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원작(元作) - 이각(李恪)
조선 전기의 문인.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문인으로, 《미암집(眉巖集)》 〈일기(日記)〉에 유희춘(柳希春)을 방문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문인
-
원장(元章) - 미불(米芾)
중국 북송(北宋)의 서예가ㆍ화가. 소동파(蘇東坡)ㆍ황정견(黃庭堅) 등과 친교가 있었고, 미점법(米點法)이라는 독자적인 점묘법(點描法)을 창시함.
1051~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원장(元長)@범충 - 범충(范冲)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고종(高宗) 때 사관(史官)으로 《신종실록(神宗實錄)》ㆍ《고이(考異)》 등을 편찬함. 《자치통감(資治通鑑)》 편찬에 참여한 범조우(范祖禹)의 아들.
1067~114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장(元長) - 채경(蔡京)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흠종(欽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글씨에 뛰어났으며 태사(太師) 등을 지냄. 채양(蔡襄)ㆍ서호(徐浩)ㆍ심전사(沈傳師) 등을 스승으로 삼았으나, 자주 스승을 배신하고 교체한 탓에 간사하다는 평을 받음.
1047~1126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원재(圓齋)@문헌 - 원재고(圓齋槀)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인 정추(鄭樞)의 문집. 1418년(태종 18) 아들 정탁(鄭擢)이 영월(寧越)에서 3권 1책의 목판으로 간행함.
1418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문헌>서명
-
원재(圓齋) - 정추(鄭樞)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낸 정포(鄭誧)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事)를 지냈고, 만년에 나라의 일이 권신들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한탄하다가 병사함.
1333~13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원재(源齋) - 박세희(朴世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일파로 몰려 강계(江界)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음.
14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재선생문고(圓齋先生文槀) - 원재고(圓齋槀)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인 정추(鄭樞)의 문집. 1418년(태종 18) 아들 정탁(鄭擢)이 영월(寧越)에서 3권 1책의 목판으로 간행함.
1418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문헌>서명
-
원적(元寂) - 도의(道義)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가지산파(迦智山派)의 개조(開祖)로, 중국의 남종선(南宗禪)을 처음으로 들여옴. 당시인들이 무위법(無爲法)을 믿지 않자 설악산 진전사(陳田寺)에서 수도하다가 제자 염거(廉居)에게 처음으로 남종선(南宗禪)을 전하고 죽음.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양양 , 인명>종교인>승려
-
원전(元典) - 원육전(元六典)
조선 태종(太宗) 때 하륜(河崙) 등이 편찬한 법전(法典). 《경제육전(經濟六典)》을 수정한 《경제육전원집상절(經濟六典元集詳節)》에서 문장 중의 이두(吏讀) 등을 빼고 편찬함.
141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원전(原典)@경제육전 - 경제육전(經濟六典)
조선 태조(太祖) 때 편찬된 법전(法典). 검상조례사(檢詳條例司)에서 정도전(鄭道傳)ㆍ조준(趙浚) 등이 고려 우왕(禑王) 때부터 당시까지 발표된 조례(條例)를 육전(六典)의 형식을 갖추어 만듦.
139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원전(原典) -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 세조(世祖) 때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成宗) 때 완성된 조선시대 통치의 기본 법전. 조선 건국 전후부터 1484년(성종 15)에 이르기까지 약 100년간의 왕명ㆍ교지(敎旨)ㆍ조례(條例) 중 영구히 준수할 것을 모아 엮음. 6권 4책. 인본(印本).
1485 한국>조선전기 , 법제>법률ㅣ문헌>서명
-
원정(元井) - 방원정(房元井)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1646년(인조 24)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직강(直講)을 지냄.
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원정(元定)@채원정 - 채원정(蔡元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어려서 아버지 채발(蔡發)에게 배우고, 후에 주희(朱熹)에게 배움. 의리(義理)ㆍ상수(象數)를 겸하고, 천문(天文)ㆍ지리(地理)ㆍ악률(樂律)ㆍ역수(曆數) 등에도 폭넓은 학식을 지님.
1135~119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원정(元定) - 양원정(楊元定)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이여송(李如松) 등과 함께 조선의 구원군(救援軍)으로 참전함. 도독첨사(都督僉事) 등을 지냈고, 정탁(鄭琢)의 《약포집(藥圃集)》에 관련 기록이 남아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원정(元正)@원일 - 원일(元日)
설날.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名節). 조상에게 차례(茶禮)를 지내고 웃어른들에게 세배(歲拜)를 드리며, 다양한 음식과 놀이를 통하여 결속을 다지고 한 해의 안녕을 기원함.
사건>풍속
-
원정(元正) - 세종(世宗)@조선
조선 제4대 왕. 재위 1418~1450. 태종(太宗)의 셋째 아들. 집현전(集賢殿)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고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였으며, 육진(六鎭)을 개척하고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함.
1397~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원정(元正)@조원정 - 조원정(曺元正)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정중부(鄭仲夫)의 난 때 이의방(李義方)을 도운 공으로 장군에 오름. 자신을 좌천시킨 두경승(杜景升) 등에게 원한을 품고 석린(石隣) 등과 모의하여 제거하려다가 그 사실이 발각되어 살해당함.
?~1187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원정(元正)@하즙 - 하즙(河楫)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하직의(河直漪)의 아들로,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지내고,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303~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정(元貞) - 강사미(姜士美)
고려 정종(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양(晉陽). 추밀원사(樞密院使)ㆍ국자 좨주(國子祭酒)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