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우시(于尸) - 영해(寧海)
경상도 동북부에 있던 고을 이름. 서쪽으로 진보(眞寶), 북쪽으로 강원도 평해(平海)와 접해있으며 현재는 경상북도 영덕군(盈德郡)에 속함.
경상도>영해 , 지명>행정지명
-
우시(愚柴) - 고시(高柴)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위 나라 괴외(蒯聵)의 난 때, 길을 걷되 위험한 소로(小路)를 택하지 않는(道而不徑) 효자의 행동처럼 그 난리를 모면하여 빠져 나왔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우시수길(羽柴秀吉) - 풍신수길(豊臣秀吉)
일본 전국시대(戰國時代)~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武將). 16세기에 직전신장(織田信長)의 뒤를 이어 일본의 전국 통일을 이룩하고, 조선을 침략해 임진왜란을 일으킴.
1536~1598 일본>도산시대ㅣ일본>전국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우시축전수(羽柴筑前守) - 풍신수길(豊臣秀吉)
일본 전국시대(戰國時代)~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武將). 16세기에 직전신장(織田信長)의 뒤를 이어 일본의 전국 통일을 이룩하고, 조선을 침략해 임진왜란을 일으킴.
1536~1598 일본>도산시대ㅣ일본>전국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우신(又新) - 윤우신(尹又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징(尹澄)의 아들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우신(友臣) - 김우신(金友臣)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안락당(顔樂堂) 김흔(金訢)의 아버지. 성종의 잠저 시절 사부(師傅)로서 호조 참의(戶曹參議)를 제수받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424~151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우암(寓庵)@홍언충 - 홍언충(洪彦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홍귀달(洪貴達)의 셋째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간언 상소를 올려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473~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우암(寓庵) - 권장(權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명종(明宗) 때 원상(院相)을 지낸 권벌(權橃)의 동생.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1489~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우암(寓庵)@조인규 - 조인규(趙仁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조세보(趙世輔)의 아들로, 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우암(寓庵)@김주 - 김주(金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선계변무사(璿系辨誣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사명을 완수했으나 그곳에서 병들어 죽음. 문장이 뛰어나고 초서를 잘 씀.
1512~15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우암(寓菴) - 홍언충(洪彦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홍귀달(洪貴達)의 셋째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간언 상소를 올려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473~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우암(尤庵) - 송시열(宋時烈)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이이(李珥)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류를 이룬 주자학(朱子學)의 대가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남인(南人)과 대립하고, 후에 노론(老論)의 영수(領袖)로서 왕세자 책봉에 반대하다가 사사(賜死)됨.
1607~168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암(尤菴) - 송시열(宋時烈)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이이(李珥)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류를 이룬 주자학(朱子學)의 대가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남인(南人)과 대립하고, 후에 노론(老論)의 영수(領袖)로서 왕세자 책봉에 반대하다가 사사(賜死)됨.
1607~168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암(愚菴) - 조욱(趙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ㆍ서화(書畫)에 능하고,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ㆍ김안국(金安國) 등과 교유하였으며,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1498~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기도>삭녕 , 인명>문사>학자
-
우암(牛巖) - 서예원(徐禮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이천(利川). 김해 부사(金海府使)를 지내고 진주 목사(晉州牧使)로 있다가 왜적(倭敵)이 침입(侵入)하여 성(城)이 함락되면서 순절(殉節)함.
?~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무신
-
우암(遇岩) - 이열도(李閱道)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굉(李宏)의 아들로, 종조부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1576년(선조 9)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좌랑(禮曹佐郞) 등을 지냄.
1538~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우암거사(寓菴居士) - 홍언충(洪彦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홍귀달(洪貴達)의 셋째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간언 상소를 올려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473~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우암계녀서(尤庵戒女書) - 계녀서(戒女書)
조선 후기의 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이 출가하는 딸에게 교훈으로 삼도록 지어준 글. 한글 필사본. 1책. 조선시대 사대부가(士大夫家) 부녀자들의 행동에 관한 사회적 규범을 보여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우암문집(尤庵文集) - 우암집(尤庵集)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의 시문집. 167권 63책. 활자본. 1717년(숙종 43) 왕명에 의해 처음으로 간행된 후 증보ㆍ간행되다가, 1787년(정조 11) 《송자대전(宋子大全)》으로 집대성됨.
17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우암선생문집(尤庵先生文集) - 우암집(尤庵集)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의 시문집. 167권 63책. 활자본. 1717년(숙종 43) 왕명에 의해 처음으로 간행된 후 증보ㆍ간행되다가, 1787년(정조 11) 《송자대전(宋子大全)》으로 집대성됨.
17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