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응봉사(應奉司) - 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
고려시대~조선 초기에 외교문서를 담당하던 기관. 고려시대 임시기구인 문서감진색(文書監進色)을 고친 이름이며, 조선 태종(太宗) 때 기구가 확장되고, 1410년(태종 10)에 승문원(承文院)으로 관제가 개편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응부(應孚) - 유응부(兪應孚)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기계(杞溪). 단종(端宗)을 위하여 사절(死節)한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 무신이면서도 유학에 뜻이 깊고, 절개(節介)ㆍ충의(忠義)의 상징으로 추앙받음.
?~145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무신
-
응빈(應賓) - 금응빈(琴應賓)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봉화(奉化). 청송 부사(靑松府使)를 지낸 금의(琴椅)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유학
-
응빙(應聘) - 양사언(楊士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청주(淸州). 회양(淮陽)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내면서 자연을 즐기고, 시(詩)ㆍ서(書)에 능하여, 안평대군(安平大君)ㆍ김구(金絿)ㆍ한호(韓濩)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사대(四大) 서예가로 불림.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응빙(應聘)@이사언 - 이사언(李士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청백리(淸白吏) 이우직(李友直)의 아버지로, 순릉 참봉(順陵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사인(應嗣寅) - 응휘겸(應撝謙)
중국 청(淸) 나라 성조(聖祖) 때의 학자. 1679년(성조 18)에 조정의 부름을 받았지만 출사하지 않았고, 성리학(性理學)에 대해 깊이 연구하여 《성리대중(性理大中)》ㆍ《대청일통지(大淸一統志)》 등을 저술함.
1615~1683 중국>청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응삼(應三) - 김태정(金台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 상호군(上護軍) 김자휘(金自輝)의 아들. 1450년(세종 32)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평생 학문과 후학 양성에 힘씀.
1426~14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
-
응상(應商) - 윤응상(尹應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윤시우(尹時雨)의 아들이며, 윤안국(尹安國)의 아버지로, 학행(學行)으로 벼슬하여 수운판관(水運判官) 등을 지냄.
1547~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상(應商)@김응상 - 김응상(金應商)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무주 현감(茂朱縣監)을 지낸 김춘(金春)의 아버지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응상(應祥)@채응상 - 채응상(蔡應祥)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인천(仁川). 채인손(蔡仁孫)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김준(金濬)ㆍ박승임(朴承任)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응상(應祥)@이응상 - 이응상(李應祥)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이륜(李倫)의 아들로 파릉수(坡陵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응상(應祥) - 유세귀(柳世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籤)을 지내고, 1527년(중종 22) 상진(尙震)ㆍ송순(宋純) 등 24인과 계축갑계(癸丑甲契)를 만듦.
149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생(應生) - 김응생(金應生)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이황(李滉)의 문인. 자양산(紫陽山) 아래 서숙(書塾)을 짓고 후배의 교육에 전력하였고,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를 배향한 임고서원(臨皐書院)의 건립을 주도함.
1496~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응서(應恕) - 조충수(趙忠秀)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양주(楊州). 한산군(漢山君) 조진(趙振)의 아버지로, 영의정(領議政)과 한양부원군(漢陽府院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응서(應瑞)@민응서 - 민응서(閔應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송인수(宋麟壽)와 함게 동경계(同庚契)를 만들어 교유했고, 평안도 병마절도사ㆍ제주 목사(濟州牧使)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99~?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응서(應瑞)@송응서 - 송응서(宋應瑞)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승사랑(承仕郞) 송세영(宋世英)의 아들이며, 신녕 현감(新寧縣監) 송이창(宋爾昌)의 아버지. 성제원(成悌元)의 문인으로, 중추부 경력(中樞府經歷) 등을 지냄.
1530~16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응서(應瑞)@강응서 - 강응서(姜應瑞)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강희(姜僖)의 아들로, 과의교위(果毅校尉)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응서(應瑞) - 유몽학(柳夢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학덕을 겸비한 인재로 천거되어 장령(掌令)ㆍ집의(執義)ㆍ양양 부사(襄陽府使) 등을 지냄.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문인으로, 시방(市坊)의 폐단을 개혁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응서(應瑞)@이영부 - 이영부(李英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반(李攀)의 아들로, 세자시강원 문학(世子侍講院文學) 등을 지냈으나, 지평(持平)으로 있을 때 현량과(賢良科)의 폐지를 반대하다가 탄핵을 받아 파직됨.
1487~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석(應石) - 금응석(琴應石)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이황(李滉)의 문인이며, 이해(李瀣)의 아들 이교(李㝯)의 장인. 주부(主簿)를 지냈으며, 기근 때 빈민을 구휼하고 종자(種子)를 나눠 주는 등 선행을 베풀었다 함.
1508~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