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응(應)@강응 - 강응(姜應)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진주(晉州)로, 우승지(承政院右承旨)를 지낸 강삼(姜參)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응(應) - 허응(許應)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고려 말에 이성계(李成桂)의 신진세력에 가담하여 시폐(時弊) 혁신과 전제(田制) 개혁을 주장하고, 조선 개국 후 배불정책(排佛政策)과 과부의 개가(改嫁) 금지 등을 주장함.
?~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응(應)@홍응 - 홍응(洪應)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심(洪深)의 아들.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리고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 등을 지냄. 문장과 글씨에 능했음.
1428~14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응(膺)@후한 - 이응(李膺)@후한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영제(靈帝) 때의 문신. 당고지화(黨錮之禍) 때 두무(竇武)와 함께 환관(宦官)을 숙청하려다가 환관 조절(曹節)에게 피살됨. 공융(孔融)의 집안과 친하게 지냈으며, 청렴하여 당시 청년 관리들이 그를 알게 되는 것을 등용문(登龍門)이라 부름.
110~16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응(膺)@조선 - 이응(李膺)@조선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조선 개국 후 제2차 왕자의 난에 기여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태종(太宗)의 척불정책(斥佛政策)을 크게 돕고, 계미자(癸未字) 주조에도 공헌함.
1365~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응(膺) - 심응(沈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좌의정(左議政) 심정(沈貞)의 아버지로 풍산군(豊山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응^태(膺^泰) - 이^곽(李^郭)
중국 후한(後漢)의 대신인 이응(李膺)과 학자인 곽태(郭泰)를 함께 부르는 말. 인품이 고결한 명사(名士)를 가리킴.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응개(應凱) - 신응개(申應凱)
조선 전기의 문신. 약포(藥圃) 정탁(鄭琢)과 교유하였으며,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응개(應漑) - 송응개(宋應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좌참찬(左參贊) 송기수(宋麒壽)의 아들. 선조 때 동서분당(東西分黨) 이후 동인(東人)의 중진으로 활약하면서 허봉(許篈) 등과 함께 이이(李珥)를 탄핵하다 회령(會寧)에 유배됨.
1536~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거(應擧) - 양사준(楊士俊)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양희수(楊希洙)의 아들로, 형 양사언(楊士彦), 동생 양사기(楊士奇)와 더불어 문명(文名)을 날려 당시에 중국의 소순(蘇洵)ㆍ소식(蘇軾)ㆍ소철(蘇轍)에 비유되었으며, 정랑(正郞)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견(應見) - 유운룡(柳雲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형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풍기 군수(豊基郡守)로 부임하여 백성들의 생업을 보호하는 데 힘썼으며, 효성이 지극함.
1539~160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응경(應卿)@조응경 - 조응경(趙應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조수만(趙壽萬)의 아들로,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조부인 조금호(趙金虎) 슬하에서 자라면서 지극한 효행으로 이름을 떨침.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487~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응경(應卿)@정몽열 - 정몽열(丁夢說)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무안(務安). 유학 정윤호(丁潤瑚)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응경(應卿) - 김서성(金瑞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1544년 중종 비가 죽자 사재감 정(司宰監正)이 되어 일을 처리함.
1497~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응경(應卿)@성몽정 - 성몽정(成夢井)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담년(成聃年)의 아들로,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사류와 교유함.
1471~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응경(應慶)@김응경 - 김응경(金應慶)
조선 후기의 유학. 정인홍(鄭仁弘)ㆍ윤감(尹堪)ㆍ정이길(鄭以吉) 등과 교유함. 《내암집(來庵集)》의 〈윤감전(尹堪傳)〉에 그와 관련한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응경(應慶)@송응경 - 송응경(宋應慶)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 송인수(宋麟壽)의 아들이며, 단양수(丹城守) 이진(李鎭)과 지퇴당(知退堂) 이정형(李廷馨)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유학
-
응경(應慶)@이응경 - 이응경(李應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복흥(李復興)의 아들로, 봉산 군수(鳳山郡守)로 있을 때 명(明) 나라의 사신을 접대하는 직무를 수행함.
1513~15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경(應慶) - 유승선(柳承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음 현감(江陰縣監)을 지낸 유정(柳貞)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해주 목사(海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계(凝溪) - 곽한(郭瀚)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