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응시(應時)@신응시 - 신응시(辛應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와 교유하고, 주자학(朱子學)에 조예가 깊음.
1532~1585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응신(應莘) - 이몽윤(李夢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예신(李禮臣)의 아들로 평안 도사(平安都事)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응신(應辰) - 왕응신(汪應辰)
중국 송(宋)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거쳐 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를 역임함. 주자(朱子)가 선인(善人)의 종주라고 칭함.
1118~117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응실(應實) - 고경허(高景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서경덕(徐敬德)에게 수학하고, 공조 좌랑(工曹佐郞)으로 《중종실록(中宗實錄)》과 《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응양(鷹揚)@원충갑 - 원충갑(元冲甲)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주의 별초(別抄)에 소속되어 있다가 1291년(충렬왕 17)에 합단(哈丹)이 쳐들어 와 영원산성(領原山城)을 포위하였을 때 적을 크게 무찌른 공으로 추성분용광국공신(推誠奮勇匡國功臣)에 봉해짐.
1250~1321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응양(鷹揚)@이원부 - 이원부(李元富)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를 지낸 이나해(李那海)의 아들로, 정의대부(正議大夫)를 거쳐 응양상장군(鷹揚上將軍)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응양(鷹揚)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응양상호군(鷹揚上護軍) - 원충갑(元冲甲)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주의 별초(別抄)에 소속되어 있다가 1291년(충렬왕 17)에 합단(哈丹)이 쳐들어 와 영원산성(領原山城)을 포위하였을 때 적을 크게 무찌른 공으로 추성분용광국공신(推誠奮勇匡國功臣)에 봉해짐.
1250~1321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응요(應堯) - 이옹(李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승사랑(承仕郞) 이극인(李克仁)의 아들로, 1569년(선조 2)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옹원 정(司饔院正) 등을 지냄.
153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우(應祐) - 이응우(李應祐)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이륜(李倫)의 아들로 파산수(坡山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응우(應遇) - 양사기(楊士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양희수(楊希洙)의 아들로, 원주(原州) 등 7개 읍의 수령(守令)을 역임하였으며, 형 양사준(楊士俊)ㆍ양사언(楊士彦)과 함께 시(詩)에 뛰어났음.
1531~15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운(應雲) - 남응운(南應雲)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참판 남세건(南世健)의 아들로,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내직과 외직을 두루 지내고, 전서(篆書)와 주서(籒書) 등 글씨에도 뛰어나 여러 작품을 남김.
1509~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응원(應元)@남응원 - 남응원(南應元)
조선 선조(宣祖) 때의 효자. 본관은 영양(英陽). 효행(孝行)으로 이름이 알려져 선조 때 두 차례 서용(敍用)의 명을 받음. 김성일(金誠一)이 그를 조정에 천거하고 시(詩)를 남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기타인명>효자
-
응원(應元) - 이응원(李應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峯). 이륜(李崙)의 아들로, 1522년(중종 1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원군(凝原君) - 박안세(朴安世)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병조 판서(兵曹判書) 박계현(朴啓賢)의 아들로, 품계(品階)가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이르렀고 응원군(凝原君)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응유(應籲) - 이응유(李應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과 교유하고, 정자(正字)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응인(應仁)@권응인 - 권응인(權應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시재(詩才)가 뛰어나 선위사(宣慰使) 일행이 되기도 했으며, 송(宋) 나라의 시풍(詩風)이 유행하던 문단(文壇)에 만당(晩唐)의 시풍을 받아들여 큰 전환을 가져왔음.
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문인
-
응인(應仁) - 이영춘(李榮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5대손이며, 서부 주부(西部主簿) 이길(李洁)의 아들로, 음성 현감(陰城縣監) 등을 지냄.
153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인(應寅) - 김응인(金應寅)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산(梁山). 김량(金亮)의 아들.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해남 현감(海南縣監)ㆍ좌랑(佐郞) 등을 지냈고, 백광훈(白光勳)과 교유함.
153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양산 , 인명>관인>문신
-
응인(應寅)@박응인 - 박응인(朴應寅)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유조인(柳祖訒)의 문인. 지제교(知製敎) 박소(朴紹)의 아들로, 상의원 정(尙衣院正)ㆍ인의(引儀) 등을 지냄. 작은 아버지 박집(朴緝)에게 입양됨.
1532~160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