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위문(衛文) - 문공(文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衛) 나라의 제후. 위(衛) 나라가 적(狄)의 침입으로 멸망의 위기에 처했을 때 제(齊) 환공(桓公)의 도움으로 왕위에 올라 위 나라를 부흥시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위문(魏文)@문제 - 문제(文帝)@남북조(북위)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추존 황제. 신원제(神元帝)의 아들로, 태자로 있을 때 중원의 문물을 배우고 귀국하였으나 누명으로 죽고, 그의 아들인 탁발의이(拓拔猗㐌)가 부족을 통일하여 환제(桓帝)가 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위문(魏文) - 문제(文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220~226. 후한(後漢) 헌제(獻帝)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위(魏)를 세움.
187~226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위백(偉伯) - 안사웅(安士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제검(提檢) 안자흠(安子欽)의 아들이자 이조 좌랑(吏曹佐郞) 안사언(安士彦)의 동생으로, 병조 참의(兵曹參議) 등을 지내고 청빈(淸貧)한 생활을 함.
1529~15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위부인(衛夫人) - 위삭(衛鑠)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여류 서예가. 여음 태수(汝陰太守) 이구(李矩)의 아내로, 종요(鐘繇)에게 사사하고 예서(隸書)와 정서(正書)에 뛰어났으며, 왕희지(王羲之)에게 서법을 가르침.
272~34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위빈(渭濱) - 이위빈(李渭濱)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성혼(成渾)ㆍ이순(李純)ㆍ김경삼(金景參)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위빈로(渭濱老)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위빈수(渭濱叟)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위빈옹(渭濱翁)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위사(衛賜) - 단목사(端木賜)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재여(宰予)와 더불어 언어에 뛰어났으며, 노(魯) 나라와 위 나라에서 재상(宰相)을 지냄.
B.C.520?~B.C.45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위사(魏斯) - 문후(文侯)@춘추전국(魏)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의 제후. 재위 B.C.445~B.C.396. 무후(武侯)의 아버지로, B.C.403년에 주(周) 나라로부터 제후에 책봉됨. 단간목(段干木)ㆍ악양(樂羊) 등의 인재를 적소에 등용하여 부국강병을 이룩함.
?~B.C.39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위사공신(衛社功臣)@보익공신 - 보익공신(保翼功臣)
조선 명종(明宗) 1년에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주도한 인물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선조(宣祖) 때 위훈(僞勳)으로 간주되어 모두 삭훈(削勳)됨.
1546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위산(潙山) - 영우(靈祐)
중국 당(唐) 나라 때의 승려. 위앙종(潙仰宗)의 창시자. 항주(杭州) 용흥사(龍興寺)에서 수계를 받고, 백장 회해(百丈懷海)의 입실제자가 되어 불법을 전수받음.
771~853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위생(魏生) - 관녕(管寧)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학자. 황건적의 난이 일어났을 때 공손도(公孫度)의 풍도를 듣고 요동(遼東)으로 옮겨 살면서 시서(詩書)를 강론하고 예의(禮儀)를 강명하여 그곳의 민풍(民風)을 크게 진작시킴.
162~24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위서(渭瑞) - 강응황(姜應璜)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ㆍ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한 일로 유성룡의 추천을 받아, 병조 좌랑(兵曹佐郞)ㆍ예산 현감(禮山縣監)ㆍ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571~16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위성류택(渭城柳宅) - 강희맹(姜希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지돈녕부사 강석덕(姜碩德)의 아들. 뛰어난 문장가로, 경사(經史)와 전고(典故)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 저서에 《금양잡록(衿陽雜錄)》ㆍ《사숙재집(私淑齋集)》 등이 있음.
1424~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위성삼첩곡(渭城三疊曲) - 위성곡(渭城曲)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인 왕유(王維)가 지은 악곡. 왕유가 원이사(元二使)를 송별(送別)할 때 지은 시가 송별의 노래로 널리 애창되었고, 세 번 되풀이하여 부르기 때문에 양관삼첩곡(陽關三疊曲)이라고도 부름.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위세(緯世) - 문위세(文緯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유희춘(柳希春)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임계영(任啓英)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워 용담 현령(龍潭縣令)이 되었고, 정유재란 때에도 왜적을 무찌른 공으로 파주 목사(坡州牧使)에 제수됨.
1534~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위소(緯素) - 나위소(羅緯素)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정묘호란 때 이원익(李元翼)을 도와 무기와 군량을 조달했으며,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83~166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위소주(韋蘇州) - 위응물(韋應物)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젊었을 때 의협심이 강하여 현종(玄宗)의 근위사관으로서 분방한 생활을 하였으나, 안녹산(安祿山)의 난 이후 학문에 정진하여 관계에 진출한 뒤 좌사 낭중(左司郞中)ㆍ소주 자사(蘇州刺史) 등을 지냄.
737~80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