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순양자(純陽子) - 여암(呂巖)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선인(仙人) 종리권(鐘離權)에게 전수받은 천둔검법(天遁劍法)과 금단(金丹)의 비법을 써서 민중을 고통으로부터 구했다고 함.
79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순양조사(純陽祖師) - 여암(呂巖)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선인(仙人) 종리권(鐘離權)에게 전수받은 천둔검법(天遁劍法)과 금단(金丹)의 비법을 써서 민중을 고통으로부터 구했다고 함.
79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순어(筍魚) - 설순빙리(雪筍冰鯉)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맹종(孟宗)이 눈 속에서 죽순(竹筍)을 구한 일과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왕상(王祥)이 얼음을 녹여 잉어를 얻은 일에서 나온 고사성어로, 지극한 효성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순여(恂如) - 사마순(司馬恂)
중국 명(明) 나라 경종(景宗) 때의 문신. 1450년(조선 세종 32) 한림원 시강(翰林院侍講) 예겸(倪謙)과 함께 경종의 즉위를 알리고자 조선에 와서 정인지(鄭麟趾) 등과 학문적 교류를 나눔.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순영(舜英) - 무궁화(無窮花)
아욱과의 낙엽관목(落葉灌木). 꽃이 끊임없이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는 데서 세속의 행복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상징하며, 산울타리 등에 널리 이용됨. 강희안(姜希顔)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 ‘근역(槿域)’에 관한 기록이 있음.
자연물>식물
-
순왕(順王) - 순종(順宗)@고려
고려 제12대 국왕. 재위 1083~1083. 1054년(문종 8) 왕태자(王太子)에 책봉되고, 문종(文宗)이 죽자 즉위하나 그해에 죽음.
1046~108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순요(荀瑤) - 지백(智伯)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경(卿). 조양자(趙襄子)를 공격하려다가, 조(趙)ㆍ한(韓)ㆍ위(魏)의 연합군에게 멸망당함.
?~B.C.45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순우(純祐) - 정순우(鄭純祐)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강서 현령(江西縣令)을 지낸 정한룡(鄭漢龍)의 아들.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천안 군수(天安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순우(荀虞) - 순언(荀偃)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대부. 난서(欒書)와 함께 여공(厲公)을 시해하고 망명해 있던 도공(悼公)을 영립(迎立)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순우녀(淳于女) - 제영(緹縈)
중국 후한(後漢) 때의 효녀. 태창공(太倉公) 순우의(淳于意)의 딸로, 아버지가 죄를 짓자 자신을 관비(官婢)로 삼고 아버지의 죄를 없애 줄 것을 상서(上書)하여 문제(文帝)가 면죄해 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순원(順源) - 유순원(柳順源)
조전 전기의 문신. 《모재집(慕齋集)》에 〈유생원순원자진림정(柳生員順源子晉林亭)〉 등의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순원군(順原君) - 이개(李𧪚)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첫째 아들.
?~14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순원위(淳原尉) - 조의정(趙義貞)
조선 제11대 중중(中宗)의 부마. 본관은 순창(淳昌). 부사(府使)를 지낸 조침(趙琛)의 아들로, 숙의이씨(淑儀李氏)의 소생인 효정옹주(孝靜翁主)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왕실>인척
-
순원현경(順元顯敬) - 신덕왕후(神德王后)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계비(繼妃). 본관은 신천(信川). 상산부원군(象山府院君) 강윤성(康允成)의 딸로, 태조가 즉위하자 현비(顯妃)에 책봉됨.
?~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포천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순은(醇隱) - 신덕린(申德隣)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서화가. 본관은 고령(高靈). 해서(楷書)ㆍ초서(草書)ㆍ예서(隷書)에 능하며, 특히 예서의 한 종류인 팔분체(八分體)의 필체가 독특하여 당시 사람들이 덕린체(德隣體)라고 부름.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 등과 교유하고, 고려 멸망 후 광주(光州)에서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예술인>서화가
-
순의(循義) - 전순의(全循義)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의관(醫官). 1445년(세종 27) 세종의 명에 따라 《의방유취(醫方類聚)》의 편찬에 참여했으며, 1460년(세조 6년) 세조의 명으로 《식료찬요(食療撰要)》를 편찬함. 전의감 정(典醫監正)ㆍ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안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관인>문신
-
순의(舜儀) - 악소봉(樂韶鳳)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문신. 시강학사(侍講學士)를 지냈으며 송렴(宋濂) 등과 함께 《홍무정운(洪武正韻)》을 편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순의(順義) - 김순의(金順義)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제(金堤). 태재(泰齋) 유방선(柳方善)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유학
-
순익(舜翼) - 유순익(柳舜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궁궐 호위를 완화시키는 임무를 수행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청천군(菁川君)에 봉해짐.
1559~163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순인(純仁)@탁순인 - 탁순인(卓純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훈도(訓導)를 지낸 탁연(卓淵)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