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우^두(牛^斗) - 두^우(斗^牛)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두성(斗星)과 우성(牛星)을 함께 부르는 말. 모두 북방(北方)의 현무칠수(玄武七宿)에 속한 별로, 두성은 북두칠성(北斗七星)을, 우성은 견우성(牽牛星)을 이름.
자연물>기타자연물
-
우^사(牛^沙) - 파^사(坡^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혼(成渾)과 선조~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장생(金長生)을 함께 부르는 말. 우리나라 십팔현(十八賢)에 속하는 인물들로, 뛰어난 학자를 가리킴.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우^안(虞^顏) - 안^우(顔^虞)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인 안회(顔回)와 중국 고대 황제인 순(舜)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우가(虞家)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우가장(牛家莊) - 우가장(牛家庄)
중국 요동(遼東)에 있던 역참(驛站). 조선시대에 북경(北京)을 왕래할 때 경유하던 요동과 산해관(山海關) 사이의 16개 역참 중의 하나로, 해주위(海州衛)와 사령(沙嶺) 사이에 있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우강(盱江) - 이구(李覯)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친하게 지내던 범중엄(范仲淹)의 추천으로 태학설서(太學說書) 등을 지냈으며, 언변과 문장에 능하고 경술(經術)에 통달함.
1009~105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강선생(盱江先生) - 이구(李覯)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친하게 지내던 범중엄(范仲淹)의 추천으로 태학설서(太學說書) 등을 지냈으며, 언변과 문장에 능하고 경술(經術)에 통달함.
1009~105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강선생전집(盱江先生全集) - 우강집(盱江集)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구(李覯)의 문집. 37권. 저자가 일생 동안 지은 글을 모아 엮은 책으로 경학(經學)과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이며, 원(元) 나라 때 판각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월창(月牕) - 의침(義砧)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승려. 시승(詩僧)으로 두보(杜甫)의 시에 정통하였으며, 조위(曺偉)ㆍ유윤겸(柳允謙) 등과 함께 《분류두공부시(分類杜工部詩)》를 언해하여 편찬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
-
월창(月窓)@이총 - 이총(李摠)
조선 전기의 종친. 우산군(牛山君) 이종(李踵)의 아들이며, 남효온(南孝溫)의 사위.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아버지를 비롯하여 여섯 형제가 모두 사사됨.
?~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월창(月窓) - 안응세(安應世)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단양군수(丹陽郡守)를 지낸 안중담(安仲聃)의 아들. 남효온(南孝溫)ㆍ김시습(金時習) 등과 교유하고 악부(樂府)에 뛰어났으나, 26세의 나이에 요절함.
1455~14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문사>유학
-
월창(月窓)@의침 - 의침(義砧)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승려. 시승(詩僧)으로 두보(杜甫)의 시에 정통하였으며, 조위(曺偉)ㆍ유윤겸(柳允謙) 등과 함께 《분류두공부시(分類杜工部詩)》를 언해하여 편찬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
-
월천(月川) - 김길통(金吉通)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1432년(세종 1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한 뒤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어 월천군(月川君)에 봉해짐.
1408~147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월천(月川)@조목 - 조목(趙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횡성(橫城). 조대춘(趙大春)의 아들이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大科)를 포기하고 경전(經傳)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24~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월천군(月川君) - 김길통(金吉通)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1432년(세종 1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한 뒤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어 월천군(月川君)에 봉해짐.
1408~147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월천군(越川君) - 문빈(文彬)
조선 정종(定宗)~태종(太宗) 때의 무신.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고 이방원(李芳遠)이 왕위에 오르는데 협력한 공으로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에 책록됨.
?~141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월천대형(月川大兄) - 조목(趙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횡성(橫城). 조대춘(趙大春)의 아들이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大科)를 포기하고 경전(經傳)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24~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월천부원군(月川府院君) - 이정암(李廷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사직서 영(社稷署令) 이탕(李宕)의 아들로, 황해도 관찰사ㆍ병조 참판 등을 지냄. 임진왜란 때 연안(延安) 수비의 공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1541~16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월천사우(月川祠宇) - 강성서원(江城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전라도 장흥(長興)에 건립된 서원. 옛 이름은 월천사(月川祠)였는데, 1785년(정조 9)에 사액되었으며, 문익점(文益漸)ㆍ문위세(文緯世) 등을 배향함.
164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유적>건물>서원,향교
-
월천서사(月川書舍) - 월천서당(月川書堂)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당. 1539년(중종 34) 월천(月川) 조목(趙穆)이 학문을 배우고 후진을 양성하기 위해 건립하였으며, 현판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씀.
153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