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요(二樂)@신용개 - 신용개(申用漑)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ㆍ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명(明) 나라에 가서 고명(誥命)을 받아온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63~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요당(二樂堂) - 박흥거(朴興居)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흥생(朴興生)의 아우이고 김자수(金子粹)의 문인으로, 감찰어사(監察御史)를 제수받았으나 나아가지 않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관인>문신
-
이요원(李饒元) - 이유인(李裕仁)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자(李磁)의 아들로, 1561년(명종 1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함경 감사(咸鏡監司) 등을 지냄. 구사맹(具思孟)의 《팔곡잡고(八谷雜稿)》에 그에 관한 기록이 실려 있음.
153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요정(二樂亭) - 의안대군(義安大君)
조선 태조(太祖)의 이복동생. 태조를 도와 조선 건국에 공을 세우는 등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태종(太宗) 때 외척인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 형제의 처벌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림.
1348~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이요정(二樂亭) - 신용개(申用漑)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ㆍ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명(明) 나라에 가서 고명(誥命)을 받아온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63~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요헌(二樂軒) - 신용개(申用漑)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ㆍ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명(明) 나라에 가서 고명(誥命)을 받아온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63~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용(利用) - 홍이용(洪利用)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평원대군(平原大君)의 장인으로, 부사(府使) 등을 지냈으며 좌의정(左議政)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이용강(李龍岡) - 이대(李薱)
조선 전기의 종친ㆍ문신.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며 여양군(呂陽君) 이자겸(李子謙)의 아들로, 용강 현령(龍岡縣令)ㆍ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 등을 지냄.
1488~154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이용면(李龍眠) - 이공린(李公麟)@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화가. 병을 핑계로 벼슬을 그만두고 용면산(龍眠山)에 은거함. 시에 뛰어나고 골동품 감정에 정통하였으며, 특히 그림에 능하여 명성을 떨쳤음.
1049~1106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이용재(李容齋) - 이행(李荇)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폐비윤씨(廢妃尹氏)의 복위를 반대하여 유배되었고, 중종의 원비 신씨(愼氏)의 복위를 반대함.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을 찬진함.
1478~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우(二憂) - 이경(李瓊)
고려 말~조선 초의 충신.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으로, 고려가 망하자 조선의 건국에 반대하며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끝까지 충성과 지조를 지킴.
133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이우(爾盱) - 김이우(金爾盱)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무진(茂珍). 김경선(金景先)의 아들. 김이첨(金爾瞻)의 동생이며, 김이반(金爾盼)의 형. 이색(李穡)이 지은 〈명자설(名字說)〉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이우(而虞) - 정이우(鄭而虞)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헌납(獻納)을 지낸 정주(鄭賙)의 아들. 판관(判官)ㆍ집의(執義) 등을 지내고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녹훈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우강집(李盱江集) - 우강집(盱江集)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구(李覯)의 문집. 37권. 저자가 일생 동안 지은 글을 모아 엮은 책으로 경학(經學)과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이며, 원(元) 나라 때 판각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이우기(李佑基) - 이유기(李裕基)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맹진(李孟畛)의 아들로, 도진무(都鎭撫)를 역임하였으며, 세조(世祖) 때 단종복위운동에 가담하였다가 실패하여 죽임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우당(二友堂) - 신희현(愼希賢)
조선 전기의 유학. 임억령(林億齡)의 《석천시집(石川詩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우당(二憂堂) - 이경(李瓊)
고려 말~조선 초의 충신.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으로, 고려가 망하자 조선의 건국에 반대하며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끝까지 충성과 지조를 지킴.
133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이우옹(李愚翁) - 이희안(李希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직하고 조식(曺植)과 교우하며 학문을 연마함.
1504~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
-
이우지당(李牛之黨) - 우^이(牛^李)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무종(武宗) 때의 문신인 우승유(牛僧孺)와 이종민(李宗閔)을 함께 부르는 말. 우이당쟁(牛李黨爭)을 벌인 '우당(牛黨)'의 대표적인 인물들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욱(李煜) - 후주(後主)@오대십국(남당)
중국 오대십국 남당(南唐)의 제3대 국왕. 정치가로서의 역량보다 학문ㆍ문예ㆍ서화에 뛰어났으나, 주연(酒宴)에 빠져 국가의 멸망을 초래함. 반비(潘妃)로 인해 유명해진 전족(纏足)의 풍습이 후주 때부터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음.
937~978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