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숙형(叔亨)@홍석복 - 홍석복(洪碩福)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군수 홍사원(洪士源)의 아들이며 기묘명유(己卯名儒) 홍순복(洪順福)의 아우로, 1534년(중종 2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유학
-
숙형(叔亨) - 조응공(趙應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임천(林川). 선조(宣祖) 때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조원(趙瑗)의 생부로,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임천 , 인명>관인>문신
-
숙형(叔衡) - 진유경(秦有經)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기(豊基). 진호(秦浩)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숙형(淑亨) - 송숙형(宋淑亨)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훈련원 참군(訓鍊院參軍)을 지내고, 김일손(金馹孫)과 함께 김해 향약(金海鄕約)을 제정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숙홍(叔洪) - 허회(許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천(陽川). 허변(許汴)의 아우이며, 허직(許稷)의 아버지로,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유학
-
숙화(叔和) - 두무(杜撫)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 때의 문신ㆍ학자. 경백(敬伯) 등과 함께 설한(薛漢)에게 수학하고 《한시장구(韓詩章句)》를 편정하였으며, 공거령(公車令) 등을 지냄. 후에 낙향하여 1천여 명의 제자를 배출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숙황(淑璜) - 이숙황(李淑璜)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예빈 소윤(禮賓少尹) 이말정(李末丁)의 아들이며 이형례(李亨禮)의 아버지. 1468년(세조 14)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성균관 직강(成均館直講)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숙황제(肅皇帝)@세종 - 세종(世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2대 황제. 재위 1521~1566. 흥헌왕(興獻王) 주유원(朱裕元)의 맏아들로, 재임 중 도교에 심취하여 엄숭(嚴嵩) 등의 난정을 초래함.
1507~1566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숙황제(肅皇帝) - 순조(純祖)
조선 제23대 국왕. 재위 1800~1834. 형인 문효세자(文孝世子)가 일찍 죽어 1800년(정조 24) 왕세자에 책봉되고 즉위했으나, 홍경래(洪景來)의 난과 외척세력의 견제로 아들 효명세자(孝明世子)에게 대리청정(代理聽政)을 시킴.
1790~18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숙회(叔晦)@권위 - 권위(權暐)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정탁(鄭琢)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했고, 해미(海美)ㆍ강진(康津)의 현감(縣監)과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숙회(叔晦) - 심환(沈煥)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심학(心學)을 주장한 육구연(陸九淵)의 문인.
1139~119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숙후(叔厚) - 배숙후(裵叔厚)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감찰(監察)을 지낸 배진(裵縉)의 아들로, 이조 정랑(吏曹正郎)ㆍ오수 찰방(鰲樹察訪)을 지냄.
?~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숙후(肅侯) - 신비(辛毗)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의 건의관(建議官). 문제(文帝) 때에 시중(侍中)이 되었으며 직간(直諫)을 좋아했음. 견거절함(牽裾折檻)의 고사로 유명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숙흠(叔欽) - 기효근(奇孝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고흥군(高興君) 기대유(奇大有)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남해 현령(南海縣令)으로 전함ㆍ무기를 수리하고, 원균(元均)을 따라 사천(泗川)에서 싸워 공을 세움.
1542~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성ㅣ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무신
-
숙흥야매잠해(夙興夜寐箴解) - 숙흥야매잠주해(夙興夜寐箴註解)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노수신(盧守愼)이 중국 송(宋) 나라 진백(陳栢)의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을 주해한 책.
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도 , 문헌>서명
-
숙희(叔喜) - 이중경(李重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영부(李英符)의 아들로,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 여러 요직을 두루 지냄.
1517~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순(峋) - 이순(李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세조(世祖) 때 승문원 참교(承文院參校)를 지낸 이지(李墀)의 손자이자,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낸 이명규(李名珪)의 아버지. 의영고 영(義盈庫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순(循)@설순 - 설순(偰循)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설경수(偰慶壽)의 아들로, 1431년(세종 13)에 왕명으로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편수했으며, 저서에 윤회(尹淮)와 함께 저술한 《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가 있음.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14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순(循) - 이순(李循)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순(恂)@김순 - 김순(金恂)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방경(金方慶)의 넷째 아들. 1312년(충선왕 4)에 상락군(上洛君)에 봉해졌으며,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오름. 성격이 관후(寬厚)하고 예서(隷書)를 잘 썼으며, 거문고와 퉁소를 즐김.
1258~132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