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현산(李玄山) - 이계기(李啓基)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영의정 성준(成俊)의 장인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세자 책봉을 축하하는 시를 지어 올림.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적성 , 인명>관인>문신
-
이현실(李玄實) - 이현보(李玄寶)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영천(永川). 지대구군사(知大丘郡事) 이보흠(李甫欽)의 아버지로, 부사직(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무신
-
이현학사(而見學士) - 유성룡(柳成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권율(權慄)ㆍ이순신(李舜臣)을 천거하여 왜란에 대비하고 군대 양성과 군비 확충에 노력함. 도학(道學)ㆍ문장(文章)ㆍ덕행(德行)ㆍ글씨로 이름을 떨쳐 영남 유생들의 추앙을 받음.
1542~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혈(李娎) - 성종(成宗)@조선
조선 제9대 왕. 재위 1469~1494. 세종(世宗)과 세조(世祖)가 이룩한 치적을 기반으로 찬란한 문화정책을 펼쳤으며, 《경국대전(經國大典)》과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완성하는 등 국가통치체제를 완비함.
1457~149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형(以衡) - 김이형(金以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군수(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이형(伊衡) - 이윤(伊尹)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함. 태갑(太甲)이 탕왕의 법을 어기자 추방하고 직접 정치를 하다가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되돌려 주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형(李亨) - 숙종(肅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7대 국왕. 재위 756~762. 안녹산(安祿山)의 난을 진압하는데 주력했지만 병으로 재위 7년 만에 사망함.
71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호(彛好) - 임상덕(林象德)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나주(羅州).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강목체(綱目體)의 역사서인 《동사회강(東史會綱)》 등이 있음.
1683~17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호(李峼) - 인종(仁宗)@조선
조선 제12대 왕. 재위 1544~1545.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희생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ㆍ기준(奇遵) 등을 신원(伸寃)하고 현량과(賢良科)를 부활시킴.
151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우강전집(盱江全集) - 우강집(盱江集)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구(李覯)의 문집. 37권. 저자가 일생 동안 지은 글을 모아 엮은 책으로 경학(經學)과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이며, 원(元) 나라 때 판각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우겸(友謙) - 장우겸(張友謙)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구례(求禮). 의흥위 부사맹(義興衛副司猛)을 지낸 장한생(張漢生)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문사>유학
-
우경(友卿) - 권주(權柱)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중국어에 능통해 대명 외교에 일익을 담당.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57~15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우경(宇經) - 백우경(白宇經)
신라 선덕왕(善德王) 때의 귀화인. 당(唐) 나라 소주(蘇州) 사람으로 이부 상서(吏部尙書)을 지냈으나, 모함을 받고 신라로 망명함. 수원백씨(水原白氏)의 시조.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
-
우경(禹卿) - 목장흠(睦長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목첨(睦詹)의 아들. 광해군(光海君) 때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향리로 돌아갔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다시 관직에 나옴.
1572~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관인>문신
-
우경(芋莖) - 토란(土卵)
천남성과(天南星科)의 다년초(多年草). 추석 등의 명절에 먹는 전통음식 중 하나로, 남쪽 지방에서 많이 재배됨. 전통 민화(民畵)나 문양(紋樣)에서 무병장수(無病長壽)를 상징하며, 중국의 민산(岷山) 밑에서는 토란이 많이 생산되어 이곳 사람들은 죽을 때까지 굶주리지 않는다고 함.
자연물>식물
-
우경(虞卿)@송여해 - 송여해(宋汝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음직(蔭職)으로 참봉(參奉)이 되고 안동 부사(安東府使)로 나아가 선정을 베풂.
1452~151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우경(虞卿)@김순고 - 김순고(金舜皐)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 김승주(金承霔)의 후손으로, 수군의 전비(戰備)에 관심이 높아 최초로 전선(戰船)의 수미에 포(砲)를 비치하게 함.
1489~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우경(虞卿) - 권희익(權希益)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인.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우경선(禹景善) - 우성전(禹性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동인(東人)이었다가 이발(李潑)과의 갈등으로 인해 남인(南人)의 거두가 됨.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많은 전공을 세우고, 해염(海鹽)과 식량을 조달하여 난민을 구제함.
1542~159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우계(愚溪)@황한충 - 황한충(黃漢忠)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훈도(訓導)를 지낸 황석(黃錫)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뒤 순흥(順興)의 우수동(愚叟洞)에 은거함.
14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