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유순지(柳詢之) - 유조순(柳祖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우(柳藕)의 아들이고, 유조인(柳祖訒)의 형으로, 현령(縣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박응순(朴應順)ㆍ박응복(朴應福) 형제를 가르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승(柔勝) - 김약온(金若溫)
고려 예종(睿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양감(金良鑑)의 아들로, 이자겸(李資謙)과 인척이면서도 가까이하지 않음. 벼슬이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름.
1059~1140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유시견(柳時見) - 유덕룡(柳德龍)
조선 후기의 유학. 하항(河沆)의 《각재집(覺齋集)》에 그에게 준 시가 실려 있음.
1563~16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유학
-
유식(柳湜) - 유협(柳浹)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종덕(柳種德)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유식종(唯識宗) - 법상종(法相宗)
중국 당(唐) 나라의 현장(玄奬)ㆍ규기(窺基)에 의해 성립한 유식사상(唯識思想) 계통의 불교종파. 존재의 공성(空性)보다도 현상을 세밀히 분석해 설명함.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의 태현(太賢)을 초조로 삼음.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유식중도종(唯識中道宗) - 법상종(法相宗)
중국 당(唐) 나라의 현장(玄奬)ㆍ규기(窺基)에 의해 성립한 유식사상(唯識思想) 계통의 불교종파. 존재의 공성(空性)보다도 현상을 세밀히 분석해 설명함.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의 태현(太賢)을 초조로 삼음.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유식파(唯識派) - 유가파(瑜伽派)
인도 육파(六派) 철학(哲學)에서 발전한 대승불교의 한 파. 수행방법으로 유가[Yoga]를 중시하며, 주로 진공묘유(眞空妙有)의 유가사상을 고취함. 법상종(法相宗)이 유가파를 계승함.
고대 , 기타지역 , 사상>이론>교리
-
유식학파(唯識學派) - 유가파(瑜伽派)
인도 육파(六派) 철학(哲學)에서 발전한 대승불교의 한 파. 수행방법으로 유가[Yoga]를 중시하며, 주로 진공묘유(眞空妙有)의 유가사상을 고취함. 법상종(法相宗)이 유가파를 계승함.
고대 , 기타지역 , 사상>이론>교리
-
유신(惟新)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유신(有莘) - 신(莘)
중국 고대의 나라 이름. 이윤(伊尹)이 유신(有莘)의 들에서 밭을 갈다 은(殷) 나라 탕왕(湯王)의 부름을 받고 재상(宰相)이 됨.
중국>은 , 중국 , 시간>국명
-
유신(維新) - 양수진(楊守陳)
중국 명(明) 나라 대종(代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헌종(憲宗) 때 《문화대훈(文華大訓)》을 편찬하고, 효종 때 《헌종실록(憲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이부 우시랑(吏部右侍郞) 등을 역임함.
1425~148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신(維新)@애유신 - 애유신(艾維新)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호부 주사(戶部主事)로 종군(從軍)하여 군량(軍糧)을 관리함. 군량 운송의 기일을 지키지 못한 검찰사(檢察使) 김응남(金應南)과 의주 부윤(義州府尹) 황진(黃璡) 등에게 장형(杖刑)을 가했다는 기록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유신(維新)@충주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유신(纍臣)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유신로(有莘老) - 이윤(伊尹)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함. 태갑(太甲)이 탕왕의 법을 어기자 추방하고 직접 정치를 하다가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되돌려 주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신보(兪新甫) - 유대진(兪大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좌의정 유홍(兪泓)의 아들. 이이(李珥)의 천거로 홍문관(弘文館)에 발탁되고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여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1554~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심(惟深) - 윤유심(尹惟深)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우참찬(右參贊) 윤의중(尹毅中)의 아들이며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생부(生父)로,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심(惟深)@방유심 - 방유심(方惟深)
중국 송(宋) 휘종(徽宗) 때의 문인. 시가 매우 정교하고 뛰어나다는 평을 받았고, 저서로는 《방비교집((方秘校集)》이 있음.
1040~112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유심보(柳深甫) - 유은(柳溵)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유충정(柳忠貞)의 아들로,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좌랑(佐郞)을 역임함.
154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유아두(劉阿斗) - 후주(後主)@삼국(촉)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촉(蜀)의 제2대 황제. 재위 223~263. 제갈량(諸葛亮)의 보좌를 받아 정권을 유지하다가 제갈량이 죽은 뒤 위(魏) 나라에 항복하여 안락공(安樂公)에 봉해짐.
207~27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