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응선(應善)@김안경 - 김안경(金安慶)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정유성(鄭惟誠)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응선(應善)@김경원 - 김경원(金慶元)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좌의정 김명원(金命元)의 형으로, 1553년(명종 8) 문과 별시(文科別試)에서 장원하여, 조부 김천령(金千齡), 아버지 김만균(金萬均)에 이어 3대가 장원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호서 절도사(湖西節度使) 등을 지냄.
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응선(應善) - 홍인경(洪仁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덕윤(洪德潤)의 아들로, 1553년(명종 8) 친시(親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냄.
15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선(應旋) - 장응선(張應旋)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으로,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에 등과하여 사옹원 정(司饔院正) 등을 지냄.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만사(挽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인동 , 인명>관인>문신
-
응성(應星)@권응성 - 권응성(權應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훈도(訓導) 권윤(權綸)의 아들. 1558년(명종 1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권호문(權好文)ㆍ반홍(潘洪)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함.
153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응성(應星) - 고응성(高應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봉화 훈도(奉化訓導)를 지낸 고익겸(高益謙)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응성(應聖) - 공상린(孔祥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1528년(중종 23)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과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냄.
?~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응성(應誠) - 이응성(李應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공달(李公達)의 아들이며 이제신(李濟臣)의 백부(伯父)로, 찰방(察訪)을 지냄.
1497~153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응세(應世)@안응세 - 안응세(安應世)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단양군수(丹陽郡守)를 지낸 안중담(安仲聃)의 아들. 남효온(南孝溫)ㆍ김시습(金時習) 등과 교유하고 악부(樂府)에 뛰어났으나, 26세의 나이에 요절함.
1455~14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문사>유학
-
응세(應世) - 조응세(趙應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횡성(橫城). 평양부 서윤(平壤府庶尹)을 지낸 조준(趙俊)의 아들로, 1534년(중종 2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소(應韶) - 민덕봉(閔德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을 지낸 민우필(閔友弼)의 아들. 1573년(선조 6) 명(明) 나라 사신을 영접하기 위하여 나갔다가 객사(客舍)에서 죽음.
1514~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
-
응수(應守) - 응수(應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노비. 홍성민(洪聖民) 집안의 노비로, 《졸옹집(拙翁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기타인명>노비
-
응수(應綏) - 김안복(金安福)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정유성(鄭惟誠)ㆍ김안경(金安慶)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응수(應銖) - 권응수(權應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덕신(權德臣)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대장으로 활동하면서 각지에서 큰 전공을 세워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도총부 도총관(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46~16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신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응순(應純) - 신응순(辛應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월(寧越).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의병을 모집하는 역할을 맡기도 하였으나 벼슬하지 않고 후진양성에 힘썼으며, 《예설(禮說)》 2권을 저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학자
-
응순(應順)@박응순 - 박응순(朴應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선조의 비(妃)인 의인왕후(懿仁王后)의 아버지로, 자경(子敬) 성제원(成悌元)의 문인.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ㆍ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26~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응순(應順) - 김명원(金命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황(李滉)의 문인. 정여립(鄭汝立)의 난을 수습한 공으로 경림군(慶林君)에 봉해졌으며, 임진왜란 이후에 이조 판서ㆍ좌의정을 지냈음.
1534~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응순(應順)@이응순 - 이응순(李應順)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이륜(李倫)의 아들로 파흥수(坡興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응순(應順)@민복 - 민복(閔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여평부원군(驪平府院君) 민효증(閔孝曾)의 손자로, 1568년(선조 1)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한 뒤 풍저창 수(豊儲倉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시(應時) - 권응시(權應時)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공조 좌랑(工曹佐郞)ㆍ호조 좌랑(戶曹佐郞)을 거쳐, 군위 현감(軍威縣監)ㆍ양구 현감(楊口縣監) 등을 지냄.
1541~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