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외(隗) - 곽외(郭隗)
중국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 소왕(昭王)의 모사(謀士). 종횡가(縱橫家)로 연 나라가 제(齊) 나라의 침략을 받고 있을 때 파국면(破局面)을 제시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외각(外閣) - 교서관(校書館)
조선시대 삼관(三館)의 하나로, 태조(太祖) 때 설치되어 경적(經籍)의 인쇄ㆍ반포와 향축(香祝)ㆍ인전(印篆)을 담당하던 관청.
1392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외경(外景) - 황정외경경(黃庭外景經)
중국 위(魏)ㆍ진(晉) 시대에 성행한 도가(道家) 수련비결서. 《황정내경경(黃庭內景經)》의 바탕이 됨. 도가에서 중시한 서적으로, 양구자(粱邱子)와 무성자(務成子)의 주석이 유명함.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외경경(外景經) - 황정외경경(黃庭外景經)
중국 위(魏)ㆍ진(晉) 시대에 성행한 도가(道家) 수련비결서. 《황정내경경(黃庭內景經)》의 바탕이 됨. 도가에서 중시한 서적으로, 양구자(粱邱子)와 무성자(務成子)의 주석이 유명함.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외산(外山)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외암(畏庵) - 송대립(宋大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청홍도 우후(淸洪道虞候)를 지낸 송옥(宋玉)의 아들.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성혼(成渾)과 교유함. 공조 정랑(工曹正郞)ㆍ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542~158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외암(畏菴)@김여물 - 김여물(金汝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찰방(察訪) 김훈(金壎)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충주(忠州)에서 왜적과 싸우다 순절함. 뒤에 영의정(領議政)으로 추증됨.
1548~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외암(畏菴)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외암(畏菴)@이식 - 이식(李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승상(李承常)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동서분당(東西分黨)이 일어나자 정희적(鄭熙績) 등과 함께 서인(西人)의 등용을 막으려다 체직됨.
1510~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외재(畏齋)@유종춘 - 유종춘(柳宗春)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유운(柳澐)의 아들로, 도사(都事)를 지냄. 정유일(鄭惟一)의 《문봉집(文峯集)》을 간행할 때 정유일이 수행했던 원접사(遠接使) 일행의 기록을 보내주어 문집 간행에 도움을 줌.
1720~17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외재(畏齋) - 김옹(金顒)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전력(展力) 김삼산(金三山)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외재(畏齋)@이단하 - 이단하(李端夏)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아들로,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이름.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가운데 경학(經學)을 대표할 만한 인물로, 저서에 《선묘보감(宣廟寶鑑)》ㆍ《외재집(畏齋集)》 등이 있음.
1625~168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지평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외재대야(畏齋大爺) - 이단하(李端夏)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아들로,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이름.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가운데 경학(經學)을 대표할 만한 인물로, 저서에 《선묘보감(宣廟寶鑑)》ㆍ《외재집(畏齋集)》 등이 있음.
1625~168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지평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외지(畏之) - 이덕언(李德言)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석성 현감(石城縣監)ㆍ함흥 판관(咸興判官) 등을 지냄.
1571~163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외하(外河) - 노하(潞河)
중국 북경(北京) 근처의 통주(通州)를 흐르는 강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요(姚)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요(憭) - 권료(權憭)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마전 군수(麻田郡守) 권념(權念)의 아들로, 결성 현감(結城縣監)을 지냈으며, 신용개(申用漑)의 《이락정집(二樂亭集)》에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455~150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결성 , 인명>관인>문신
-
요(瑤) - 이요(李瑤)
조선 전기의 종친ㆍ학자.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의 증손이며, 남언경(南彦經)의 문인으로, 조선 최초의 양명학자(陽明學者). 선조(宣祖) 때 유성룡(柳成龍) 등을 동인(東人)의 괴수로 지목하여 논란을 야기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요경(堯卿)@조순 - 조순(趙舜)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생육신(生六臣)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조려(趙旅)의 손자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냄.
1467~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요경(堯卿) - 이당자(李唐咨)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석홍경(石洪慶)ㆍ임이간(林易簡) 등과 함께 월단평(月旦評)으로 추중을 받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