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우이자(虞夷子) - 안정복(安鼎福)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익(李瀷)의 문인으로, 실학(實學)을 연구하여 역사지리학(歷史地理學)을 세밀히 고증한 《동사강목(東史綱目)》을 저술함.
1712~179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이지화(牛李之禍) - 우이당쟁(牛李黨爭)
중국 당(唐) 나라의 목종(穆宗)~무종(武宗) 연간에 우승유(牛僧孺)ㆍ이종민(李宗閔)이 당파를 결성하여 이길보(李吉甫)ㆍ이덕유(李德裕) 부자와 맞서 대립한 사건. 과거 출신 관료와 귀족 관료 사이의 당쟁으로, 820년경부터 40년간 격렬한 정쟁이 계속됨.
중국>당 , 중국 , 사건>사화
-
우익공(右翊公) - 유보(劉輔)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둘째 아들. 시호는 헌(獻). 《경씨역(京氏易)》ㆍ《효경(孝經)》ㆍ《논어(論語)》 및 《도참(圖讖)》을 해설하고, 《오경론(五經論)》을 지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우익지(禹益之) - 우언겸(禹彦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여 대사성(大司成) 등을 지낸 우성전(禹性傳)의 생부. 1537년(중종 3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ㆍ안동 판관(安東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우인(友仁)@조우인 - 조우인(曺友仁)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광해군(光海君)을 풍자하는 시를 지어 투옥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풀려나 우부승지(右副承旨) 등을 지냄. 시ㆍ글씨ㆍ그림에 능했음.
1561~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우인(友仁) - 강문회(姜文會)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성종 때에는 사표(師表)로 추앙되었으나, 연산군(燕山君)의 폭정으로 관직을 버리고 단성(丹城)으로 낙향하여 후진양성에 힘씀. 저서로 《소요당기(逍遙堂記)》가 있음.
1433~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문신
-
우인(友仁)@변우인 - 변우인(卞友仁)
조선 중중(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 창신교위(彰信校尉) 변찬(卞瓚)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유학
-
우인(友仁)@이우인 - 이우인(李友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여주(驪州).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이사필(李士弼)의 아들이며 좌찬성(左贊成) 이상의(李尙毅)의 아버지로, 1568년(선조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우인(友仁)@미우인 - 미우인(米友仁)
중국 남송(南宋)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아버지 미불(米芾)이 대미(大米)라고 불린 데 대해 소미(小米)라고 불림. 운산(雲山) 화법을 발전시켜 ‘미법산수(米法山水)’를 정착시키고, 초서와 예서에 뛰어남.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우자(芋子) - 토란(土卵)
천남성과(天南星科)의 다년초(多年草). 추석 등의 명절에 먹는 전통음식 중 하나로, 남쪽 지방에서 많이 재배됨. 전통 민화(民畵)나 문양(紋樣)에서 무병장수(無病長壽)를 상징하며, 중국의 민산(岷山) 밑에서는 토란이 많이 생산되어 이곳 사람들은 죽을 때까지 굶주리지 않는다고 함.
자연물>식물
-
우잠(牛岑) - 우봉(牛峯)
황해도 남동쪽에 있던 옛 고을 이름. 1651년(효종 2)에 강음(江陰)과 병합하여 금천(金川)으로 개명함. 현재 황해북도 금천군(金川郡)에 속함.
황해도>우봉 , 지명>행정지명
-
우장(愚庄) - 이희안(李希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직하고 조식(曺植)과 교우하며 학문을 연마함.
1504~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
-
우장(牛庄) - 우가장(牛家庄)
중국 요동(遼東)에 있던 역참(驛站). 조선시대에 북경(北京)을 왕래할 때 경유하던 요동과 산해관(山海關) 사이의 16개 역참 중의 하나로, 해주위(海州衛)와 사령(沙嶺) 사이에 있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우장(牛莊) - 우가장(牛家庄)
중국 요동(遼東)에 있던 역참(驛站). 조선시대에 북경(北京)을 왕래할 때 경유하던 요동과 산해관(山海關) 사이의 16개 역참 중의 하나로, 해주위(海州衛)와 사령(沙嶺) 사이에 있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우장역(牛莊驛) - 우가장(牛家庄)
중국 요동(遼東)에 있던 역참(驛站). 조선시대에 북경(北京)을 왕래할 때 경유하던 요동과 산해관(山海關) 사이의 16개 역참 중의 하나로, 해주위(海州衛)와 사령(沙嶺) 사이에 있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우재(吁齋) - 조준(趙浚)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조덕유(趙德裕)의 아들로,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과전법(科田法)을 실시하여 토지제도를 정비하였으며, 하륜(河崙) 등과 함께 《경제육전(經濟六典)》을 편찬함.
1346~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우재(尤齋) - 송시열(宋時烈)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이이(李珥)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류를 이룬 주자학(朱子學)의 대가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남인(南人)과 대립하고, 후에 노론(老論)의 영수(領袖)로서 왕세자 책봉에 반대하다가 사사(賜死)됨.
1607~168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재(愚齋) - 손중돈(孫仲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계천군(鷄川君) 손소(孫昭).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청환직(淸宦職)을 두루 역임하였고, 중종(中宗) 때 청백리에 녹선됨.
1463~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우재(愚齋)@정미수 - 정미수(鄭眉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문종(文宗)의 외손자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 3등으로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봉해졌음.
1456~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우재(愚齋)@이이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