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어부곡(漁父曲) - 어부사(漁父辭)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시인인 굴원(屈原)이 지은 사(辭). 은자(隱者)인 어부와 굴원의 문답체로 구성되었으며, 세상의 오탁(汚濁)에 물들지 않으려는 굴원의 의지가 표현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어사대(御史臺) - 사헌부(司憲府)
고려 및 조선시대에 정치에 대한 언론 활동, 풍속의 교정, 백관(百官)에 대한 규찰과 탄핵, 서경(署經) 등을 담당한 관청.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어사도성(御事都省) - 상서도성(尙書都省)
고려의 중앙 행정기구인 상서성(尙書省)을 구성하는 기구로, 정무 집행기관인 상서육부(尙書六部)의 상급 관부. 995년(성종 14) 어사도성(御事都省)을 개칭한 것으로, 국가행사의 주관, 공문의 발송 등의 기능을 함.
995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어사육관(御事六官) - 상서육부(尙書六部)
고려의 중앙 행정기구인 상서성(尙書省)을 구성하는 기구로, 상서도성(尙書都省)의 하급 관부. 995년 어사육관(御事六官)을 개칭한 것으로, 이부(吏部)ㆍ병부(兵部)ㆍ호부(戶部)ㆍ형부(刑部)ㆍ예부(禮部)ㆍ공부(工部)를 두어, 정무를 집행하는 기능을 함.
995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어선진(魚先進) - 어득강(魚得江)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교리(校理)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문명(文名)이 있고 특히 해학(諧謔)에 능함.
1470~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어성(漁城) - 신담(申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이조 참판에 증직된 신영원(申永源)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주 부윤(全州府尹)으로 의병 2천여 명을 모집해 왜군에 대항함. 군자감 정(軍資監正)ㆍ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냄.
1519~159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어수(於漱) - 태조왕(太祖王)
고구려 제6대 왕. 재위 53~146. 유리왕(瑠璃王)의 손자로, 영토확장 및 중앙집권적 형태의 체제 정비를 통해 국가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이때부터 계루부(桂婁部)의 왕위계승이 확립됨.
47~165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어수(漁叟) - 이세장(李世璋)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목(李穆)의 아들. 명종 때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수관(編修官)을 겸하였고, 호조 참의(戶曹參義)ㆍ호분위 대호군(虎賁衛大護軍) 등을 지냈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97~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어수(漁水) - 용지하(龍池河)
중국 계주(薊州)의 주성(州城) 남쪽에 있는 하천 이름. 노가령(蘆家嶺)의 어귀 사려하(舍黎河)에서 발원하여 옥전(玉田)을 거쳐 백룡항(白龍港)으로 흘러들어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어수왕(於漱王) - 태조왕(太祖王)
고구려 제6대 왕. 재위 53~146. 유리왕(瑠璃王)의 손자로, 영토확장 및 중앙집권적 형태의 체제 정비를 통해 국가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이때부터 계루부(桂婁部)의 왕위계승이 확립됨.
47~165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어순(魚筍) - 설순빙리(雪筍冰鯉)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맹종(孟宗)이 눈 속에서 죽순(竹筍)을 구한 일과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왕상(王祥)이 얼음을 녹여 잉어를 얻은 일에서 나온 고사성어로, 지극한 효성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어양(漁陽) - 계주(薊州)
중국 하북성(河北省) 천진(天津)에 있던 고을 이름.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지이자 안녹산(安祿山)이 반란을 일으킨 곳으로, 우리나라 사신이 북경(北京)으로 연행(燕行)을 갈 때 지나야 하는 지역 중 하나.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어옹(漁翁) - 권중규(權仲規)
조선 세조(世祖) 때의 은자.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한 뒤 고령(高靈) 유천(鍮泉)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어우당(於于堂) - 유몽인(柳夢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 유탱(柳樘)의 아들. 한때 성혼(成渾)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를 담당하는 등 공을 세웠으나, 인조 때 무고로 인해 반역죄로 처형됨. 저서로 《어우야담(於于野談)》 등이 있음.
1559~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어우동(於于同) - 어을우동(於乙宇同)
조선 성종(成宗) 때 양반가의 여자로서 행동이 문란하여 사회의 물의를 일으킨 인물. 지승문(知承文) 박씨의 딸이며, 종실 태강수(泰江守) 이동(李仝)의 아내. 행실이 방탕하여 여러 조관 및 유생들과 관계하여 풍속을 어지럽힌 죄로 사형당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어은(漁隱)@양사형 - 양사형(楊士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노진(盧禛)ㆍ유희춘(柳希春)의 문인으로, 영광 군수(靈光郡守) 등을 지냄. 임진왜란 때 군량을 조달하고 윤두수(尹斗壽)를 보좌하였으며 죽은 뒤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추록됨.
1547~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어은(漁隱)@김한생 - 김한생(金漢生)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온양 군수(溫陽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서거정(徐居正)의 《사가문집(四佳文集)》에 그에 대한 기문(記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어은(漁隱) - 민제(閔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조선 태종의 장인. 고려 말에 여러 요직을 거치고 조선 개국 후 문하우정승(門下右政丞)ㆍ좌정승(左政丞)을 지냄.
1339~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어은(漁隱)@염흥방 - 염흥방(廉興邦)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 염제신(廉悌臣)의 아들. 지신사(知申事)로서 홍건적을 격파하는 공을 세웠으나, 비행을 일삼으며 국정을 문란하게 하여 최영(崔瑩)ㆍ이성계(李成桂)에 의해 살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어은(漁隱)@조려 - 조려(趙旅)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은자. 조안(趙安)의 아들. 조선 전기 생육신(生六臣) 중의 한 사람으로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향리에 은거하면서 평생을 보냄.
1420~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