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용심(用諶) - 유용심(柳用諶)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로, 영암 군수(靈巖郡守)를 지낸 유희정(柳希汀)의 아들. 김안국(金安國)의 문하에서 유학하였으며, 문장(文章)에 능하였고 해서(楷書)를 잘 썼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용암(龍岩) - 사용재(謝用梓)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절강인(浙江人). 임진왜란 때 조선에 서일관(徐一貫) 등과 사신(使臣)으로 와서 경성(京城)의 왜적 진영에 들어가 행장(行長)을 타이르는 등 교섭 관계에 힘씀.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용암(龍巖)@와룡암 - 와룡암(臥龍巖)
경상도 합천(陜川) 수옥동(漱玉洞)에 있는 바위 이름.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이 말년에 그 아래에 집을 짓고 거처함.
경상도>합천 , 지명>자연지명
-
용암(龍巖) - 박운(朴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효자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박영(朴英)의 문인(門人). 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과 교유하였으며, 효행이 뛰어나 선조(宣祖) 때 고향에 정문(旌門)이 세워짐.
1493~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학자
-
용암(龍巖)@박숙 - 박숙(朴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경연(朴慶延)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숙부인 박경신(朴慶新)ㆍ박경인(朴慶因), 형제, 조카들과 함께 경상도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하여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용암문집(龍巖文集) - 용암집(龍巖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박운(朴雲)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778년(정조 2) 정간(鄭幹)에 의해 간행됨. 정간과 이상정(李象靖)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7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암선생문집(龍巖先生文集) - 용암집(龍巖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박운(朴雲)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778년(정조 2) 정간(鄭幹)에 의해 간행됨. 정간과 이상정(李象靖)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7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애(龍崖) - 진린(陳璘)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수군 제독(水軍提督)으로 참전하여, 유정(劉綎)ㆍ왕사기(王士琦) 등과 무공을 세움.
1543~160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용액후(龍額侯) - 한증(韓增)
중국 전한(前漢) 소제(昭帝)~선제(宣帝) 때의 장군, 거기장군(車騎將軍) 등을 지내고, 선제가 기린각(麒麟閣)에 공신의 초상을 그릴 때 곽광(霍光)ㆍ장안세(張安世)와 함께 그려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용양(龍驤) - 왕준(王濬)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 때의 장군. 누선(樓船)을 제조하여 오왕(吳王) 손호(孫皓)를 사로잡고 오 나라를 멸하였으며, 익주 자사(益州刺史)를 거쳐 무군대장군(撫軍大將軍) 등을 역임함.
206~2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용여(勇汝) - 탁지(卓智)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지현사(知縣事)를 지낸 탁사준(卓思俊)의 맏아들로, 직장(直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용연(龍延) - 민지(閔漬)
고려 원종(元宗)~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1266년(원종 7)에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하여 지후(祗候)가 되었고, 충선왕 때 첨의정승(僉議政丞)에 이르러 사직하였음. 충숙왕 때 다시 수정승(守政丞)이 되고 여흥군(驪興君)에 봉하여졌음.
1248~132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용연(龍涎) - 민지(閔漬)
고려 원종(元宗)~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1266년(원종 7)에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하여 지후(祗候)가 되었고, 충선왕 때 첨의정승(僉議政丞)에 이르러 사직하였음. 충숙왕 때 다시 수정승(守政丞)이 되고 여흥군(驪興君)에 봉하여졌음.
1248~132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용연(龍淵)@용천검 - 용천검(龍泉劍)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명검(名劍). 구야자(歐冶子)와 간장(干將)이 함께 만든 세 자루 가운데 하나로,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뇌환(雷煥)이 예장(豫章)의 풍성(豊城) 땅속에서 얻었다는 고사가 전함. 원래는 용연검(龍淵劍)으로 불렸으나 당(唐) 나라 고조의 휘(諱)인 ‘연(淵)’을 피하여 용천(龍泉)이라 하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용연(龍淵) - 구룡연(九龍淵)
강원도 고성군(高城郡) 외금강 구룡동 골짜기에 있는 구룡폭포(九龍瀑布) 밑의 못 이름. 옛날에 금강산을 지키는 아홉 마리의 용이 살았다고 하는 전설이 있으며, 주변 반석에 최치원(崔致遠)의 시구가 쓰여 있음.
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용연(龍淵)@박경인 - 박경인(朴慶因)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병장.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종제(從弟)인 박경전(朴慶傳)과 함께 청도(淸道)에서 의병을 모집하여 싸우다가 서지산(西芝山)에서 전사함.
1542~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용연검(龍淵劍) - 용천검(龍泉劍)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명검(名劍). 구야자(歐冶子)와 간장(干將)이 함께 만든 세 자루 가운데 하나로,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뇌환(雷煥)이 예장(豫章)의 풍성(豊城) 땅속에서 얻었다는 고사가 전함. 원래는 용연검(龍淵劍)으로 불렸으나 당(唐) 나라 고조의 휘(諱)인 ‘연(淵)’을 피하여 용천(龍泉)이라 하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용온(用韞) - 풍기(馮琦)
중국 명(明) 나라 신종(明神宗) 때의 문신. 정사에 임하여 부지런하고 엄숙하였으며, 학문에 조예가 깊음.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저서로 《북해집(北海集)》ㆍ《경제유편(經濟類編)》 등이 있음.
1558~160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용와(慵窩) - 유승현(柳升鉉)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조(英祖) 때 학자인 유도원(柳道源)의 아버지로, 1719년(숙종 45)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냄. 저서로 《용와집(慵窩集)》이 있음.
1680~17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용왕담(龍王潭) - 천지(天池)
함경도와 중국 길림성(吉林省)에 걸쳐 있는 백두산(白頭山) 정상의 화구호(火口湖).
함경도>갑산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