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천백(伊川伯) - 정이(程頤)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향(程珦)의 아들로, 형 정호(程顥)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理氣)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
1033~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천선생문집(伊川先生文集) - 이천문집(伊川文集)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이(程頤)의 문집. 형인 정호(程顥)의 《명도문집(明道文集)》과 함께 《이정전서(二程全書)》에 들어 있으며, 8권으로 구성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이천안(李天安) - 이난(李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이극영(李克榮)의 아들로, 천안 군수(天安郡守)ㆍ통례원 봉례(通禮院奉禮)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이천옹(伊川翁) - 소옹(邵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학자. 이지재(李之才)에게 천문(天文)ㆍ역수(易數) 등을 배우고,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유교의 역철학(易哲學)을 발전시켜 특이한 수리철학(數理哲學)을 완성함.
1011~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이천정(伊川正) - 이수례(李壽禮)
조선 전기의 종친. 예종(睿宗)의 둘째 아들 제안대군(齊安大君) 이현(李琄)이 후사가 없이 죽자, 중종(中宗)의 명으로 그의 상례(喪禮)를 주관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천정씨(伊川程氏) - 정이(程頤)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향(程珦)의 아들로, 형 정호(程顥)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理氣)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
1033~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천집(伊川集) - 이천문집(伊川文集)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이(程頤)의 문집. 형인 정호(程顥)의 《명도문집(明道文集)》과 함께 《이정전서(二程全書)》에 들어 있으며, 8권으로 구성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이철동(李哲仝) - 이철동(李哲同)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증손이고,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손자이며, 운림도정(雲林都正) 이핍(李愊)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첨(爾瞻) - 이이첨(李爾瞻)
조선 선조(宣曺)~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대북(大北)의 영수로서, 광해군(光海君) 즉위 후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살해하고 소북(小北)파를 숙청하는 등 생살치폐(生殺置廢)를 자행하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이 일어나자 처형됨.
1560~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첨(爾瞻)@김이첨 - 김이첨(金爾瞻)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무진(茂珍). 김경선(金景先)의 아들이며, 김이우(金爾盱)ㆍ김이반(金爾盼)의 형. 이색(李穡)이 지은 〈명자설(名字說)〉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이청(以淸) - 정이청(鄭以淸)
조선 전기의 문신. 성균생원(成均生員) 정교(鄭僑)의 아들로 강계 교수(江界敎授)를 지냄.
1498~157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이청(李淸)@이모 - 이모(李瑁)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열여덟째 아들. 무혜비(武惠妃)의 소생으로, 검남절도사(劍南節度使) 등을 지냈으나, 자신의 비(妃)였던 양귀비(楊貴妃)를 현종에게 빼앗김.
?~77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이청강(李淸江) - 이제신(李濟臣)@1536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병마사(兵馬使)를 지낸 이문성(李文誠)의 아들로, 선조 때 예조 정랑(禮曹正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썼음.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청강소설(李淸江小說) - 후청쇄어(鯸鯖瑣語)
조선 전기 문신인 이제신(李濟臣)의 수필집(隨筆集). 우리나라의 풍속(風俗)ㆍ관습(慣習) 및 문물제도의 연혁(沿革)ㆍ고사(故事) 등이 실려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이청련(李靑蓮) - 이후백(李後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와 양관 제학(兩館提學)을 지냈으며, 문장이 뛰어나고 덕망이 높아 사림(士林)의 추앙을 받음.
1520~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이청벽(李靑壁) - 이수연(李守淵)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예학(禮學)과 이기설(理氣說)에 밝고 시문(詩文)에도 능하였으며, 이황(李滉)의 학문을 정리하여 《퇴계선생속집(退溪先生續集)》을 편찬함.
1693~174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청호(李靑湖) - 이일상(李一相)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정귀(李廷龜)의 손자이며 이명한(李明漢)의 아들.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내고, 효종(孝宗)의 북벌계획 수립에 송시열(宋時烈) 등과 도움을 주었으며,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ㆍ《효종실록(孝宗實錄)》을 편찬함.
1612~1666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촬(李繓) - 이목(李牧)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무신. 이좌거(李左車)의 할아버지로, 조 나라 사대명장(四大名將) 중의 한 사람. 오랜 기간 북부 변경지대에 주둔하면서 흉노(匈奴)를 방비함.
?~B.C.22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이최(李漼) - 의종(懿宗)
중국 당(唐) 나라 제17대 황제. 재위 860~873. 선종(宣宗)의 맏아들로, 즉위 후 주색(酒色)에 빠져 정사를 게을리 하고 충간(忠諫)하는 신하를 멀리하며, 불사(佛事)에 재정을 탕진하는 등 방탕하고 무능하였음.
833~873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축(李祝) - 애제(哀帝)@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20대 황제. 재위 904~907. 주온(朱溫)에게 강제로 퇴위 당하고 1년 후에 시해당함.
892~908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