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𢓡) - 이이(李𢓡)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정종(定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진남군(鎭南君) 이종생(李終生)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곽(李^郭) - 곽^이(郭^李)
중국 당(唐) 나라의 명장 이광필(李光弼)과 곽자의(郭子儀)를 함께 부르는 말. 중흥(中興) 제일의 공신들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두(李^杜)@보^백 - 보^백(甫^白)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두보(杜甫)와 이백(李白)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부(伊^傅) - 부^신(傅^莘)
중국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재상인 부열(傅說)과, 탕(湯) 임금 때의 재상인 이윤(伊尹)을 함께 부르는 말. 두 사람이 각각 은거하던 부암(傅巖)과 유신(有莘)에서 유래했으며, 뛰어난 현신(賢臣)을 가리킴.
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숙(夷^叔) - 이^제(夷^齊)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인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를 함께 부르는 말. 은 나라 주왕(紂王)을 치려는 주(周) 나라 무왕(武王)을 만류하다 실패하자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굶어 죽은 고사로 인해, 청렴하고 절개가 굳은 사람을 가리킴.
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여(伊^呂) - 위^신(渭^莘)
중국 은(殷) 나라 때 위수(渭水)에서 낚시하다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재상이 된 여상(呂尙)과, 신야(莘野)에서 농사짓다 탕(湯) 임금의 재상이 된 이윤(伊尹)을 함께 부르는 말. 초야에서 발탁되어 왕조의 기반을 다진 어진 신하를 가리킴.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염(伊^濂) - 염^이(濂^伊)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이천(伊川) 정이(程頤)와 염계(濂溪) 주돈이(周敦頤)를 함께 부르는 말. 송학(宋學)의 주류를 이루었던 두 사제(師第)를 말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왕(李^王) - 왕^이(王^李)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반룡(李攀龍)과 왕세정(王世貞)을 함께 부르는 말.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한 후칠자(後七子)의 대표적인 인물을 가리킴.
중국>명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우(李^牛) - 우^이(牛^李)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무종(武宗) 때의 문신인 우승유(牛僧孺)와 이종민(李宗閔)을 함께 부르는 말. 우이당쟁(牛李黨爭)을 벌인 '우당(牛黨)'의 대표적인 인물들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주(耳^周) - 노^장(老^莊)
중국 춘추전국시대 도가(道家)의 대표적인 인물인 노자(老子)와 장주(莊周)를 함께 부르는 말. 유교적 관점에서는 이단(異端)을 뜻하며, 때로는 그들의 저서인 《도덕경(道德經)》과 《장자(莊子)》를 함께 지칭하는 말로도 쓰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혼(珥^渾) - 우^율(牛^栗)
조선 선조(宣祖) 때의 성리학자인 문간공(文簡公) 우계(牛溪) 성혼(成渾)과 문성공(文成公) 율곡(栗谷) 이이(李珥)를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후기ㅣ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ㅣ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이가겸(李可謙) - 이증(李增)@이지숙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정여립(鄭汝立)의 옥사 때 공을 세위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후에는 국가의 기강을 바로잡는 데 헌신함.
1525~160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가산(李嘉山) - 이주(李澍)@1534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명종 때 성균관(成均館)의 유생(儒生)으로서 보우(普雨)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림. 아들 이광정(李光庭)의 공으로 영의정에 추증됨.
1534~158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가연(李賀淵) - 이중량(李仲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효행(孝行)과 학행(學行)이 뛰어났으며, 지방관을 두루 역임하며 선정(善政)을 베풂.
1504~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가정(李柯亭) - 이숙기(李叔琪)
고려 후기의 문신. 밀직 대언(密直代言) 등을 지냈으며,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과 교유함. 이제현의 《익재난고(益齋亂稿)》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시 등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간(夷簡)@여이간 - 여이간(呂夷簡)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오랜 기간 재상(宰相)으로서 국정을 좌우하였으나 범중엄(范仲淹)ㆍ왕증(王曾) 등과 대립하다가 인종의 개혁 의지로 파면됨.
979~104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간(夷簡) - 신영(申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상촌(象村) 신흠(申欽)의 조부.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明賢)의 한 사람임.
1499~155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이간(夷簡)@진남군 - 진남군(鎭南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여섯째 아들. 숙의이씨(淑儀李氏)의 소생으로, 종실 중에 가장 어질다고 하여 장원서 제조(掌苑署提調)에 임명됨.
1406~14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이간(易簡) - 소이간(蘇易簡)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림학사(翰林學士)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냈으며, 재능이 뛰어나고 문장(文章)으로 이름을 떨침.
958~99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간재(李艮齋) - 이덕홍(李德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충량(李忠樑)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영춘 현감(永春縣監)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세자를 따라 성천(成川)까지 호종함.
1541~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