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용만현(龍灣縣) - 의주(義州)
평안북도 북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북서쪽으로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 993년(성종 12)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6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의주 , 지명>행정지명
-
용맹(龍猛) - 용수(龍樹)
인도 대승불교의 승려ㆍ학자. 인도 대승불교사상(大乘佛敎思想)의 기초를 확립하고, 공사상(空思想)을 전개하여 중관학파(中觀學派)로 불림. 저서로 《중론(中論)》등이 있음.
150?~250?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학자
-
용면(龍眠) - 이공린(李公麟)@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화가. 병을 핑계로 벼슬을 그만두고 용면산(龍眠山)에 은거함. 시에 뛰어나고 골동품 감정에 정통하였으며, 특히 그림에 능하여 명성을 떨쳤음.
1049~1106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용면거사(龍眠居士) - 이공린(李公麟)@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화가. 병을 핑계로 벼슬을 그만두고 용면산(龍眠山)에 은거함. 시에 뛰어나고 골동품 감정에 정통하였으며, 특히 그림에 능하여 명성을 떨쳤음.
1049~1106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용면산장도(龍眠山庄圖) - 산장도(山庄圖)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화가인 이공린(李公麟)의 그림. 당시 '세상의 보물'로 불렸으며, 그림의 묘사에 백묘법(白描法)이 고도로 발휘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용문(龍門)@남격 - 남격(南格)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동강(東岡) 남언경(南彦經)의 아들. 조식(曺植)과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용문(龍門) - 조욱(趙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ㆍ서화(書畫)에 능하고,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ㆍ김안국(金安國) 등과 교유하였으며,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1498~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기도>삭녕 , 인명>문사>학자
-
용문문답(龍門問答) - 용문산문답(龍門山問答)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인 남기제(南紀濟)가 지은 《아아록(我我錄)》에 실려 있는 작품. 노론ㆍ소론ㆍ남인ㆍ북인의 네 당파를 대표하는 인물들이 경기도 양평(楊平)의 용문산(龍門山) 설암(雪庵)에서 토론하는 형식으로 당쟁의 전말을 서술함.
18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용문선생집(龍門先生集) - 용문집(龍門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조욱(趙昱)의 시문집(詩文集). 6권 3책. 활자본.
177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문처사(龍門處士) - 남격(南格)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동강(東岡) 남언경(南彦經)의 아들. 조식(曺植)과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용방(龍逄) - 관용방(關龍逄)
중국 하(夏) 나라 걸왕(桀王) 때의 충신. 걸왕의 무도함을 간(諫)하다가 처형됨.
중국>하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용백고(龍伯高) - 용술(龍述)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마원(馬援)이 조카들에게 용백고(龍伯高)를 본받으라고 할 정도로 청렴ㆍ근검했음. 광무제(光武帝)가 마원의 글을 보고 용백고를 영릉 태수(零陵太守)로 삼았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용봉(龍逢) - 관용방(關龍逄)
중국 하(夏) 나라 걸왕(桀王) 때의 충신. 걸왕의 무도함을 간(諫)하다가 처형됨.
중국>하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용부(容夫) - 권중화(權仲和)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 권한공(權漢功)의 아들로, 의약ㆍ지리ㆍ복서(卜筮)에 통달하고, 전서(篆書)에도 능함.
1322~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용부(庸夫) - 권중화(權仲和)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 권한공(權漢功)의 아들로, 의약ㆍ지리ㆍ복서(卜筮)에 통달하고, 전서(篆書)에도 능함.
1322~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용비(龍庇) - 김용비(金龍庇)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금오위 별장(金吾衛別將)을 지낸 김공우(金公祐)의 아들로, 태자 첨사(太子詹事)를 지냈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용비시(龍飛詩)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조선 세종(世宗) 때 정인지(鄭麟趾) 등이 왕명으로 지은 악장(樂章) 이름. 건국의 시조와 왕조의 창건을 송영(頌詠)한 장편 서사시로,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작품.
144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용비신악(龍飛新樂)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조선 세종(世宗) 때 정인지(鄭麟趾) 등이 왕명으로 지은 악장(樂章) 이름. 건국의 시조와 왕조의 창건을 송영(頌詠)한 장편 서사시로,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작품.
144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용빈(用賓) - 유관현(柳觀鉉)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학자 유도원(柳道源)의 생부로, 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냄. 외직(外職)에 있을 때 선정을 베풀어 《목민심서(牧民心書)》에 치적이 기록되었으며, 저서로 《양파집(陽坡集)》이 있음.
1692~176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용사(龍社) - 용수사(龍壽寺)
경상도 안동(安東)의 용두산(龍頭山)에 있는 사찰. 고려 의종(毅宗) 때 세워졌으며, 이황(李滉)과 이현보(李賢輔) 등이 학문을 탐구하고 강학하던 곳.
114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