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우범(禹範) - 경구주(耿九疇)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영종(英宗) 때의 문신. 진사(進士)에 급제하여 남경(南京) 형부 상서(刑部尙書)를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우보(祐甫) - 이우보(李祐甫)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이효공(李孝恭)의 아들로, 1464년(세조 10)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직제학(直提學)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우복(于復) - 유자광(柳子光)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를 일으켜 사림파(士林派)를 제거하여 훈구파(勳舊派)의 기반을 굳힘. 중종반정 때 무령부원군(武靈府院君)으로 봉해졌다가 홍문관(弘文館)ㆍ예문관(藝文館)의 탄핵으로 유배되어 죽음.
?~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우복(愚伏)@유전 - 유전(柳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상서원 직장(尙瑞院直長) 유예선(柳禮善)의 아들. 정여립(鄭汝立)의 옥사를 다스린 후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31~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우복(愚伏) - 정경세(鄭經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대제학(大提學)을 지냄. 주자학에 본원을 두고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하였으며,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었음.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복문집(愚伏文集) - 우복집(愚伏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경세(鄭經世)의 시문집. 20권 10책. 목판본. 사위 송준길(宋浚吉)과 후손 정도응(鄭道應)의 주관 하에 정리 편차하여, 1657년(효종 8) 상주(尙州) 도남서원(道南書院)에서 간행함.
165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문헌>서명
-
우복선생문집(愚伏先生文集) - 우복집(愚伏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경세(鄭經世)의 시문집. 20권 10책. 목판본. 사위 송준길(宋浚吉)과 후손 정도응(鄭道應)의 주관 하에 정리 편차하여, 1657년(효종 8) 상주(尙州) 도남서원(道南書院)에서 간행함.
165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문헌>서명
-
우봉(牛峯)@김준 - 김준(金嶟)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우봉 현감(牛峯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우봉(牛峰) - 이극배(李克培)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세조(世祖)와 성종(成宗)의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 및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임명되자 노병으로 사양함.
1422~149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우부(愚夫) - 김혜(金譓)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언양(彦陽). 김소석(金召奭)의 아들로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언양 , 인명>문사>유학
-
우부(迂夫) - 사마광(司馬光)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구법당(舊法黨)의 영수로, 왕안석(王安石) 일파의 신법(新法)을 폐지하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저술함.
1019~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부군(禹府君) - 우예손(禹禮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 부령 부사(富寧府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외손인 이제신(李濟臣)이 지은 지문(誌文)이 《청강집(淸江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무신
-
우부정(禹副正) - 우세신(禹世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우엄(禹淹)의 아들로, 1552년(명종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종부시 정(宗簿寺正) 등을 지냄.
1518~159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우빈(虞賓) - 단주(丹朱)
중국 고대 요(堯) 임금의 아들. 불초(不肖)하여 왕위를 잇지 못하고, 순(舜) 임금 때 당후(唐侯)로 봉해짐. 순 임금의 손님이란 뜻으로 우빈(虞賓)이라 불림.
고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우사(牛師) - 신우(信牛)
조선 전기의 승려. 황준량(黃俊良)의 《금계집(錦溪集)》에 〈차증신우사(次贈信牛師)〉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우사(雩沙) - 이세백(李世白)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송시열(宋時烈)의 유배에 반대하다가 파직당하였으나 갑술환국(甲戌換局) 때 복직됨. 노론(老論)의 중심 인물로서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635~17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우산(于山) - 울릉도(鬱陵島)
울진(蔚珍)에서 정 동쪽으로 3백 50리쯤 떨어진 섬. 지증왕(智證王) 때부터 신라에 예속됨. 조선 숙종(肅宗) 때 안용복(安龍福)이 월경(越境)한 일본 선박에게 항의하다 일본에 붙들려가 백기도주(伯耆島主)에게 우리 영토임을 확인함.
강원도>울진 , 지명>자연지명
-
우산(牛山) - 계융(契融)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성석린(成石璘)ㆍ이직(李稷)과 교유하여 《독곡집(獨谷集)》ㆍ《형재시집(亨齋詩集)》에 차운(次韻)한 시들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우산(牛山)@안방준 - 안방준(安邦俊)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죽산(竹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등 국난을 당할 때마다 의병을 일으켜 항쟁함. 관직을 여러 번 제수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보성(寶城) 우산(牛山)에 들어가 후진 양성에 전념함.
1573~165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산(芋山) - 울릉도(鬱陵島)
울진(蔚珍)에서 정 동쪽으로 3백 50리쯤 떨어진 섬. 지증왕(智證王) 때부터 신라에 예속됨. 조선 숙종(肅宗) 때 안용복(安龍福)이 월경(越境)한 일본 선박에게 항의하다 일본에 붙들려가 백기도주(伯耆島主)에게 우리 영토임을 확인함.
강원도>울진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