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여(璵) - 광평대군(廣平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 태조(太祖)의 일곱째 아들인 무안대군(撫安大君) 이방번(李芳蕃)의 후사가 되었으며, 학문에 힘써 사서삼경(四書三經) 등에 능통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25~14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여(畬)@1645 - 이여(李畬)@1645
조선 현종(玄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식(李植)의 손자로,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역임하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에 면직되었으며, 갑술환국(甲戌換局)에 적극 참여하여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발탁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함.
1645~17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여(畬)@1503 - 이여(李畬)@1503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인로(李仁老)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문학(文學) 등을 지내고 학문연구에 힘써 역학(易學)에 정통함. 형 이치(李菑)와 함께 진천(鎭川)에 거주하면서 풍속 교화에 힘씀.
1503~154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여(礪) - 홍려(洪礪)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남양(南陽). 중종의 두 번째 서녀(庶女)인 혜정옹주(惠靜翁主)와 혼인하였으나, 복성군(福城君)의 옥사(獄事) 때 죽음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왕실>인척
-
여(膂) - 이려(李膂)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사사(賜死)된 이주(李胄)의 아우로,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역임함.
1484~15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여(袽) - 유여(柳袽)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풍원부원군(豐原府院君) 유성룡(柳成龍)의 아들이며,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인 유원지(柳元之)의 아버지로, 장수도 찰방(長水道察訪)을 지냈으며,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
1578~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여^마(呂^馬) - 마^여(馬^呂)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재상인 사마광(司馬光)과 여공저(呂公著)를 함께 부르는 말. 북송(北宋) 원우(元祐) 연간의 명신(名臣)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여^이(呂^伊) - 위^신(渭^莘)
중국 은(殷) 나라 때 위수(渭水)에서 낚시하다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재상이 된 여상(呂尙)과, 신야(莘野)에서 농사짓다 탕(湯) 임금의 재상이 된 이윤(伊尹)을 함께 부르는 말. 초야에서 발탁되어 왕조의 기반을 다진 어진 신하를 가리킴.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여^주(呂^朱) - 주^여(朱^呂)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을 함께 부르는 말. 송대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한 두 학자를 말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여가(呂家) - 여암(呂巖)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선인(仙人) 종리권(鐘離權)에게 전수받은 천둔검법(天遁劍法)과 금단(金丹)의 비법을 써서 민중을 고통으로부터 구했다고 함.
79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여가(汝嘉) - 김성장(金成章)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선조(先祖)인 동촌(桐村) 김린(金麟)이 은거했던 곳에 동백정(冬栢亭)을 세웠는데, 박광전(朴光前)이 쓴 〈동백정기(冬栢亭記)〉가 《죽천집(竹川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유학
-
여가(與可) - 문동(文同)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화가. 시문과 글씨, 특히 죽화(竹畵)에 뛰어나 후세에 묵죽(墨竹)의 개조(開祖)로 추앙받음.
1018~1079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여가(驪歌) - 여구가(驪駒歌)
고별(告別)하는 내용이 담겨있는 일시(逸詩). 《한서(漢書)》〈왕식전(王式傳)〉에 관련 부분이 있고, 주(註)에 설명이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여가장(女家莊) - 우가장(牛家庄)
중국 요동(遼東)에 있던 역참(驛站). 조선시대에 북경(北京)을 왕래할 때 경유하던 요동과 산해관(山海關) 사이의 16개 역참 중의 하나로, 해주위(海州衛)와 사령(沙嶺) 사이에 있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여각(汝恪) - 유여각(柳汝恪)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참찬(參贊) 유간(柳澗)의 아들로, 1613년(광해군 5)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래 부사(東萊府使)ㆍ강계 부사(江界府使) 등을 지냄.
15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간(汝幹) - 문홍운(文弘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성광(醒狂) 문할(文劼)의 아들.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하여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고, 1612년(광해군 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77~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유학
-
여강(呂江) - 여강(驪江)
경기 여주(驪州)에서 여주 지역을 흐르는 한강(漢江)을 일컫는 이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원호(元豪)가 왜적을 격퇴한 곳.
경기도>여주 , 지명>자연지명
-
여강(廬江) - 여산(廬山)
경상도 안동(安東) 임하현(臨河縣)에 있는 고을 이름. 호계서원(虎溪書院)이 조선 선조(宣祖) 때 여강서원(廬江書院)이란 이름으로 창건된 곳.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여강(驪江)@여주 - 여주(驪州)
경기도 동남부의 고을 이름. 고구려 때 골내근현(骨乃斤縣)이라 부른 이후, 여러 명칭으로 바뀌어 불리다가 1468년(예종 1) 여주라 하고 목(牧)으로 승격함.
경기도>여주 , 지명>행정지명
-
여강군(驪江君)@민무구 - 민무구(閔無咎)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 민제(閔霽)의 맏아들이며, 태종비 원경왕후(元敬王后)의 동생. 동생 민무질(閔無疾) 등과 함께 태종의 외척이며, 정사(定社)ㆍ좌명(佐命)의 두 공신을 겸하였으나, 협유집권(挾幼執權)의 혐의로 참화를 당함.
?~141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