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억상(億祥) - 이억상(李億祥)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영창부수(永昌副守) 이연동(李連仝)의 아들로, 1544년(중종 39)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억손(億孫) - 이억손(李億孫)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자, 청안군(淸安君) 이영(李嶸)의 다섯째 아들이며, 노공필(盧公弼)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억수(億壽) - 이억수(李億壽)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손자이며,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억수(億壽)@신억수 - 신억수(申億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신의충(申義忠)의 아버지이자, 신각(申恪)의 조부로, 1513년(중종 8) 식년(式年)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문원 교감(承文院校勘)을 지냄.
?~152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억수(億水) - 하억수(河億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하응림(河應臨)의 아버지로, 목사(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억숭(抑崇) - 고항(高閌)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비서성 정자(秘書省正字)ㆍ국자사업(國子司業)ㆍ예부 시랑(禮部侍郎) 등을 지냄. 양시(楊時)ㆍ호안국(胡安國)의 문하에서 수학함.
1097~115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억암(抑庵) - 양영(楊榮)
중국 명(明) 나라 혜제(惠帝)~영종(英宗) 때의 문신. 성조(成祖)의 북정(北征)에 여러 차례 참여하고, 네 황제를 섬기면서 정사를 잘 보좌하여 양우(楊寓)ㆍ양부(楊溥)와 함께 ‘삼양(三楊)’이라 일컬어짐.
1371~144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억암(抑菴) - 왕직(王直)
중국 명(明) 나라 성종(成宗)~영종(英宗) 때의 문신. 20여 년간 한림(翰林)에 있으면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왕영(王英)과 이름을 나란히 함. 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내고, 저서에 《억암집(抑菴集)》이 있음.
1379~146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억재(億載) - 이억재(李億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청기군(靑杞君) 이표(李彪)의 아들이며 이원익(李元翼)의 아버지. 문학을 좋아하고 오성(五聲)과 율려(律呂)에 능통함.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억천(億千) - 이억천(李億千)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증손이며, 동음수(洞陰守) 이성손(李盛孫)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억편(抑篇) - 억(抑)
고대 중국의 유교 경전인 《시경(詩經)》〈대아(大雅)〉 〈탕지십(蕩之什)〉의 한 편명(篇名).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제후인 무공(武公)이 지은 시로서, 악공(樂工)으로 하여금 곁에서 날마다 읊게 하여 스스로를 경계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편명
-
언(堰)@한언 - 한언(韓堰)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영의정 한명회(韓明澮)의 조카로,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며, 민반(閔泮)과 함께 《왕비세보(王妃世譜)》를 편찬함. 1492년(성종 23) 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갔다가 그곳에서 죽음.
1448~149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언(堰) - 이언(李堰)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대사헌(大司憲) 이은(李垠)의 아들.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전주 부윤(全州府尹) 등을 지냄. 세조(世祖)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으로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언(堰)@조언 - 조언(趙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조응경(趙應卿)의 아들이자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전사한 조종도(趙宗道)의 아버지. 송인수(宋麟壽)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음보로 준원전 참봉(濬源殿參奉)을 지냄.
1517~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언(彦)@박언 - 박언(朴彦)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 전적(典籍) 박성건(朴成乾)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언(彦) - 신언(申彦)
고려 후기의 문신. 현감(縣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색(李穡)의 《목은고(牧隱稿)》에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언(漹) - 김언(金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희맹(姜希孟)의 외손자.
149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언(焉) - 노언(盧焉)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풍천(豐川). 노흥길(盧興吉)의 아들로, 사정(司正)을 지냈으며, 아들 노숙동(盧叔仝)의 존귀함으로 인해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무신
-
언각(彦慤) - 정언각(鄭彦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정희검(鄭希儉)의 아들이며 정척(鄭惕)의 아버지. 정미사화(丁未士禍)의 발단이 된 전라도 양재역(良才驛) 벽서(壁書) 사건의 고변자로서 후에 윤원형(尹元衡)의 정권 장악에 기여함.
1498~155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언거(彦琚) - 김언거(金彦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김정(金禎)의 아들로, 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우함.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