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인(軔) - 금인(琴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봉화(奉化)로, 송음(松陰) 금복고(琴復古)의 아버지. 1540년(중종 35) 진사시에 입격했으며, 봉화(奉化)의 구만서원(龜彎書院)에 배향됨.
1510~15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인(遴) - 이린(李遴)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익산 군수(益山郡守) 이순증(李順曾)의 아들이며 오위장(五衛將) 이선(李選)의 형. 1549년(명종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인(鏻) - 이린(李鏻)
조선 전기의 종친.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둘째 아들이자 선조(宣祖)의 형으로, 중종(中宗)의 세 번째 서자인 금원군(錦原君)에게 출계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통천(通川)에서 죽음.
1546~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인(隣) - 석린(石隣)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정중부(鄭仲夫)의 난 때 이의방(李義方)에게 가담하고, 조위총(趙位寵)의 난에 공을 세워 상장군(上將軍)이 됨. 1187년 조원정(曺元正)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죽임을 당함.
?~1187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인(韌) - 이인(李韌)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신돈(辛旽)의 문객으로 잠입하여 흉모를 자세히 기록하였다가 김속명(金續命)에게 알림으로써 신돈의 무리를 처벌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역임함.
?~1381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관인>문신
-
인(麟) - 김린(金麟)
조선 전기의 문신.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을 지내다가 1458년(세조 4)에 은퇴하면서 장흥(長興)에 가정사(假亭舍)를 건립하였는데, 선조(宣祖) 때 후손 김성장(金成章)이 중건하고 ‘동백정(冬柏亭)’이라고 개명함.
1392~14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인가(仁可) - 유진정(柳震楨)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인홍(鄭仁弘)의 생질로, 폐모론(廢母論)에 찬성하였다가 인조반정 후 금성(金城)에 유배되고, 아들 유지욱(柳之煜)이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을 추대하려다 역모죄로 처형될 때 함께 사사됨.
1563~162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인가(寅哥) - 미우인(米友仁)
중국 남송(南宋)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아버지 미불(米芾)이 대미(大米)라고 불린 데 대해 소미(小米)라고 불림. 운산(雲山) 화법을 발전시켜 ‘미법산수(米法山水)’를 정착시키고, 초서와 예서에 뛰어남.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인각(麟閣) - 기린각(麒麟閣)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 장안(長安)의 미앙궁(未央宮) 안에 세웠던 전각(殿閣)의 이름. 선제(宣帝) 때 곽광(霍光)ㆍ소무(蘇武) 등 11인의 공신(功臣) 초상을 이곳에 걸었던 데서, 공신각(功臣閣)을 대표하는 말로 쓰임.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인감(人鑑) - 김일경(金一鏡)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소론(小論)의 거두로 신임사화(辛壬士禍)를 주도하여 노론(老論) 수백 명을 살해 또는 추방하고 우참찬에 올랐으나, 영조가 즉위하여 노론이 재집권하자 친국(親鞫)을 받은 뒤 참형당함.
1662~17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인개(仁愷) - 이인개(李仁愷)
조선 전기의 유학. 오건(吳健)의 문인(門人)으로, 그를 방문했을 때 수작한 시가 《덕계집(德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인거절함(引裾折檻) - 견거절함(牽裾折檻)
소매를 끌어당기고 난간을 부러뜨림. 삼국시대에 위 문제(魏文帝)의 옷자락을 끌어당기며 간언한 신비(辛毗)와, 한 성제(漢成帝) 때 끌려 나가면서 붙잡은 난간이 부러질 때까지 간언한 주운(朱雲)의 고사에서 온 말로, 임금의 위세에 굴하지 않고 직간(直諫)함을 뜻함.
중국>삼국시대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인건(仁健) - 이인건(李仁健)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질부(質夫) 이욱(李郁)의 아버지이며 동은(峒隱) 이의건(李義健)의 형. 음사(蔭仕)로 관직에 올라 아산 현감(牙山縣監)을 지낼 때 선정(善政)을 베풂.
1525~15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인걸(人傑) - 만인걸(萬人傑)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남헌(南軒) 장식(張栻)과 회암(晦庵) 주희(朱熹)의 문인.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인걸(人傑)@오인걸 - 오인걸(吳人傑)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이며 주역(周易)에 밝아 《역도설(易圖說)》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인걸(仁傑)@문인걸 - 문인걸(文仁傑)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장간공(章簡公) 문성화(文聖和)의 아들. 국자감 사업(國子監司業)ㆍ지제고(知製誥) 등을 지냈으며, 조정이 권신들에게 좌지우지되자 사직하고 가솔을 거느리고 지리산에 은거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인걸(仁傑)@적인걸 - 적인걸(狄仁傑)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측천무후(則天武后)가 이씨(李氏)를 제거하고 무씨(武氏)의 종묘(宗廟)를 세우자 중종(中宗)을 받들어 당실(唐室)을 회복함.
607~700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인걸(仁傑)@백인걸 - 백인걸(白仁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수원(水原).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 등을 지내고, 동서분당(東西分黨)의 폐단을 논하며 중재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함. 훈구 세력에 맞서 사림파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1497~15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인걸(仁傑) - 곽회영(郭懷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곽열(郭說)의 아버지로, 봉사시 정(奉常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인걸(仁傑)@기인걸 - 기인걸(奇仁傑)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기자오(奇子敖)의 손자로, 군부총랑(軍簿摠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