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자직(楊子直) - 양방(楊方)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주자(朱子)의 문인. 회계(會稽) 사람으로, 고량 태수(高凉太守)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장(襄莊) - 우공(禹貢)
조선 세종(世宗)~ 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으로 우선언(禹善言)의 아버지. 세조(世祖) 때 모련위(毛憐衛)의 야인(野人)을 토벌하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여 적개공신(敵愾功臣)이 되었으며, 단성군(丹城君)으로 봉해짐.
1415~147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양재(養齋) - 홍적(洪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당양부원군(唐陽府院君) 홍인우(洪仁祐)의 아들로, 삼화 현령(三和縣令)을 지낸 홍인범(洪仁範)에게 출계함.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경학(經學)에 밝고 논사(論思)를 잘 하여 홍문관(弘文館)에서 ‘학사전재(學士全才)’라 불림.
154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양재역벽서지변(良才驛壁書之變) - 정미사화(丁未士禍)
조선 명종(明宗) 2년에 을사사화(乙巳士禍)의 여파로 일어난 사화. 문정왕후(文定王后)와 이기(李芑) 등을 비난하는 전라도 양재역(良才驛)의 벽서(壁書)가 발단이 됨.
1547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양저(良貯) - 임양저(林良貯)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손주 사위이자 중랑장(中郞將). 경순왕이 고려로 귀부하려하자 그 부당함을 고하다가 노여움을 사서 선산(善山)으로 유배되고, 그곳에 뿌리를 내리게 되어 선산임씨(善山林氏)의 시조가 됨.
한국>신라 , 경상도>선산 , 인명>왕실>인척
-
양적현후(陽翟縣侯) - 저량(褚亮)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저수량(褚遂良)의 아버지이며, 방현령(房玄齡)ㆍ두여회(杜如晦) 등과 함께 문학관(文學館)에서 전적을 강론하던 18학사의 한 사람으로, 산기상시(散騎常侍) 등을 지냄. 저서로 《저량집(褚亮集)》이 있음.
560~647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전(良琠) - 김양전(金良琠)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초계 군수(草溪郡守)로 있던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양절(良節)@나익희 - 나익희(羅益禧)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무신. 충선왕(忠宣王)이 신법을 제정할 때 반대하다가 면직되었으나 10년 뒤 상의평리(商議評理)에 올라 금성군(錦城君)에 봉해짐.
?~134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양절(良節) - 김맹성(金孟性)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임사홍(任士洪)과 함께 현석규(玄錫圭)를 탄핵한 죄로 고령(高靈)에 유배된 후 향리로 돌아가 후진을 양성함.
1437~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절(良節)@조온 - 조온(趙溫)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용원부원군(龍原府院君) 조인벽(趙仁璧)의 아들로, 이성계(李成桂)의 신진세력에 참여하여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
1347~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절(良節)@정구 - 정구(鄭矩)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감찰대부(監察大夫) 정양생(鄭良生)의 아들로,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ㆍ의정부 찬성(議政府贊成)을 지냄.
1350~141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양절(襄節) - 한확(韓確)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성종(成宗)의 외할아버지. 누이가 명(明) 나라 성조(成祖)의 여비(麗妃)가 되어 명 나라의 광록시 소경(光祿寺少卿)에 임명되고, 1455년(세조 1) 좌의정으로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03~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양정(揚庭) - 조양정(趙揚庭)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찬한(趙纘韓)의 아버지로, 충의위(忠義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양정(良靖)@선성군 - 선성군(宣城君)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로, 숙의(淑儀) 지씨(池氏) 소생. 계유정난(癸酉靖難) 이후 스스로 관직에서 물러나 사람들과의 관계를 끊고 한가롭게 살다가 일생을 마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양정(良靖) - 남좌시(南佐時)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무신. 1381년 밀직부사(密直副使) 권현룡(權玄龍)과 함께 강릉도(江陵道)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함.
?~138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양정(良靖)@박경 - 박경(朴經)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해(寧海). 음보(蔭補)로 벼슬에 나아가 대사헌(大司憲)ㆍ완산부 윤(完山府尹) 등을 지냄.
1350~14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양정(襄靖)@변협 - 변협(邊協)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이이(李珥)로부터 《주역계몽(周易啓蒙)》을 강론받았으며, 천문ㆍ지리ㆍ산수에도 정통했음.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왜구를 격퇴한 공으로 장흥 부사(長興府使)가 되었고, 공조 판서ㆍ포도대장 등을 지냈음.
1528~159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양정(襄靖)@함녕군 - 함녕군(咸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둘째 서자. 신빈(信嬪) 신씨(辛氏)의 소생으로, 세종(世宗) 때 계품사(計稟使)로서 중국에 가서 금ㆍ은의 공물을 면제받고 돌아옴.
1402~14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양정(襄靖) - 김우(金宇)
조선 정종(定宗)~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희천(熙川).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좌군 도총제와 병조 판서를 역임하였음.
?~1418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희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양정(襄靖)@성봉조 - 성봉조(成奉祖)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성엄(成揜)의 아들이며, 세조(世祖)의 동서(同壻)로, 성종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우의정 등을 역임함.
1401~14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