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림(李霖) - 이목(李霂)
조선 전기의 종친. 낙안군(樂安君) 이녕(李寧)의 아들로, 청원정(靑原正)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립(而立) - 이안유(李安柔)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지냈으나, 태종의 잘못을 간하다가 경산(京山)에 유배됨, 세종 때 낙향하여 유방선(柳方善)ㆍ조상치(曺尙治) 등과 교유하며 후진 양성에 힘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립(而立)@이상신 - 이상신(李尙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우인(李友仁)의 아들이자 이상의(李尙毅)의 동생으로,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허엽(許曄)ㆍ윤근수(尹根壽) 등과 교유하고, 1593년(선조 26) 시폐(時弊)를 고칠 것을 상주(上奏)하였으며, 1605년(선조 38) 명(明) 나라에 가서 염초(焰硝)의 수입을 허락받음.
1564~161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립(而立)@전신 - 전신(全信)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김제안(金齊顔)ㆍ이제현(李齊賢) 등과 교유함. 음서(蔭敍)로 관직에 진출하여 동지밀직사사 상의회의도감사(同知密直司事商議會議都監事)를 지냄.
1276~1339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천안 , 인명>관인>문신
-
이만주(李萬住) - 이만주(李滿住)
중국 명(明) 나라 선종(宣宗) 때 여진(女眞)의 추장(酋長). 명 나라에 조공(朝貢)을 바쳐 도지휘첨사(都指揮僉使)가 되었으나, 조선 세조(世祖) 때 강순(康純) 등이 명과 협공하여 여진족을 토벌할 때 피살됨.
?~1467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이망헌(李忘軒) - 이주(李胄)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김종직(金宗直)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진도(珍島)로 유배되었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김굉필(金宏弼) 등과 함께 사사(賜死)됨.
146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매암(李梅巖) - 이숙량(李叔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賢輔)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성리학(性理學) 연구에 전념함.
1519~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이명(頤命) - 이이명(李頤命)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ㆍ학자.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6세손.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유배되었다가 갑술옥사(甲戌獄事) 때 재등용 된 후 좌의정 등을 지내고, 노론(老論) 정권의 핵심적 인물로 활약함.
1658~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명곡(李鳴谷) - 이산보(李山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대사간(大司諫)으로 재임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을 수습함.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명(明) 나라 군대의 조선 진군과 군량조달에 큰 공을 세움.
1539~159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명보(李明甫) - 이덕형(李德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직되었으며, 남인(南人)과 북인(北人)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남인에 가담함. 이항복(李恒福)과 절친한 사이였으며, 포천 용연서원(龍淵書院)에 배향됨.
1561~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모당(二慕堂) - 박경전(朴慶傳)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하여 곽재우(郭再祐)와 권응수(權應銖)의 양쪽 진영을 내왕하면서 많은 전공을 세움.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이모촌(李茅村) - 이정(李瀞)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재령(載寧). 조식(曹植)의 문인(門人)으로, 임진왜란 때 창의함.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냈으며, 사후에 대각사(大覺祠)에 배향됨.
1541~16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이목은(李牧隱) - 이색(李穡)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삼은(三隱)의 한 사람.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귀국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공신에 책록됨. 권근(權近)을 배출하는 등 학문과 정치에 큰 영향력을 미침.
1328~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몽산(異蒙山) - 덕이(德異)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僧侶). 완산 정응(脘山正凝) 선사의 법을 이었으며,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고려의 고승들과 주고받은 서함이 많음.
1231~1308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이몽응(李夢應) - 이제신(李濟臣)@1536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병마사(兵馬使)를 지낸 이문성(李文誠)의 아들로, 선조 때 예조 정랑(禮曹正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썼음.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몽재(李蒙齋) - 이안도(李安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이황(李滉)의 장손(長孫)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이황 문하의 명유(名儒)들과 교유하였으며, 음서(蔭敍)로 벼슬하여 사온서 직장(司醞署直長) 등을 지냄.
1541~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이묘(李猫) - 이의부(李義府)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간신. 허경종(許敬宗)과 함께 측천무후(則天武后)를 추종하여 고종(高宗)의 황후인 왕씨(王氏)를 폐하도록 함. 겉으로는 온유하지만 속으로는 음험하여 남들을 해쳤으므로, ‘소중도(笑中刀)’ 또는 ‘이묘(李猫)’라 일컬어짐.
614~66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무방(李茂方) - 이무방(李茂芳)
고려 충목왕(忠穆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양(光陽). 고려 때 주요 관직을 두루 지내고 찬화공신(贊化功臣) 등에 책록됨. 조선 개국 후 조준(趙浚)의 천거로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을 지냄.
131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묵재(李默齋) - 이문건(李文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성주(星州)에 유배되었다가 죽음.
1494~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문(以文) - 성이문(成以文)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황산도 찰방(黃山道察訪)을 지낸 성효관(成效寬)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종묘서 부봉사(宗廟署副奉事)로서 왕실의 신주를 받들고 의주(義州)로 피난함.
1546~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