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여흥군(驪興君)@민사평 - 민사평(閔思平)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찬성사 민적(閔頔)의 아들이며, 정승 김륜(金倫)의 사위. 이제현(李齊賢)ㆍ정자후(鄭子厚) 등과 함께 문명(文名)이 높았으며, 《동문선(東文選)》에 그의 시 9수가 전함.
1295~135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여흥군(驪興君)@민여익 - 민여익(閔汝翼)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개국을 도와 개국공신에 책록되었고 전결(田結)과 노비를 받았으며,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두루 역임했음.
1360~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흥군(驪興君)@민적 - 민적(閔頔)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충렬왕(忠烈王)이 국선(國仙)이라 불렀으며, 대사헌(大司憲)으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다녀온 뒤 여흥군(驪興君)에 봉해졌음.
1269~133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여흥백(驪興伯)@민건 - 민건(閔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원경왕후(元敬王后)의 족친(族親)이며 부사과(副司果) 민예달(閔禮達)의 아버지.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ㆍ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 등을 지냄.
?~146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왕실>인척ㅣ인명>관인>문신
-
여흥백(驪興伯) - 민제(閔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조선 태종의 장인. 고려 말에 여러 요직을 거치고 조선 개국 후 문하우정승(門下右政丞)ㆍ좌정승(左政丞)을 지냄.
1339~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 - 민유중(閔維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숙종의 비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아버지로 남인(南人)이 집권할 때 흥해(興海)로 유배되었다가, 남인이 실각하자 금위영(禁衛營)의 창설을 주도하여 병권과 재정권을 모두 관장함.
1630~168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민제 - 민제(閔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조선 태종의 장인. 고려 말에 여러 요직을 거치고 조선 개국 후 문하우정승(門下右政丞)ㆍ좌정승(左政丞)을 지냄.
1339~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민지 - 민지(閔漬)
고려 원종(元宗)~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1266년(원종 7)에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하여 지후(祗候)가 되었고, 충선왕 때 첨의정승(僉議政丞)에 이르러 사직하였음. 충숙왕 때 다시 수정승(守政丞)이 되고 여흥군(驪興君)에 봉하여졌음.
1248~132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 - 이상의(李尙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임진왜란 때 광해군(光海君)을 호위한 위성공신(衛聖功臣)으로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에 봉해짐. 인조반정으로 훈공이 삭탈되고 품계도 강등되어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로 좌천됨.
1560~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흥왕(驪興王) - 우왕(禑王)
고려 제32대 국왕. 재위 1374~1388. 수시중(守侍中) 이인임(李仁任)의 후원으로 즉위했다가 이인임이 실각한 후 정치적 기반을 잃고 이성계(李成桂)에게 쫓겨나 유배되었다가 죽음.
1365~138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여흥이씨(驪興李氏) - 여주이씨(驪州李氏)
고려 때의 인용교위(仁勇校尉) 이인덕(李仁德) 계통과, 중윤(中尹) 이은백(李殷伯) 계통과, 진사(進士) 이세정(李世貞) 계통 등 시조를 달리하는 세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집단>성씨
-
여희(麗姬) - 여희(驪姬)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헌공(獻公)의 후궁(後宮). 서방 여(麗) 나라 국경지기의 딸이었으나 헌공에게 약탈된 후 총애를 받고 후궁이 됨. 태자 신생(申生)을 죽이고 아들 해제(奚齊)를 후계자로 세우는 등 나라를 혼란에 빠뜨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여희고(余希古) - 여정(余靖)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범중엄(范仲淹)이 귀양갈 때 상서(上書)하여 다투다가 파직당함. 구양수(歐陽修)ㆍ왕소(王素)ㆍ채양(蔡襄)과 함께 사간(四諫)으로 일컬어짐.
1000~106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역(易) - 정역(鄭易)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장인. 이방원(李芳遠)과 함께 문과에 급제하여 친밀하고, 호조 판서(戶曹判書)ㆍ대제학(大提學)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역(櫟)@성력 - 성력(成櫟)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성문준(成文濬)의 아들로,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 등을 지냄.
1580~165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역(櫟) - 이역(李櫟)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를 지낸 이대(李薱)의 넷째 아들이고, 이즙(李楫)ㆍ이백(李柏)ㆍ이건(李楗)의 아우이며 이노(李櫓)ㆍ이박(李樸)ㆍ이량(李樑)의 형.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공조 좌랑(工曹佐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역(櫟)@최력 - 최력(崔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평소에 《근사록(近思錄)》ㆍ《성리대전(性理大全)》을 읽고, 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수학함.
1522~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역(繹) - 김역(金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창(咸昌). 중종(中宗) 때의 진사(進士) 김극형(金克亨)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역강의(易講義) - 역의(易義)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진양(陳襄)이 지은 역학서(易學書).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역고(射姑) - 장공(莊公)@춘추전국(曹)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조(曹) 나라의 제후. 환공(桓公)의 아들.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