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감(李憨) - 이중은(李重恩)
중국 북송(北宋) 때의 기사(棋士). 당대(當代)에 맞수가 없을 정도로 바둑 실력이 뛰어났다는 기록이 구양수(歐陽脩)의 《귀전록(歸田錄)》에 실려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이강(李綱)@이강 - 이강(李岡)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암(李嵒)의 아들로, 죽은 후 관례를 깨고 특별히 시호를 받았으며, 이색(李穡)의 《목은집(牧隱集)》에 그의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333~136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강(而康) - 김연수(金延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종서(金宗瑞)의 외손이며, 청백리(淸白吏)로 이름이 남.
?~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강(而强) - 이중(李中)@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고성(固城).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선산(善山)에 유배되었다가 도망쳐 온 스승 김식을 숨겨준 일로 의금부에 하옥되고 부령(富寧)에 유배됨.
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문사>학자
-
이강이(李剛而) - 이정(李楨)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어려서는 규암(圭菴) 송인수(宋麟壽)로부터 배우고 성장한 뒤에는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홍문관 부제학에 제수되었으나 사천(泗川)에 구암정사(龜巖精舍)를 짓고 후진양성에 힘씀.
1512~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강중(李强仲) - 이중립(李中立)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김성일(金誠一)ㆍ권호문(權好文)ㆍ서해(徐嶰) 등과 교유하고, 서당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이건(以健) - 나덕원(羅德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금성(錦城).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義兵)을 모집하여 명(明) 나라 제독(提督) 마귀(麻貴)를 도와 왜적을 격퇴함. 벼슬은 함안 현감(咸安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이건(李虔) - 이밀(李密)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아버지가 일찍 죽고 어머니가 개가(改嫁)한 탓에 할머니 유씨(劉氏)의 손에서 자랐으며, 무제(武帝) 때 세자 사마(世子洗馬)에 제수되자 할머니의 봉양을 위해 〈진정표(陳情表)〉를 올리고 사양한 일로 유명함.
224~28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걸(李杰) - 소종(昭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9대 황제. 재위 888~904. 재임 중 번진(蕃鎭)의 세력다툼과 잦은 농민봉기로 인해 실권을 잃고 결국에는 시해됨.
867~904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검(而儉) - 박이검(朴而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형 박이온(朴而溫)과 함께 공을 세워 순성군(順城君)의 작위(爵位)를 받았으며, 벼슬은 공조 판서(工曹判書)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견(而見) - 오진영(吳震泳)
근대의 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전우(田愚)의 문인으로 간재학파(艮齋學派)의 대표적 인물. 의리론(義利論)을 앞세워 유교전통을 수호하고, 〈포고천하문(布告天下文)〉을 짓는 등 독립운동에도 참여함. 죽천집(竹川集) 간행에 관여함.
?~1944 한국>근대 , 충청도>진천 , 인명>문사>학자
-
이경(以敬) - 남이공(南以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남호(南琥)의 아들. 선조 때 이발(李潑)ㆍ정인홍(鄭仁弘) 등과 함께 북인(北人)의 우두머리로서 영의정(領議政) 유성룡(柳成龍)을 탄핵ㆍ파직시킴. 이조 판서(吏曹判書)ㆍ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를 지냄.
1565~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이경(以經) - 박이경(朴以經)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유학 박명응(朴明應)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이경(夷敬) - 심한(沈瀚)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심온(沈溫)의 손자. 성종(成宗)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박시형(朴始亨)과의 대립이 표면화되어 파직되었다가 이조 참의(吏曹參議)로 복직됨.
1436~14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경(李曔) - 정종(定宗)@조선
조선 제2대 왕. 재위 1398~1400. 태조(太祖)와 정안왕후(定安王后)의 소생. 고려 후기에 아버지를 따라 왜구를 토벌하는 데 많은 전공을 세우고 왕자의 난을 계기로 왕위에 올랐지만, 골육상쟁의 재현을 우려하여 정안군(靖安君)을 세자로 삼고 양위함.
1357~14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경(爾敬) - 유상조(柳相祚)
조선 순조(純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도사(都事)를 지낸 유종춘(柳宗春)의 아들로, 1794년(정조 18)에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참판(吏曹參判)ㆍ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을 지냄.
1763~18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경(而敬) - 이정우(李庭友)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신평(新平). 상의원 정(尙衣院正) 이세건(李世健)의 아들.
154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경(而經) - 박권(朴權)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정언(正言) 등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길성(吉城)으로 정배(定配)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해남(海南)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이경(離經) - 이소(離騷)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굴원(屈原)이 지은 서정적 장편 서사시(敍事詩).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이경로(李景魯) - 이희삼(李希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학자 이몽규(李夢奎)의 아들로, 송강(松江) 정철(鄭澈) 등과 교유함.
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ㅣ경상도>경주 , 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