에 1만 전(錢) 상당의 성찬을 먹고 지냈다 하며, 위(魏) 나라의 권신(權臣) 사마의(司馬懿)와 교분을 쌓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영곡(影谷) - 황집중(黃執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창원(昌原). 1576년(선조 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경력(經歷)을 지냄. 묵포도(墨葡萄)를 잘 그려 이정(李霆)의 묵죽(墨竹)과 어몽룡(魚夢龍)의 묵매(墨梅)와 함께 삼절(三絶)로 불림.
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영곡(郢曲) - 영중곡(郢中曲)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악곡(樂曲). 양춘곡(陽春曲)ㆍ백설곡(白雪曲) 등 수준 높은 노래가 많아 일반적으로 격조 높은 노래를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기타>가무ㅣ사상>술어>관용어
-
영곡(靈谷) - 고득종(高得宗)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상장군 고봉지(高鳳智)의 아들. 문장과 서예에 뛰어났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사후에 정문(旌門)이 세워짐.《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몇 편의 시가 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강음ㅣ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영골(靈骨) - 사리(舍利)
참된 불도(佛道)의 수행 결과로 생기는 구슬 모양의 유골. 양산(梁山) 통도사(通度寺)와 오대산(五臺山) 상원사(上院寺) 등에 석가(釋迦)의 진신사리(眞身舍利)가 봉안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짐.
사상>현상>신체증상
-
영공(令公)@김전 - 김전(金澱)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양준(金良俊)의 아들이고, 김익(金瀷)의 동생. 철산 군수(鐵山郡守)ㆍ김해 부사(金海府使) 등을 지냈으며, 박승임(朴承任)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영공(令公) - 신완(申琓)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박세채(朴世采)의 문인으로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세자였던 경종(景宗)을 시해하려 했다는 혐의로 탄핵을 받음.
1646~170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영공(永公) - 각겸(覺謙)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나암 유공(懶庵游公)과 함께 오대산(五臺山)의 수정암(水精菴)을 중수함.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ㆍ권근(權近)ㆍ정도전(鄭道傳) 등과 시(詩)로써 교유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홍천 , 인명>종교인>승려
-
영공(潁公) - 영고숙(潁考叔)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효자ㆍ무신. 정(鄭) 장공(莊公)에게 받은 고기를 먹지 않고 모친에게 드림으로써 효도의 의미를 일깨워주었으며, 정백(鄭伯)의 무호기(蝥弧旗)를 들고 적군의 성벽에 먼저 올라가는 용맹을 보여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무신
-
영공(英公)@찬영 - 찬영(粲英)
고려 충정왕(忠定王)~공양왕(恭讓王) 때의 승려. 사복시 직장(司僕寺直長) 한적(韓績)의 아들이고, 보우(普愚)의 제자. 공민왕(恭愍王) 때 양가도승록(兩街都僧錄)이 되고, 우왕(禑王) 때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사후에 국사(國師)의 시호를 받음.
1328~139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영공(英公) - 이적(李勣)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고종(高宗) 때의 명장. 요동도 행군대총관(遼東道行軍大總官)으로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때 안시성(安市城)을 침공하였으나 함락시키지 못했다가 재차 침공하여 고구려를 멸망시킴. 이정(李靖)과 함께 ‘영위(英衛)’로 병칭됨.
594~66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영관(瀛館) - 홍문관(弘文館)
조선 세조(世祖) 때 설치한 궁중의 경서(經書)ㆍ사적(史籍)의 관리, 문한(文翰)의 처리 및 왕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사헌부(司憲府)ㆍ사간원(司諫院)과 함께 삼사(三司)라고 불림.
14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관청
-
영광사우(榮光祠宇) - 영강서원(榮江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나주(羅州)에 건립된 서원. 이원(李黿)ㆍ이해(李蟹) 등을 배향함.
171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영구(營丘) - 이성(李成)
중국 송(宋) 나라의 화가. 산수화(山水畫)에 매우 뛰어나 관동(關仝)ㆍ범관(范寬)과 더불어 ‘삼가산수(三家山水)’로 일컬어짐.
919~967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