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을사지변(乙巳之變) - 을사사화(乙巳士禍)
조선 명종(明宗) 즉위년(1545)에 소윤(小尹)이 대윤(大尹)을 몰아내는 과정에서 사림(士林)이 화를 당한 사건. 외척(外戚) 간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발생함.
1545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을사지옥(乙巳之獄) - 을사사화(乙巳士禍)
조선 명종(明宗) 즉위년(1545)에 소윤(小尹)이 대윤(大尹)을 몰아내는 과정에서 사림(士林)이 화를 당한 사건. 외척(外戚) 간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발생함.
1545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을사지화(乙巳之禍) - 을사사화(乙巳士禍)
조선 명종(明宗) 즉위년(1545)에 소윤(小尹)이 대윤(大尹)을 몰아내는 과정에서 사림(士林)이 화를 당한 사건. 외척(外戚) 간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발생함.
1545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을사화(乙巳禍) - 을사사화(乙巳士禍)
조선 명종(明宗) 즉위년(1545)에 소윤(小尹)이 대윤(大尹)을 몰아내는 과정에서 사림(士林)이 화를 당한 사건. 외척(外戚) 간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발생함.
1545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을지(乙沚) - 하을지(河乙沚)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개경(開京)을 수복하여 일등공신(一等功臣)이 되었으나, 이후 여러 차례 왜구(倭寇)를 제대로 방어하지 못하여 문책을 당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을진(乙珍) - 남을진(南乙珍)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 등과 교유하였으며, 조선의 태조(太祖)가 사천백(沙川伯)을 봉했으나 적성(積城)의 감악산(紺嶽山) 석굴에 들어가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적성ㅣ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을진(乙珍)@이을진 - 이을진(李乙珍)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장수(長水). 여러 차례 왜구를 격퇴하는 공을 세웠고, 최영(崔瑩) 등과 함께 요동정벌에 참가하였으며, 우왕의 복위를 꾀하던 김저(金佇)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무신
-
을충(乙忠) - 표을충(表乙忠)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표광원(表光遠)의 아들로, 군기시 소윤(軍器寺少尹) 등을 지냄. 조선 개국 후 세 차례 부름을 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상주(尙州)의 백화산(白華山)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음(愔) - 왕음(王愔)
고려 제11대 문종(文宗)의 아들. 어머니는 인예태후(仁睿太后) 이씨(李氏)이며, 순종(順宗)ㆍ선종(宣宗)ㆍ숙종(肅宗)ㆍ대각국사(大覺國師)의 동생.
?~1086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음^하(陰^何) - 하^음(何^陰)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인 하손(何遜)과 음갱(陰鏗)을 함께 부르는 말. 시(詩)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음군(陰君) - 음장생(陰長生)
중국 후한(後漢) 때의 도사. 화제음황후(和帝陰皇后)의 증조. 마명생(馬明生)의 제자로, 그에게 《태청신단경(太淸神丹經)》을 전수받고, 청성산(靑城山)에서 수도하여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음백(飮伯) - 국미록(麴美祿)
술의 다른 이름. 조선 전기의 문인 최연(崔演)이 지은 가전(假傳) 〈국수재전(麴秀才傳)〉의 주인공. 국매(麴酶)와 곡숙현 미씨(穀熟縣米氏) 사이에 태어나 임금의 총애를 얻어 황봉(黃封)의 호를 받았으나, 신하들의 무함(誣陷)으로 주천후(酒泉侯)에 봉해져 은둔함.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음백(飮伯)@국생 - 국생(麴生)
술의 의인화된 명칭. 누룩[麴]을 원료로 하여 만드는 술에 학생ㆍ학자를 뜻하는 생(生) 자를 붙여 입전(立傳)한 데서 유래한 명칭.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음봉(陰峯) - 아산(牙山)
충청도 서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초기에는 인주(仁州)ㆍ아주(牙州)라 불렀으며, 이순신(李舜臣)의 영정(影幀)을 모신 현충사(顯忠祠)가 있음.
충청도>아산 , 지명>행정지명
-
음시부(陰時夫) - 음유우(陰幼遇)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송 나라가 멸망하자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매진하여 《운부군옥(韻府群玉)》등의 저서를 남김.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음애(陰崖)@이자 - 이자(李耔)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사림파(士林派)의 한 사람으로 도학정치의 이상을 추구했으며, 온건하고 원만한 성품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의 참화를 면함. 파직된 후 음성(陰城) 등지에 은거하여 학문에 힘씀.
1480~15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충청도>음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음애(陰崖) - 이은(李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기(李克基)의 아들로, 학식과 지조가 있어 별과(別科)에 추천되었으며, 고원 군수(高原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음애선생집(陰崖先生集) - 음애집(陰崖集)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자(李耔)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후손 이도흥(李道興)과 이이장(李彝章)이 수집ㆍ편찬하여 1754년(영조 30)에 간행함. 김재로(金在魯)의 서문과 권만(權萬)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5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음여화(陰麗華) - 광렬음황후(光烈陰皇后)
중국 후한(後漢) 제1대 황제인 광무제(光武帝)의 황후. 41년에 황후로 봉해지고, 아들로 명제(明帝)가 된 유장(劉莊), 동평왕(東平王) 유창(劉蒼), 광릉왕(廣陵王) 유형(劉荊), 임준공(臨淮公) 유형(劉衡), 낭야왕(琅邪王) 유경(劉京)이 있음.
4~6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음잠(陰岑) - 아산(牙山)
충청도 서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초기에는 인주(仁州)ㆍ아주(牙州)라 불렀으며, 이순신(李舜臣)의 영정(影幀)을 모신 현충사(顯忠祠)가 있음.
충청도>아산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