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완천정(完川正) - 이희(李禧)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영춘군(永春君) 이인(李仁)의 아들로 완천군(完川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완택독(完澤禿) - 왕고(王暠)
고려 충렬왕(忠烈王)의 손자. 충숙왕(忠肅王) 때 독로화(禿魯花)로서 원(元) 나라에 머무름. 충숙왕ㆍ충혜왕(忠惠王) 때 고려 왕위를 도모했으나 실패함.
?~134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완택독(完澤篤) - 성종(成宗)@원
중국 원(元) 나라 제6대 황제. 재위 1295~1307. 세조(世祖)의 손자로, 세조 치세(治世)의 영향이 유지된 데다 재상 합랄합손(哈刺合遜) 등의 보좌를 받아 안정된 정치를 펼침.
1265~1307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완택보화(完澤普化) - 기천린(奇天麟)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기자오(奇子敖)의 손자로, 판도총랑(版圖摠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완평(完平) - 이원익(李元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함천군(咸川君) 이억재(李億載)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병제와 조세제도를 정비하고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하는 데 공헌함.
1547~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평군(完平君) - 이민상(李敏祥)
조선 전기의 유학.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ㆍ호조 판서(戶曹判書)에 추증됨. 김귀영(金貴榮)의 《동원집(東園集)》에 제문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완평부원군(完平府院君) - 이원익(李元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함천군(咸川君) 이억재(李億載)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병제와 조세제도를 정비하고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하는 데 공헌함.
1547~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평현군(宛平縣君) - 철철불화(徹徹不花)
중국 원(元) 순제(順帝) 때의 문신. 하남부 총관(河南府摠管)을 지낸 고려인 한영(韓永)의 사위로, 병부 상서(兵部尚書)를 지냄.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완풍군(完豊君) - 이서(李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사공신(靖社功臣)에 봉해지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을 호종하여 남한산성에서 죽음.
1580~163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완풍부원군(完豊府院君) - 이서(李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사공신(靖社功臣)에 봉해지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을 호종하여 남한산성에서 죽음.
1580~163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완화수(浣花叟)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완화옹(浣花翁)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완화전(浣花箋) - 설도전(薛濤牋)
중국 당(唐) 나라의 종이. 기생 설도(薛濤)가 만년에 은거해서 심홍색 양질의 종이를 만들게 하여 그것을 이용하여 촉(蜀)의 명사들과 시를 증답(贈答)함.
중국>당 , 중국 , 물품>기타물품
-
완휴재(玩休齋) - 강승(姜昇)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봉서사(鳳棲祠)에 배향됨.
1430~150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문사>학자
-
왈인(曰仁) - 서애(徐愛)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왕수인(王守仁)의 매부(妹夫)로, 남경공부낭중(南京工部郞中) 등을 지내고, 《전습록(傳習錄)》을 편찬함.
1487~151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왕(▼(氵+㞷)) - 소현세자(昭顯世子)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맏아들. 효종(孝宗)의 형이며, 부인은 민회빈강씨(愍懷嬪姜氏). 병자호란 때 아우인 봉림대군(鳳林大君) 등과 함께 심양(瀋陽)에 끌려가 9년간 고초를 겪다가 귀국하였으나, 두 달 만에 원인 모를 병으로 급사함.
1612~16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왕^려(王^呂) - 여이간(呂夷簡)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오랜 기간 재상(宰相)으로서 국정을 좌우하였으나 범중엄(范仲淹)ㆍ왕증(王曾) 등과 대립하다가 인종의 개혁 의지로 파면됨.
979~104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양^노^낙(王^楊^盧^駱) - 초당사걸(初唐四傑)
중국 당(唐) 나라 초기에 시문(詩文)으로 명성을 떨친 왕발(王勃)ㆍ양형(楊炯)ㆍ노조린(盧照隣)ㆍ낙빈왕(駱賓王)을 가리킴. 모두 신분이 낮은 사족(士族) 출신으로, 젊어서 시단(詩壇)에서 이름을 떨친 공통점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왕^육(王^陸) - 육^왕(陸^王)
중국 남송(南宋) 초의 문신ㆍ학자인 육구연(陸九淵)과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왕수인(王守仁)을 함께 부르는 말. 육왕학(陸王學)의 대표적인 인물들로, 정주학자(程朱學者)의 관점에서는 사이비 유학자를 가리킴.
중국>명ㅣ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왕^종(王^鍾) - 종^왕(鍾^王)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서예가인 종요(鍾繇)와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서예가인 왕희지(王羲之)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 고금(古今)의 서성(書聖)인 두 사람을 말함.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