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두원육전(吏讀元六典) - 경제육전(經濟六典)
조선 태조(太祖) 때 편찬된 법전(法典). 검상조례사(檢詳條例司)에서 정도전(鄭道傳)ㆍ조준(趙浚) 등이 고려 우왕(禑王) 때부터 당시까지 발표된 조례(條例)를 육전(六典)의 형식을 갖추어 만듦.
139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이둔춘(李遁村) - 이집(李集)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이숭인(李崇仁) 등과 친분이 두터웠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사직하고 여주(驪州)에서 시를 지으며 일생을 마침.
1314~138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ㅣ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득(而得) - 유운룡(柳雲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형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풍기 군수(豊基郡守)로 부임하여 백성들의 생업을 보호하는 데 힘썼으며, 효성이 지극함.
1539~160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득옥(李得玉) - 이인로(李仁老)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원(慶源).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오세재(吳世才)ㆍ임춘(林椿) 등과 교유하고,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등을 지냄. 시문(詩文)뿐만 아니라 초서(草書)ㆍ예서(隸書)에도 능함.
1152~1220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락당(二樂堂)@주이 - 주이(周怡)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주세귀(周世龜)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도사(都事) 등을 지냄. 타고난 성품과 거동이 훌륭하여 신선 같다는 평을 들음.
1515~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이락당(二樂堂) - 남응룡(南應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1535년(중종 30) 문과에 급제하여 호당(湖堂)에 뽑혔고, 벼슬은 직제학(直提學)과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역임함.
1514~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이락속록(伊洛續錄) - 이락연원속록(伊洛淵源續錄)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사탁(謝鐸)의 저서. 총 20권. 주자학(朱子學)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이래(李琜) - 이래(李徠)
조선 전기의 종친ㆍ문신.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셋째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이래(李徠)@이래 - 이래(李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존오(李存吾)의 아들이며 우현보(禹玄寶)의 문인(門人)으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역임함.
1362~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력(履歷) - 이성언(李誠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좌찬성(左贊成) 이손(李蓀)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진위진향사(陳慰進香使)로 명(明) 나라에 갔다가 그곳에서 죽음.
?~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령(耳齡) - 정순붕(鄭順朋)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을사사화 때 소윤(小尹)으로서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적극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고 우의정까지 올랐으나, 선조(宣祖) 때 관작이 모두 추탈(追奪)됨.
1484~154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로(李老)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이로(而魯) - 김경삼(金景參)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성혼(成渾)ㆍ이위빈(李渭濱)ㆍ이순(李純)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로(頤老) - 이지식(頤知識)
고려 후기의 승려. 이규보(李奎報)와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이로행록(二老行錄) - 벽송집(碧松集)
조선 전기의 승려 지엄(智嚴)의 시문집. 1권 1책. 1569년(선조 2)에 휴정(休靜)이 산실된 지엄의 가송(歌頌) 20수를 모아서 간행함.
1569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이류(李琉) - 이완(李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월성군(月城君) 이철견(李鐵堅)의 손자이며, 이성정(李成楨)의 첫째 아들로, 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률(而栗) - 윤관중(尹寬中)
조선 후기의 문신.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사위로, 선전관(宣傳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륭(李隆) - 연산군(燕山君)
조선의 제10대 왕. 재위 1494~1506. 재위 중 무오ㆍ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파를 비롯한 문신들을 대거 처형하고 언관(言官) 제도를 크게 축소했으며, 당시 사대부들의 윤리관에 어긋나는 행동을 거듭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됨.
1476~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릉부리(爾陵夫里) - 능성(綾城)
전라남도 화순(和順) 능주면(綾州面) 일대 지역의 옛 이름. 1632년(인조 10)에 능주(綾州)로 개칭함.
940~16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시대 , 전라도>화순 , 지명>행정지명
-
이리가수미(伊梨柯須彌) - 연개소문(淵蓋蘇文)
고구려 말기의 재상ㆍ무신. 혼란한 고구려 말기에 정권을 잡아 자신을 제거하려는 대인(大人)들을 모두 제거하고 보장왕(寶藏王)을 옹립하여 대막리지(大莫離支)에 오름.
?~665 한국>고구려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