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엄릉(嚴陵) - 엄광(嚴光)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 벗으로 지내던 광무제가 왕이 된 뒤 간의대부(諫議大夫)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부춘산(富春山)에 들어가 양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은둔하였다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엄릉방씨(嚴陵方氏) - 방각(方慤)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저서로 《예기해의(禮記解義)》20권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엄릉산(嚴陵山) - 부춘산(富春山)
중국 절강성(浙江省) 동려현(桐廬縣) 서쪽에 위치한 산.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隱子)인 엄광(嚴光)이 숨어 살았던 곳으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엄리대수(奄利大水) - 압록강(鴨綠江)
함경도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滿洲)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
함경도>갑산ㅣ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엄부(嚴富) - 연부(年富)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 때의 문신. 호부 상서(戶部尙書) 등을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엄사기(嚴祠記) - 엄선생사당기(嚴先生祠堂記)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범중엄(范仲淹)이 지은 기문(記文). 범중엄이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인 엄광(嚴光)이 태어난 엄주(嚴州)의 태수(太守)가 되자 그를 기려 사당을 세우고 지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엄산(弇山) - 왕세정(王世貞)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젊을 때부터 문명이 높아 ‘후칠자(後七子)’의 한 사람으로 손꼽히고, 이반룡(李攀龍)과 함께 명대 후기 고문사파(古文辭派)의 지도자가 됨.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냄.
1526~159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엄산씨(弇山氏) - 왕세정(王世貞)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젊을 때부터 문명이 높아 ‘후칠자(後七子)’의 한 사람으로 손꼽히고, 이반룡(李攀龍)과 함께 명대 후기 고문사파(古文辭派)의 지도자가 됨.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냄.
1526~159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엄생뢰(嚴生瀨) - 엄릉뢰(嚴陵瀨)
중국 절강성(浙江省)에 있는 여울. 후한(後漢)의 엄광(嚴光)이 은거하여 농사를 지으면서 낚시질하던 곳.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엄자(嚴子) - 엄광(嚴光)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 벗으로 지내던 광무제가 왕이 된 뒤 간의대부(諫議大夫)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부춘산(富春山)에 들어가 양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은둔하였다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엄주(弇州) - 왕세정(王世貞)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젊을 때부터 문명이 높아 ‘후칠자(後七子)’의 한 사람으로 손꼽히고, 이반룡(李攀龍)과 함께 명대 후기 고문사파(古文辭派)의 지도자가 됨.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냄.
1526~159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엄주산인(弇州山人) - 왕세정(王世貞)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젊을 때부터 문명이 높아 ‘후칠자(後七子)’의 한 사람으로 손꼽히고, 이반룡(李攀龍)과 함께 명대 후기 고문사파(古文辭派)의 지도자가 됨.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냄.
1526~159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엄지(渰之) - 유엄(柳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1507년(중종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금부도사(禁府都事)로 조광조(趙光祖)에게 사약(賜藥)을 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업원(鄴園) - 이지방(李之芳)
중국 청(淸) 나라 세조(世祖)~성조(聖祖) 때의 문신. 오삼계(吳三桂)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문화전 태학사(文華殿太學士) 등을 지냄.
1622~1694 중국>청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업중칠자(鄴中七子) - 건안칠자(建安七子)
중국 후한(後漢) 헌제(獻帝) 때인 건안(建安) 연간에 시문(詩文)으로 이름을 떨친 일곱 명의 문학자. 조조(曹操)ㆍ조비(曹丕)ㆍ조식(曹植) 삼부자를 중심으로 모인 공융(孔融)ㆍ진림(陳琳)ㆍ왕찬(王粲)ㆍ서간(徐幹)ㆍ완우(阮瑀)ㆍ응창(鷹瑒)ㆍ유정(劉楨)을 이름.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업후(鄴侯)@이필 - 이필(李泌)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 어려서 신동(神童)으로 이름을 떨치고, 신선술(神仙術)에 탐닉하였으며, 현종(玄宗)ㆍ숙종(肅宗)ㆍ대종(代宗)ㆍ덕종(德宗) 네 황제에 걸쳐 국가 대사에 막중한 영향력을 행사함.
?~78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업후(鄴侯) - 이승휴(李承休)@당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덕종(德宗) 때 재상을 지낸 이필(李泌)의 아버지로, 2만여 권의 서책을 모아서 자손에게 물려주었다고 하며, 그의 서가(書架)를 ‘업가(鄴架)’라 일컬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勵) - 문려(文勵)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아들로, 정인홍(鄭仁弘)의 문인.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했으며,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왜적을 치는 데 공을 세워 선무 일등공신(宣武一等功臣)에 책록됨.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旅) - 조려(趙旅)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은자. 조안(趙安)의 아들. 조선 전기 생육신(生六臣) 중의 한 사람으로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향리에 은거하면서 평생을 보냄.
1420~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은자
-
여(欐) - 박려(朴欐)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이자 손서(孫壻). 초명은 박량(朴樑)이었으나 이황이 고쳐 주었으며, 경기좌도 수운판관(京畿左道水運判官)을 지냈음.
1551~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