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후(李珝)@이우 - 이우(李瑀)@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덕수(德水)로, 이이(李珥)의 아우. 시(詩)ㆍ서(書)ㆍ화(畫)ㆍ금(琴)을 잘하여 ‘사절(四絶)’이라 불림. 어머니 신사임당(申師任堂)의 화풍을 따르고, 특히 화훼(花卉)와 초충(草蟲)을 잘 그림.
1542~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후(而厚) - 안종전(安從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안방형(安邦炯)의 아들로,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籖)을 지냄.
1493~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후주(李後主) - 후주(後主)@오대십국(남당)
중국 오대십국 남당(南唐)의 제3대 국왕. 정치가로서의 역량보다 학문ㆍ문예ㆍ서화에 뛰어났으나, 주연(酒宴)에 빠져 국가의 멸망을 초래함. 반비(潘妃)로 인해 유명해진 전족(纏足)의 풍습이 후주 때부터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음.
937~978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휴(頤休) - 박원응(朴源應)
조선 철종(哲宗) 때의 유학. 본관은 충주(忠州). 눌재(訥齋) 박상(朴祥)의 후손. 박상(朴祥)의 《눌재집(訥齋集)》을 중간(重刊)했으며, 1857년(철종 8)에는 박순(朴淳)의 《사암집(思菴集)》을 전주(全州)에서 중간(重刊)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이휴암(李休庵) - 이숙(李叔)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하여 권호문이 준 시가 《송암집(松巖集)》에 여러 편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흥(以興) - 남이흥(南以興)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남유(南瑜)의 아들. 이괄(李适)의 난 때 장만(張晚)의 휘하에서 공을 세워 진무공신(振武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정묘호란 때 안주성(安州城) 전투에서 분전하다가 자결함.
1576~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이희명(李希明) - 이언명(李彦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철성(鐵城)으로,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기묘명현(己卯名賢) 박훈(朴薰)의 사위이며 이순(李淳)의 아버지. 참판(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희윤(李喜胤) - 이영윤(李英胤)
조선 전기의 종친ㆍ화가. 청성군(靑城君) 이걸(李傑)의 셋째 아들이며, 이경윤(李慶胤)ㆍ이중윤(李仲胤)의 아우. 그림을 잘 그리고, 특히 영모(翎毛)ㆍ화조(花鳥)ㆍ말 그림에 뛰어남.
1561~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이희은(李希殷) - 이광로(李光輅)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여주(驪州)로, 좌부승지(左副承旨)를 지낸 이광진(李光軫)의 형. 1531년(중종 2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이희정(李希正) - 이유정(李惟貞)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평난공신(平難功臣) 이준(李準)의 아버지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희정(李希程) - 이이(李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가평(嘉平). 이장경(李長卿)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장령(掌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가평 , 인명>관인>문신
-
익(杙) - 성익(成杙)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손자로,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성문준(成文濬)의 아들. 수성금화사 별좌(修城禁火司別坐)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익(瀷) - 김익(金瀷)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연은전 참봉(延恩殿參奉) 김양준(金良俊)의 아들로, 김양보(金良輔)에게 출계(出系)함.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익(瀷)@나익 - 나익(羅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정(安定). 김안로(金安老)를 비방하는 방서(榜書)를 사초에 써두었다가 김안로의 미움을 받아 파직되고 죽음을 당함.
1507~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익(瀷)@이익 - 이익(李瀷)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실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농사상(中農思想)에 기반을 두고, 한전론(限田論)ㆍ사농합일론(士農合一論) 등의 사회 개혁론을 주장함. 천문ㆍ지리ㆍ율산(律算)ㆍ의학 등에 능통하고, 저서로 《성호사설(星湖僿說)》ㆍ《곽우록(藿憂錄)》등이 있음.
1681~1763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운산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
-
익(益) - 강익(姜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1538년(중종 33)에 전강(殿講)에 합격해 회시(會試)에 직부(直赴)되었으며, 문정왕후(文定王后)의 국장도감(國葬都監)에서 도첨(都僉)을 지냄. 인재(忍齋) 홍섬(洪暹)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익(益)@서익 - 서익(徐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문장과 도덕 등이 뛰어나 이이(李珥)ㆍ정철(鄭澈)로부터 지우(志友)로 인정받았으며, 의주 목사(義州牧使)를 지낼 때 탄핵당한 이이를 변호하다가 파직됨.
1542~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익(翊) - 한익(韓翊)
조선 전기의 외척.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릉부원군(西陵府院君) 한치례(韓致禮)의 아들이며 소혜왕후(昭惠王后)의 조카.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익(翊)@박익 - 박익(朴翊)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고려 때 예부 시랑(禮部侍郞) 등을 지내고 왜구(倭寇)와 여진(女眞) 토벌에 전공을 세웠으나, 조선 개국 후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갔다가 밀양(密陽)의 송계(松溪)에 은거하여 저술에 전념함.
133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익(翊)@이익 - 이익(李翊)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강계부 판관(江界府判官)을 지낸 이계의(李繼義)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