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기주(李箕疇) - 이기홍(李箕洪)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풍산군(豐山君) 이종린(李宗麟)의 후손이며, 송준길(宋浚吉)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 사포서 별검(司圃署別檢)ㆍ집의(執義) 등을 지내고, 만년에 낙향하여 권상하(權尙夏)와 함께 경전(經傳)을 강론하였으며, 《정암집(靜庵集)》의 편찬에 참여함.
1641~17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풍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 - 이기호발(理氣互發)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에 입각하여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을 각각 이(理)와 기(氣)의 발현으로 구분하는 이황(李滉)의 학설.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에 입각한 기대승(奇大升)과 8년간에 걸친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이룸.
한국>조선전기 , 사상>이론>학설
-
이길(頤吉) - 민유경(閔有慶)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고, 이괄(李适)의 난(亂) 때 행재소(行在所)에 호종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나 곧 복직되어 예빈시 정(禮賓寺正)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65~163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이낙천(李樂天) - 이거이(李居易)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조선 개국 후 정사공신(定社功臣)ㆍ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아들 이저(李佇)와 이백강(李伯剛)이 각각 태조(太祖)와 태종의 부마가 되었음.
1348~141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이난(二難) - 난형난제(難兄難弟)
형노릇 하기도 어렵고 동생노릇 하기도 어렵다는 뜻. 《세설신어(世說新語)》에 나오는 중국 한(漢) 나라 진식(陳寔)의 두 아들 진기(陳紀)와 진심(陳諶)의 고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양자가 모두 훌륭할 때를 비유함.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이남(二南) - 시경(詩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춘추시대(春秋時代)의 민요를 중심으로 305편을 수록하였음.
중국 , 문헌>서명
-
이녕(以寧) - 변이녕(邊以寧)
조선 전기의 유학. 권문해(權文海)의 《초간집(草澗集)》에 그에 대한 만사(輓詞)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노경(李魯卿) - 이녕(李寗)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이해(李瀣)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조카로, 이교(李㝯)ㆍ이치(李寘)ㆍ이혜(李寭)의 형. 지례 현감(知禮縣監) 등을 지내고, 초서(草書)와 예서(隸書)에 능함.
1527~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이노옹(李魯翁) - 이희삼(李希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학자 이몽규(李夢奎)의 아들로, 송강(松江) 정철(鄭澈) 등과 교유함.
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ㅣ경상도>경주 , 인명>문사>문인
-
이농계(李聾溪) - 이수언(李秀彦)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 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며 이선(李選)ㆍ이이명(李頤命)ㆍ이여(李畬)와 함께 대표적인 노론(老論)으로 꼽힘. 청주의 국계사(菊溪祠)에 배향됨.
1636~169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농암(李聾巖)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눌헌(李訥軒) - 이희(李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학문으로 이름을 크게 떨쳤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사(戰死)함.
1532~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이능(以能) - 유세명(柳世鳴)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유원지(柳元之)의 문인으로, 교리(校理) 시절에 송시열(宋時烈)ㆍ김수항(金壽恒)ㆍ김석주(金錫胄)ㆍ민정중(閔鼎重)을 엄벌해야 한다는 차자(箚子)를 올렸으며,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역임함.
1636~169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능(爾能) - 유세명(柳世鳴)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유원지(柳元之)의 문인으로, 교리(校理) 시절에 송시열(宋時烈)ㆍ김수항(金壽恒)ㆍ김석주(金錫胄)ㆍ민정중(閔鼎重)을 엄벌해야 한다는 차자(箚子)를 올렸으며,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역임함.
1636~169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단(李旦)@태조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단(李旦) - 예종(睿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5대 황제. 재위 684~690, 710~712. 고종(高宗)의 아들로 측천무후(則天武后)가 중종(中宗)을 폐위하고 등극시켰으나, 자신도 곧 폐위당하고 말자 아들인 현종(玄宗)이 측천무후와 중종의 세력을 소탕하고 복위시킴.
662~71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단구(李丹丘) - 이숭경(李崇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전의(全義). 성균 생원(成均生員) 이정(李頲)의 아들로, 시(詩)와 초서(草書)에 뛰어났으며, 박순(朴淳)ㆍ임억령(林億齡) 등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함.
1510~15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문인
-
이단애(李丹崖) - 이경중(李敬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금천군(錦川君) 이감(李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1581년(선조 14) 이조 좌랑(吏曹佐郞)으로 있을 때 정여립(鄭汝立)이 높이 등용되는 것을 배척하다가 논핵당하여 파직됨.
1542~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달부(李達夫) - 이배달(李培達)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ㆍ문신. 숭선군(崇善君) 이총(李𤄓)의 증손으로, 율곡(栗谷) 이이(李珥)와 교유하였으며 군수(郡守)를 지냄.
155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ㅣ인명>관인>문신
-
이달중(李達中) - 이달충(李達衷)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천(李蒨)의 아들로, 유학(儒學)에 정통함.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낼 때 공석에서 신돈(辛旽)을 비판하여 파면되었다가 신돈이 실각한 후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복직함.
1309~138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