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위한(緯韓) - 조위한(趙緯韓)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양정(趙揚庭)의 아들이자 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지낸 조찬한(趙纘韓)의 형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567~16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위한(魏韓) - 한기(韓琦)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재상. 인종 때 재상에 올라 십여 년간 국정에 참여하여 치적을 쌓았으나, 신종 때 왕안석(王安石)의 청묘법(靑苗法) 실시와 거란(契丹)에 대한 영토할양에 적극 반대하며 관직에서 물러남.
1008~107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항도인(葦杭道人) - 박제가(朴齊家)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실학자. 시문 사대가(詩文四大家)의 한 사람으로, 박지원(朴趾源)ㆍ이덕무(李德懋)ㆍ유득공(柳得恭) 등과 함께 북학파(北學派)를 이룸. 저서에 《북학의(北學議)》ㆍ《정유고략(貞蕤稿略)》 등이 있음. 춘당대 무과(春塘臺武科)에 장원하여 오위장(五衛將)ㆍ영평 현감(永平懸監) 등을 지냄.
1750~1805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무신
-
위호(魏瓠) - 위왕호(魏王瓠)
《장자(莊子)》의 〈소요유(逍遙遊)〉에 나오는 큰 박. 혜자(惠子)가 위(魏) 나라 왕으로부터 박씨를 받았다는 데서 유래한 말로, 물건은 이용하는 사람이 그 물건을 감당할 만한 국량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로 사용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위호제(魏虎帝) - 무제(武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왕조를 세운 장군. 시부(詩賦) 등의 문재(文才)를 지녀 건안문단(建安文壇)을 영도(領導)함.
155~22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국왕
-
위후(衛侯) - 문공(文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衛) 나라의 제후. 위(衛) 나라가 적(狄)의 침입으로 멸망의 위기에 처했을 때 제(齊) 환공(桓公)의 도움으로 왕위에 올라 위 나라를 부흥시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위후(韋后) - 위황후(韋皇后)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의 황후. 측천무후(則天武后)의 주선으로 황후가 된 뒤 일찍부터 정치에 관여함. 무삼사(武三思)와 간통하여 중종을 죽이고 상제(殤帝)를 세운 뒤 전횡을 일삼다가, 후에 현종(玄宗)이 된 이융기(李隆基)에게 폐위되어 축출됨.
?~71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위후(魏侯) - 혜왕(惠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의 제후. 잦은 전쟁으로 국력이 피폐해지자 수도를 대량(大梁)으로 옮기고 국호를 ‘양(梁)’으로 고쳤으며, 요(堯)ㆍ순(舜)의 인의정치(仁義政治)를 표방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위후간(衛侯衎) - 헌공(獻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제후. 재위 B.C.576~B.C.559, B.C.546~B.C.544. 대부인 손임보(孫林父)에 의해 제(齊) 나라로 축출되었다가 12년 만에 영희(甯喜)의 도움으로 다시 복귀하였으나, 후에 영희의 권세를 두려워하여 그를 살해함.
?~B.C.54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위후정(衛侯鄭) - 성공(成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제후. 진(晉) 나라가 위 나라를 칠 때 국외로 달아났다가 귀국하여 위군(衛君) 희하(姬瑕)와 그를 세운 대부 원훤(元喧)을 주살함.
?~B.C.60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위흔(魏昕) - 김양(金陽)
통일신라의 왕족. 839년(민애왕 2) 김우징(金佑徵)ㆍ장보고(張保皐) 등과 함께 민애왕(閔哀王)을 시해하고 김우징을 신무왕(神武王)으로 추대함.
808~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
-
유(侑) - 정유(鄭侑)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오천군(烏川君) 정사도(鄭思道)의 아버지로, 종부령(宗府令)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유(儒) - 홍유(洪儒)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ㆍ공신. 태조의 26번째 부인인 의성부원부인(義城府院夫人)의 아버지이며, 의성홍씨(義城洪氏)의 시조. 신숭겸(申崇謙)ㆍ복지겸(卜智謙)ㆍ배현경(裵玄慶) 등과 함께 궁예(弓裔)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왕으로 추대하여 고려의 개국공신이 됨.
?~9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유(愈) - 권유(權愈)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근(權近)의 후손. 1665년(현종 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甲戌換局) 때 유배되었다가 돌아와 곧 죽음.
1633~17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愈)@서유 - 서유(徐愈)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방원(李芳遠)이 왕위에 오르는 데 기여한 공으로 태종 때에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에 책록됨.
1356~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愉) - 김유(金愉)
조선 전기의 무신. 김건(金鍵)의 아버지로, 부호군(副護軍)ㆍ건공장군(建功將軍)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유(愉)@송유 - 송유(宋愉)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신덕왕후(神德王后)가 붕어(崩御)한 뒤 위패가 태조묘(太祖廟)에 부(附)해지지 않자 이를 한탄하는 글을 올리고 낙향하여 회덕(懷德)에 쌍청당(雙淸堂)을 짓고 은거함.
1388~144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유(攸) - 사마유(司馬攸)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무제(武帝)의 동생. 아버지 사마소(司馬昭)가 차남 사마유(司馬攸)를 세자로 삼으려고 했지만 신하들의 간언에 장자 사마염(司馬炎)을 세자로 삼음. 사공(司空) 등의 벼슬을 지냄.
248~28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유(有) - 신유(愼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신희복(愼希復)의 아들로, 세자익위사 위수(世子翊衛司衛率)ㆍ통례원 상례(通禮院相禮)ㆍ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 등을 지냄.
152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柔) - 유유(柳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를 지낸 유순선(柳順善)과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유종선(柳從善)의 아버지로,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