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인중(李仁仲) - 이굉(李宏)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황(李滉)의 조카이자 문인(門人)으로, 찰방(察訪)을 지내고, 시문(詩文)에 능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이일재(李一齋) - 이항(李恒)@이자영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반궁성의(反躬誠意)ㆍ주경궁리(主敬窮理)를 학문 경향으로 삼음. 1566년(명종 21) 학행으로 천거를 받아 의영고 영(義盈庫令) 등을 지냄.
1499~15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임회(李臨淮) - 이광필(李光弼)@당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대종(代宗) 때의 무신. 현종 때 곽자의(郭子儀)와 함께 안사(安史)의 난(亂)을 평정한 중흥 제일의 공신이며, 곽자의를 대신해 삭방(朔方)을 맡으면서 천하 병마도원수(天下兵馬都元帥)로 명성을 떨침.
708~76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이자(李子)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자묘(二子廟) - 이제묘(夷齊廟)@중국
중국 영평부(永平府) 북쪽 17리 지점의 고죽성(孤竹城)에 있는 백이(伯夷)ㆍ숙제(叔齊)의 사당.
중국 , 유적>건물>사당
-
이자묘(二子廟)@이제묘 - 이제묘(夷齊廟)
황해도 해주(海州)의 수양산(首陽山)에 있는 백이(伯夷)ㆍ숙제(叔齊)의 사당. 조선 숙종(肅宗) 때 ‘청성묘(淸聖廟)’라는 어필(御筆)을 내림.
황해도>해주 , 유적>건물>사당
-
이자미(李紫微) - 이량(李諒)
고려 후기의 문신.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최선(崔詵)의 장인으로, 중서 사인(中書舍人)을 지냄.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최선을 대신해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제문(祭文)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자민(李子敏) - 이안눌(李安訥)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덕수(德水). 중종 때 좌의정을 지낸 이행(李荇)의 증손이며,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종숙(從叔). 당시(唐詩)에 능하여 이태백에 비유되었고 글씨도 잘 썼음.
1571~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자발(李子發) - 이문건(李文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성주(星州)에 유배되었다가 죽음.
1494~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자수(李子修) - 이준민(李俊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냈으나, 동서(東西)의 당론(黨論)이 심해지자 병을 칭탁하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으며, 당론을 조정하려던 이이(李珥)를 존경함.
1524~159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자수(李子脩)@이희 - 이희(李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학문으로 이름을 크게 떨쳤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사(戰死)함.
1532~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이자운(李子雲) - 이봉(李逢)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병장ㆍ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조헌(趙憲)ㆍ정경세(鄭經世) 등과 의병을 규합하여 많은 공적을 세움.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냈으나 난이 진압된 뒤에는 귀향하여 여생을 보냄.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자정(李子正) - 이감(李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남양도호부사(南陽都護府使) 이경충(李景忠)의 아들로,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군수(郡守)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자춘(李子春) - 환조(桓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아버지. 도조(度祖) 이춘(李椿)의 아들로, 공민왕 때 공을 세워 삭방도 만호 겸 병마사(朔方道萬戶兼兵馬使)로 임명됨. 태조가 등극하자 환왕(桓王)으로, 태종(太宗) 때 다시 환조(桓祖)로 추존됨.
1315~1360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이자화(李子和) - 이자화(李子華)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첨의정승(僉議政丞)을 지낸 이혼(李混)의 아우로, 선부 전서(選部典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잠와(李潛窩) - 이명준(李命俊)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청강(淸江) 이제신(李濟臣)의 아들. 광해군(光海君) 때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을 거쳐 복직되어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572~163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장(李暲) - 덕종(德宗)@조선
조선 세조(世祖)의 아들. 1455년(세종 27) 도원군(桃源君)에 봉해지고 1455년(세조 1)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하기 전에 병사함. 1471년(성종 2) 덕종으로 추존(追尊)됨.
1438~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장(而壯) - 이민환(李民寏)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이광준(李光俊)의 아들. 1600년(선조 3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래 부사(東萊府使)ㆍ경주 부윤(慶州府尹) 등을 지냄. 저서로 《자암집(紫巖集)》이 있음.
1573~164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이장(而章) - 박이장(朴而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승지(承旨)를 지낸 박양좌(朴良佐)의 아들로, 노수신(盧守愼)의 문인. 임진왜란 때 김성일(金誠一)의 주청으로 종사관이 되어 활약하였고,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함.
1547~162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ㅣ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이장간(李章簡) - 이윤손(李允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가평(加平). 1455년(세조 1)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원종공신(元從功臣)에 녹훈되고,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를 지냄.
1414~14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